• 제목/요약/키워드: Nocturnal blood pressur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보행 혈압 측정과 심장 기능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and cardiac function)

  • 송영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7호
    • /
    • pp.752-755
    • /
    • 2009
  • It is well known that hemodynamic loa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cardiac structure and function. Circadian variations in blood pressure (BP) are usually accompanied by consensual changes in peripheral resistance and/or cardiac output. In recent years, reduction in circadian variations in BP and, in particular, loss of nocturnal decline of BP were observed in hypertensive patients with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The patients with only a slight or no loss of nocturnal decline of BP were considered "non-dippers". Regression of LVH was observed after prolonged antihypertensive therapy. Restoration of the circadian rhythm of BP was also observed. However, the classification of patients into "dippers" and "non-dippers" is arbitrary and poorly standardized and repeatable, and in the recent studies, most hypertensive patients with LVH were "dippers". Therefore, we should be particularly cautious about the conclusions drawn using this index. On the other hand, reduced activity of low-pressure cardiopulmonary baroreceptors and impaired day-to-night modulation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were observed in patients with only LVH. Therefore, alterations in cardiac structure may impair BP mod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verse can also be trueprimary alterations in BP modulation, through a persistently elevated afterload, can increase cardiac mass. Thu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ardiac structure and BP modulation is complex. Hence, new and more specific methods of evaluating circadian changes in BP are needed to better clarify the abovementioned reciprocal influences.

24시간 혈압 변동과 관련 위험 요인 (24 Hours Blood Pressure Vari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 최인주;김영미;이해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7-31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24 hours blood pressure variations among adults over 40 years of age. Method: The participants(50 adults) were recruited from P hospital and B compan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normotensive and hypertensive tendency groups and then sub-divided into non-dipper, dipper, and extreme dipp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03 to September, 2004 and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 program.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and LDH, diet between the normotensive and hypertensive tendency groups. 2) Dippers in both groups showed a marked decrease in blood pressure during the night, but non-dippers in both groups didn't show a marked nocturnal decrease in blood pressure.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WHR, BMI, LDH, triglyceride, glucose, affective-oriented coping strategies between dippers and non-dipper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WHR, BMI, LDH, triglyceride, affective-oriented coping strategies between dipper and non-dipper within hypertensive tendency group. Conclus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effective intervention in hypertension when applying 24 hour blood pressure monitoring.

  • PDF

수면중 주기성 사지 운동에서 나타나는 야간 혈압 강하의 감소 (Decreased Nocturnal Blood Pressure Dipping in Patients with Periodic Limb Movements in Sleep)

  • 이미현;최재원;오성민;이유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25권2호
    • /
    • pp.51-57
    • /
    • 2018
  • 목 적 : 주기성 사지운동(periodic limb movement syndrome, PLMS)은 수면 중 팔다리를 비롯한 신체 일부가 불수의적이고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말한다. 여러 연구에 의하면 PLMS는 고혈압의 위험인자로 잘 알려져 있고 각각의 PLMS 이후의 혈압이 20 mm Hg까지 증가한다는 연구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PLMS가 수면 전후 혈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야간 수면다원검사상 수면무호흡증이 없고(respiratory distress index < 5), 렘수면행동장애, 기면병 등의 수면장애가 없는 358명(남자 176명, 여자 182명)의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수면다원검사 기록과 수면다원검사 전 저녁 수축기, 이완기 혈압, 수면다원검사 후 아침 수축기, 이완기 혈압, body mass index, 음주, 흡연, 혈압강하제 복용 유무,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dex), 엡워스졸음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 피츠버그수면질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를 포함하는 임상 기록들을 수집하였다. 주기성 사지운동지수(Periodic Leg Movement Index) 15를 기준으로 15 이하인 군과 15 초과인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두 군의 임상적 변수 비교는 t-test와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repeated measure ANOVA를 사용하여 각 군에서의 검사 전후 혈압 변화 및 두 군의 혈압 변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자 전체에서 PLMS가 시간당 15초과한 군이 PLMS 15이하인 군에 비하여 수면 전후 수축기 혈압이 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과 연령을 보정하였을 때에도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BMI, 음주, 흡연, 혈압강하제 사용, sleep efficiency 변수들을 보정하였을 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0.098). 여성에서 두 군간 연령 이외의 다른 변수들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49.0{\pm}14.6$세, $57.1{\pm}14.8$세, p = 0.001). 여성의 경우, 두 군 모두 검사 전, 후 수축기 혈압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 0.001). PLMI 15 이하군의 수축기 혈압이 9.7 mm Hg 감소한 것에 비해 PLMI 15 초과군의 수축기 혈압은 2.9 mm Hg 정도만이 감소하여 수면 전, 후 수축기 혈압 변화 양상이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135.2{\pm}20.3mm\;Hg{\rightarrow}125.5{\pm}18.3mm\;Hg$, $133.5{\pm}17.9mm\;Hg{\rightarrow}130.6{\pm}14.8mm\;Hg$, p = 0.010) 이러한 결과는 연령, BMI, 음주, 흡연, 혈압강하제 복용 유무, sleep efficiency 변수를 보정하여도 유의하게 나타났다(p = 0.024). 남성의 경우 두 군 모두에서 수축기 혈압이 수면 전,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PLMS에 의한 교호작용(interaction effect)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 PLMS는 수면 중의 정상 혈압 강하 패턴의 감소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며 혈압과 관련된 임상 변수를 보정하였을 때에는 여성에서만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여성에서 PLMS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의 임상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Pressure and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 Kim, Cheon-Sik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06-110
    • /
    • 2014
  •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OSAH) is known to be related to nocturnal blood pressure (BP) and hyperten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ccording to the apnea-hypopnea grading. A total of 2,210 adults with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were referred to our sleep center from July 2009 to May 2013. Clinical blood pressure (BP) was measured before sleeping (bedtime BP) and immediately after waking up in the next morning (morning BP).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apnea-hypopnea index (AHI) from PSG as follows: control group (n=470) simple snoring and with AHI<5; mild group (n=577) with $AHI{\geq}5$ and <15; moderate group (n=508) $AHI{\geq}15$ and <30; and severe group (n=655) with $AHI{\geq}30$. The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between BP and PSG parameters according to the AHI groups were analyzed. Patient's were classified as nomentensive (blood pressure <120/90 mmHg, n=700), prehypertensive (blood pressure < $140-120{\leq}mmHg$, n=1297) hypertensive (blood pressure ${\geq}140/90mmHg$, n=214) according to the office blood pressure measurements. The comparison of sleep parameters showed that OSA groups had a significantly higher stage N1 (control group vs. moderate OSA, severe OSA; $66.4{\pm}30.7$ vs. $85.5{\pm}36.6$, $128.4{\pm}57.3$, p<0.001) and total arousal number (control vs. moderate OSA, severe OSA; $110.7{\pm}47.7$ vs. $150.8{\pm}56.6$, $236.6{\pm}95.8$, p<0.001)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comparison of sleep parameters showed that OSA groups had a significantly lower stage N2 (control group vs. moderate OSA, severe OSA; $172.6{\pm}47.2$ vs. $150.7{\pm}50.5$, $120.3{\pm}57.4$, p<0.001), stage N3 (control group vs. moderate OSA, severe OSA; $38.4{\pm}33.4$ vs. $27.4{\pm}26.0$, $56.1{\pm}27.5$, p<0.001), REM (control group vs. moderate OSA, severe OSA; $64.3{\pm}25.5$ vs. $56.1{\pm}27.5$, $47.3{\pm}25.9$, p<0.001) and mean SaO2% (control group vs. moderate OSA, severe OSA; $90.0{\pm}3.5$ vs. $82.5{\pm}5.5$, $70.0{\pm}8.8$, p<0.001)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Apnea-hypopnea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SA groups, increase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han in the nomentensive group (bed time systolic pressure vs. AHI; <120 vs. 120-139, 140-159, >159; $17.5{\pm}18.6$ vs. $24.9{\pm}21.0$, $31.0{\pm}25.7$, $42.3{\pm}31.7$, p<0.001), (bed time diastolic pressure vs. AHI; 60-79 vs. 80-89, 90-99, >99; $19.3{\pm}19.7$ vs. $22.4{\pm}20.3$, $29.8{\pm}23.3$, $38.8{\pm}28.5$, p<0.001). AH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rning systolic pressure, diastolic pressure, bed time systolic pressure and diastolic pressure (r=0.314, 0.279, 0.233 and 0.200, respectively, p<0.001). We conclude that BMI, Age, neck circumference and AHI increase with the blood pressure.

소아 및 청소년에서 24시간 활동 혈압 측정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Usefulness of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황영주;박효정;양은애;조민현;고철우;양동헌;황현희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5권2호
    • /
    • pp.154-162
    • /
    • 2011
  • 목적 : 소아 청소년에서 고혈압의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혈압의 측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활동 혈압 감시는 진성 고혈압과 백의 고혈압의 진단에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어 우리나라 소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활동 혈압 감시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및 내과를 방문하여 활동 혈압 감시를 시행한 6세부터 18세까지의 소아 및 청소년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외래에서 측정한 수시 혈압과 활동 혈압 감시 결과로 계산된 평균 혈압, 혈압 부하 및 야간 하강 정도를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진단 별로 비교하였다. 결과:전체 51명의 환자 중 남자가 49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17.8{\pm}1.8$세였고 19명(37.3%)이 비만이었다. 활동 혈압 감시 시행 중 평균 유효 측정횟수는 37.8회, 유효 측정률은 94.3%이었다. 활동 혈압 감시 결과 진성 고혈압 환자가 37명(72.5%)이 었고 이 중 1명이 가면 고혈압이었다. 7명(14%)은 백의 고혈압으로 진단되었으며 나머지 7명은 수시혈압과 24시간 활동 혈압 모두 정상이었다. 백의 고혈압으로 진단된 7명 중 5명이 고혈압 전 단계였다. 진성 고혈압 환자에서 평균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부하는 정상 혈압 소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01) 야간 강하는 10% 이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비만 환자에서 평균 수축기, 이완기 혈압 및 혈압 부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결론 : 본 연구에서 소아 청소년에서 활동 혈압 감시가 진성 고혈압 및 백의 고혈압을 진단하는데 유용하였으며 백의 고혈압을 가진 소아의 상당수가 고혈압 전 단계에 해당되어 향후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전신성 혈압, 심조율 및 요 Catecholamines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bstructive Sleep Apnea on Systemic Blood Pressure, Cardiac Rhythm and the Changes of Urinary)

  • 노대근;최영미;송정섭;박성학;문화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1호
    • /
    • pp.153-168
    • /
    • 1998
  • 연구배경: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들에서 동반될 수 있는 전신성 고혈압과 심부정백을 포함한 심혈관계 기능 부전은 장기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환자에서 심혈관계 기능부전이 발생하는 병태생리학적 기전에 관한 정설은 확립 되지 못한 실정이다. 방 법: 저자들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 29명과 대조군 25명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 각성시와 수면 중 요 catecholamines 농도 측정, 24 시간 활동중 심전도 및 혈압 감시를 실시하여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전신성 혈압, 심조율 및 요 catecholamines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결 과: 1) 요 norepinephrine (UNE) 및 epinephrine(UEP) 농도는 페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환자와 대조군 모두에서 각성시에 비하여 수면중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들의 수면중 UNE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각성시 UNE 농도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군 모두에서 전신성 고혈압의 동반 여부와 각성시 및 수면중 UNE 및 UEP 농도 상호간의 관련성은 없었다. 2)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들에서는 수면 중 혈압 하강이 없는 경우 (non-dipper) 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P=0.089), 수면중 혈압 하강의 유무와 전신성 고혈압의 동반 여부와는 상호 관련성이 없었다. 3) 전체 연구 대상에서 각성시 및 수면중 평균 수축기 혈압은 무호흡지수, 무호흡-저호흡지수, 수면중 최저 산소포화도, 수면중 산소 탈포화정도와 상호 관련성이 있었으며, 수면중 UNE 농도는 무호흡지수, 무호흡-저호흡지수, 수면중 최저 산소포화도 및 산소 탈포화정도, 수면중 평균 수축기 혈압과 관련성이 있었다. 4) 무호흡지수가 20 이상인 14명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들에서 무호흡 시기 동안의 섬박동수는 무호흡이 시작되기 전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무호흡이 끝나고 호흡이 재개되는 시기에는 우호흡이 시작되기 전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P<0.01), 이러한 변화는 무호흡의 기간이 길수록 더욱 현저하였다 (P<0.01). 무호흡 시기와 무호흡이 끝나고 호흡이 재개되는 시기의 심박동수 차이 (${\Delta}HR$) 는 무호흡 발생 전후의 동맥혈 산소포화도의 차이 (${\Delta}SaO_2$)와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r=0.223, P<0.001). 5) 심부정맥의 발생 빈도는 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대조군에서는 심실성 기외수축이 각성시에 비하여 수면중에 현저히 감소하였으나(P<0.05),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들에서는 수면중에도 각성시와 차이가 없었다. 결 론: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들은 수면중에 무호홉, 저산소증 및 각성의 주기가 반복됨으로써 교감신경계 활성도의 변화가 초래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저산소증과 교감신경계 활성도 증가는 전신성 혈압 및 심기능의 변화를 포함한 여러 가지 심혈관계 기능부전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그레인저 인과성 분석을 이용한 정상인과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수면 중 압수용기 반사 효과의 평가 (Evaluation of Baroreflex Effectiveness in Normal Subject and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 during Sleep using Granger Causality Analysis)

  • 정다운;김상경;김고근;이유진;정도언;박광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95-98
    • /
    • 2014
  • The baroreflex is one kind of homeostatic mechanisms to regulate acute blood pressure (BP) changes by controlling heartbeat interval (HBI). To quantify the effect of baroreflex, we suggested a new approach of analyzing Granger causality between systolic BP (SBP) and HBI. The index defined as baroreflex effectiveness (BRE) was generated by the hypothesis that more effectual baroreflex would be related to more effective Granger causal influence of SBP on HBI. Six obstructive sleep apnea (OSA) patients (apnea-hypopnea index, AHI ${\geq}5$ events/hr) and six normal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SBP and HBI during nocturnal sleep were obtained from a non-invasive continuous BP measurement device. While the BRE ($mean{\pm}SD$) of normal subjects was $47.0{\pm}4.0%$, OSA patients exhibited the BRE of $34.0{\pm}3.8%$. The impaired baroreflex function of OSA patients can be explained by the physiological mechanism associated with recurrent hypoxic episodes during sleep. Thus, the significantly lower BRE in OSA patients verified the availability of Granger causality analysis to evaluate baroreflex during sleep. Furthermore, the range of BRE obtained from normal subjects was not overlapped with that obtained from OSA patients. It suggests the potential of BRE as a new helpful tool for diagnosing OSA.

폐쇄성(閉鎖性) 수면무호흡증(睡眠無呼吸症)에서 지속적(持續的) 상기도(上氣道) 양압술(陽壓術)이 혈력학적(血力學的) 변화(變化)에 끼치는 영향(影響) (Blood Pressure Reactivity during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박두흠;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9권1호
    • /
    • pp.24-33
    • /
    • 2002
  •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하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고혈압이 흔히 병발되나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이하 양압술)에 따른 고혈압 해소 정도는 연구방법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지속적-비관혈적 혈압 측정법을 이용하여 기초 혈압치가 다양한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에서 양압술을 적용하면서 야간 수면중 혈압 및 심박 동수 반응에 양압술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양압술에 의한 혈역학적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찾고자 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으로는 수면무호흡증의 임상 증상을 지니고 있으며 기초 측정일의 야간 수면다원검사 결과 호흡장애지수가 5이상인 환자 10명(평균연령 52.2$\pm$12.4세, 남자 9명, 여자 1명)을 선택하였다. 양압술을 시행하지 않은 상태인 기초 측정일과 양압술을 시행한 양압술 시행일 모두에서 야간 수면다원기록과 동시에 지속적-비관혈적 혈압측정기($Finapres^{(R)}$)를 사용하여 매 박동(beat-to-beat)시의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그리고 심박동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매 2초마다 혈중산소포화도($SaO_2$)를 측정하였다. 기초 측정일과 양압술 시행일 두 군간에 혈역학적 및 호흡기적 변인들의 평균치를 비교하였다. 기초 측정일 값에서 양압술 시행일 값을 뺀 수축기 혈압 델타값 및 이완기 혈압 델타값 각각과 기초 측정일의 측정치들(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그 각각의 혈압 변이도, 심박동수 및 심박동수 변이도, 혈중산소포화도 평균치, 그리고 호흡장애지수), 양압술 시행일의 측정치들(양압술 처방압력 및 총 각성시간 분율), 연령, 그리고 비만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 혈중 산소포화도의 평균치와 호흡장애지수가 기초 측정일에 비해 양압술 시행일에서 각각 증가(p<.01) 및 감소(p<.01)하였으나, 혈역학적 변인을 포함한 다른 비교 변인들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2) 기초 측정일의 혈압에서 양압술 시행일의 혈압을 뺀 델타값들을 분석한 결과 기초 측정일의 혈압치와 대상군의 연령에 따라 혈압 반응이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수축기 혈압 델타값과 기초 측정일의 수축기 혈압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1), 이완기 혈압 델타값과 기초 측정일의 이완기 혈압간에는 각성기(p<.01)를 제외한 다른 수면단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렘수면단계를 제외한 모든 수면단계에서 이완기 혈압의 델타값과 연령 사이에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었지만(p<.05), 수축기 혈압의 델타값과 연령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수축기 혈압 델타값 및 이완기 혈압델타값 각각과 기초 측정일의 측정치들, 양압술 시행일의 측정치들, 그리고 비만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완기 혈압 델타값과 양압술 시행일의 각성시간 분율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p<.01) 외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양압술 적용에 따라 수축기 혈압 델타값과 이완기 혈압 델타값이 기초 측정일의 수축기 혈압치와 대상군의 연령에 따라 각각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압술에 따른 혈압 반응은 단순 감소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변인의 조건에 따라 차별적 혈압 반응 양상으로 나타나는 복합적인 현상이며 앞으로 좀더 세밀하게 연구되어야 할 대상임을 시사한다.

  • PDF

Polysomnographic Results before and after Uvulopalatopharyngoplasty

  • Kim, Cheon-Sik;Kim, Dae-Sik;Lee, Yong-Seok;Cho, Cheon-Ung;Pae, Sang-Ho;Kim, Won-Tae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73-76
    • /
    • 2013
  • Uvulopalatopharyngoplasty (UPPP) is one possibility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The aim of this study was study the analysis of polysomnography of pre-UPPP and post-UPPP. All patients were evaluated by means of a physical examination,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the nocturnal polysomnography (PSG) before surgery, and 6~12 months after surgery. A total of 15 patients were investigated. All underwent UPPP. The patients were between 26 and 62 years old ($mean{\pm}SD$; $39.7{\pm}10.9$) with a lean body mass index (BMI) of $mean{\pm}SD$; $26.2{\pm}3.0kg/m^2$. The comparison of sleep questionnaires showed that after UPPP, the patients had a significantly lower BMI ($26.2{\pm}3.0kg/m^2$ vs $26.0{\pm}3.4kg/m^2$, p=0.241), ESS ($10.0{\pm}5.4$ vs $6.9{\pm}3.2$, p=0.022), BDI ($9.2{\pm}8.2$ vs $4.2{\pm}4.3$, p=0.343) and higher blood pressure ($127.5{\pm}12.1$ vs $123.7{\pm}12.0$, p=0.272) compared to before UPPP. The comparison of sleep parameters showed that after UPPP, patients had a significantly lower stage N1 ($108.8{\pm}53.1$ vs $82.2{\pm}48.9$, p=0.016), lower sleep latency ($4.9{\pm}4.4$ vs $2.0{\pm}1.7$, p=0.083), a lower total arousal number ($210.6{\pm}90.3$ vs $147.1{\pm}87.3$, p=0.019), lower oxygen desaturation index (ODI) ($30.2{\pm}20.9$ vs $10.2{\pm}15.1$, p=0.006), lower apnea-hypopnea index (AHI) ($31.6{\pm}22.4$ vs $10.9{\pm}15.4$, p=0.005), and a lower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37.4{\pm}21.3$ vs $18.5{\pm}16.5$, p=0.008) compared to after UPPP. The comparison of sleep parameters showed that after UPPP, patients had a significantly higher stage N2 ($154.0{\pm}39.9$ vs $180.5{\pm}49.5$, p=0.017), higher REM ($58.5{\pm}29.7$ vs $72.6{\pm}34.0$, p=0.249), higher $meanSaO_2$ ($94.3{\pm}2.0$ vs $95.9{\pm}0.9$, p=0.043), and higher $meanSaO_2$ ($79.3{\pm}8.5$ vs $83.1{\pm}7.9$, p=0.116) than before UPPP. After UPPP, 6 patients were cured, 2 showed marked improvement, and 7 did not improve. After surgery, the success of the treatment was at 53%. The subjective patient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before the surgery.

  • PDF

감나무의 Ethanol 추출액(抽出液)이 척출가토(剔出家兎) 장관운동(腸管運動)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Diospyros Kaki Thunberg on the Motility of Isolated Rabbit Duodenum)

  • 이영배;신홍기;김기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1권1호
    • /
    • pp.27-32
    • /
    • 1977
  • Diospyros Kaki Thunberg is the species of persimmon tree that grows in Korea. Although its fresh or dried fruits are often served as a desert, it has little been known if persimmon tree has any specific pharmacological action. The leaves and branches of persimmon tree has long been used as folk remedies for palsy and frostbit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and it is also in use for the treatment of hiccup and nocturnal enuresis in chinese herbal medicine.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an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Diospyros Kaki Thunberg ethanol extract (KTEE) into the animals lowered arterial blood pressure. Lee concluded from his study on the mechanism of depressor action of KTEE that at least a part of depressor response he observed was caused by acetylcholine-like action of KTEE. On the other hand little study has been made on the effect of KTEE on the motility of isolated animal intestin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effect of KTEE and the mechanism of its action on the motility of isolated rabbit duodenum. Ethanol extract of Diospyros Kaki Thunberg was prepared by boiling 1 kg of dried branches of persimmon tree in 1 liter of ethanol and the motility of isolated rabbit duodenum was recorded on physiograph by means of force transducer connected with Magnus apparatus. Doses of KTEE used were $5{\times}10^{-4}gm/ml,\;1{\times}10^{-3}gm/ml,\;and\;2{\times}10^{-3}gm/ml$. And the isolated duodenum was separately pretreated with acetylcholine $(5{\times}10^{-7}gm/ml)$, pilocarpine $(2.5{\times}10^{-6}gm/ml)$, histamine $(5{\times}10^{-6}gm/ml)$ and barium chloride $(2.5{\times}10^{-5}gm/ml)$ in order to find out interactions of these drugs with KTE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At doses of $5{\times}10^{-4}gm/ml,\;1{\times}10^{-3}gm/ml$ KTEE reduced contractions of isolated duodenum, while tonus as well as contaction of duodenum were depressed with $2{\times}10^{-3}gm/ml$ of KTEE. 2. Since the inhibitory effect of KTEE on the intestinal motility was not blocked by pretreatment with acetylcholine, pilocarpine, and barium chloride,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inhibitory action of KTEE on intestinal motility is mainly Caused by its antihistamine effect. 3.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 principal substance of KTEE responsible for inhibition of intestinal motility may also have a vasodilating activity and would not be an acetylcholine-like substance in case it is same substance as that cause depressor respon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