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ghttime sleepines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Sleep patterns and school performance of Korean adolescents assessed using a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daytime sleepiness scale

  • Rhie, Seon-Kyeong;Lee, Si-Hyoung;Chae, Kyu-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1호
    • /
    • pp.29-35
    • /
    • 2011
  • Purpose: Korean adolescents have severe nighttime sleep deprivation and daytime sleepiness because of their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daytime sleep patterns and sleepiness have never been studied using age-specific methods, such as the pediatric daytime sleepiness scale (PDSS). We surveyed the daytime sleepiness of Korean adolescents using a Korean translation of the PDSS. Methods: We distributed the 27-item questionnaire, including the PDSS and questions related to sleep pattern, sleep satisfaction, and emotional state, to 3,370 students in grades 5-12. Results: The amount of nighttime sleep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ge. During weekday nights, $5-6^{th}$ graders slept for $7.95{\pm}1.05h$, $7-9^{th}$ graders for $7.57{\pm}1.05h$, and $10-12^{th}$ graders for $5.78{\pm}1.13h$. However, the total amounts of combined daytime and nighttime sleep during weekdays were somewhat greater, $8.15{\pm}1.12h$ for $5-6^{th}$ graders, $8.17{\pm}1.20h$ for $7-9^{th}$ graders, and $6.87{\pm}1.40h$ for $10-12^{th}$ graders. PDSS scores increased with age, $11.89{\pm}5.56$ for $5-6^{th}$ graders, $16.57{\pm}5.57$ for $7-9^{th}$ graders, and $17.71{\pm}5.24$ for $10-12^{th}$ graders. Higher PDSS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or school performance and emotional instability. Conclusion: Korean teenagers sleep to an unusual extent during the day because of nighttime sleep deprivation. This negatively affects school performance and emotional stability. A Korean translation of the PDSS was effective in evaluating the severity of daytime sleepiness and assessing the emotional state and school performance of Korean teenagers.

아침형과 저녁형 사람에서 야간의 졸리움, 수행 및 체온의 비교 (A Comparison of Nighttime Sleepiness, Performance, and Body Temperature between Morning-Type and Evening-Type Persons)

  • 윤진상;국승일;신일선;신만식;최영;이무석;이형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1호
    • /
    • pp.47-59
    • /
    • 1994
  • 본 연구는 야간에 아침형과 저녁형사이에 졸리움의 정도, 수행능력, 체온변화의 차이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Horne과 $\ddot{O}stberg's$의 아침형-저녁형 설문지(8)의 한국어 번안 설문지에 대 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후, 극단적인 아침형과 저녁형 각 8 명을 선발하여 야간에 수면잠복 검사, 다양한 수행검사, 체온 측정을 일정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는 전야간에 걸쳐서 아침형군이 저녁형군보다 졸리움이 훨씬 심하였고, 수행검사의 성적도 더 낮았다. 체온은 새벽의 최저점에 이를 때까지 아침형군이 저녁형군보다 더 낮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야간에 졸리움, 수행, 체온 사이에 시간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가리키며 저녁형이 야간근무에 더 적합할 수 있다는 가정을 지지한다.

  • PDF

주간졸음에 관련된 요인과 야간근무와 아로마테라피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도시철도승무원 대상 (Factors Related to Daytime Sleepiness and the Effects of Night Work and Aromatherapy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argeting an Urban Railway Crew)

  • 이현웅;김시곤;임광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729-740
    • /
    • 2022
  • 본 연구는 야간 근무 도시철도승무원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수면장애가 낮 시간대 졸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낮 시간대 졸음 지수는 타 근무시간대 보다 높게 측정되어 졸음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일반적으로 수면장애 및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아로마에센셜 오일을 야간근무 근무자들에게 처치하여 스트레스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아로마테라피를 처치 받은 실험군은 아무것도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스트레스의 감소, 자율신경계의 전체 활성도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승무원의 야간근무가 스트레스 증가와 자율신경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아로마테라피 처치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야간 근무자들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잠재적인 안전사고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Daytime Napping and Nighttime Sleep During Pregnancy and Preterm Birth in Iran

  • Shaliha, Farnaz;Mozaffari, Maryam;Ramezani, Faeze;Hajnasiri, Hamideh;Moafi, Farnoosh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3호
    • /
    • pp.182-189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during pregnancy and preterm birth. Methods: This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between August 2018 and May 2019. The participants were 150 pregnant women who had been referred to 7 healthcare centers in the city of Qazvin, Iran and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Petersburg Sleep Quality Index,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and 2 questions about daytime sleep status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at 14-18 weeks and 28-32 weeks of gest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test, the Fisher exact test, and univariate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poor sleep quality affected 84.7% of the participants at 14-18 weeks and 93.3% at 28-32 weeks of gestation. The final model for preterm birth prediction incorporated age and the Petersburg Sleep Quality Index score in the second and third trimesters. Preterm birth increased by 14% with each unit increase in age. With each unit increase in the Petersburg Sleep Quality Index score in the second and third trimesters, preterm birth increased by 42% and 28%, respectively, but the p-values of these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s: Although a significant percentage of pregnant women had poor sleep quality,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leep quality during pregnancy and preterm birth.

척추후측만증 환자에서 급속히 진행된 비만성 저환기 증후군 1례 (A Case of Rapidly Developed Obesity Hypoventilation Syndrome in a Patient with Kyphoscoliosis)

  • 김민영;정지선;장유나;고세은;이상학;문화식;강현희
    • 수면정신생리
    • /
    • 제22권1호
    • /
    • pp.30-34
    • /
    • 2015
  • 비만성 저환기 증후군은 체질량지수 $30kg/m^2$ 이상의 비만 환자에서 낮 동안의 저산소혈증 및 고탄산혈증($PaCO_2$ 45 mmHg 이상, $PaO_2$ 70 mmHg 미만) 소견을 보이는 질환으로 90% 이상에서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시간 당 5회 이상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되어 나타난다. 특히 고탄산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심한 폐쇄성 환기장애나, 간질성 폐질환 혹은 심한 흉벽질환 및 신경근육질환을 배제하는 것이 진단에 필수적이나, 임상적으로 비만성저환기 증후군의 양상을 보인다면 조기에 질환을 의심하는 것이 예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비만성 저환기 증후군 치료의 목표는 체중감소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치료, 고탄산혈증과 저산소혈증의 개선으로 산소치료, 경비적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비침습적 양압 환기요법 등으로 치료 효과를 얻은 증례들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만성 호흡 부전의 급성 악화가 동반 환자이거나,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로 치료가 실패한 환자, 폐쇄성수면무호흡을 동반하지 않은 비만성저환기 환자의 경우에는 이단 상기도 양압술을 적용하여 더 효과적인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저자들은 폐포저환기를 유발할만한 다른 질병이나 상태를 가진 환자의 경우에도 중증 비만, 코골이 및 수면 중 무호흡, 낮 동안의 저산소혈증 및 고탄산혈증 등 비만성저환기증후군의 특징적 임상 양상에 근거하여 조기에 비만성저환기 증후군을 의심하였고 이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여 이단 상기도 양압 치료를 통해 치료 효과를 거두고 환자의 예후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