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acinamid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Edge Activator가 수화 액정형 베시클의 입자크기와 피부 침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dge Activator on the Droplet Size and Skin Permeation of Hydrated Liquid Crystalline Vesicles)

  • 이서영;임윤미;진병석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679-684
    • /
    • 2017
  • 베시클 막을 유연하게 만드는 edge activator를 혼합하여 수화 액정형 베시클을 제조하고 niacinamide를 베시클 안에 포집시켰다. 제조 과정 중 액정 상 형성 및 액정의 열적 상전이 현상을 편광현미경과 시차주사 열량계(DSC)를 통해 살펴보았다. Sodium deoxycholate, lysolecithin, polysorbate 80 등의 edge activator를 첨가하면 수화 액정형 베시클 입자가 수십 나노 사이즈로 줄어들었다. 수화 액정형 베시클을 활용하여 niacinamide를 피부 침투시키면 수용액 상태로 도포했을 때보다 피부 침투된 niacinamide의 양이 크게 증가하는데, 10% sodium deoxycholate를 혼합한 베시클에서는 niacinamide 침투량이 4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edge activator를 베시클에 혼합하면 베시클의 피부 침투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Study on the Adsorption of Pharmaceuticals by Filter aids -Adsorption of caffeine, niacinamide, pyridoxine hydrochloride and thiamine hydrochloride by Celite 545 and Dawsonite-

  • Hyun, Yona-Woo;Min, Shin-Hong;Rhee, Shang-Hi;Kim, Yong-Bae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권4호
    • /
    • pp.39-43
    • /
    • 1973
  • 완충액(緩衝液)에서의 caffeine, niacinamide, pyridoxine hydrochloride, thiamine hydrochloride의 여과조제(濾過助劑)에 의(依)한 흡착(吸着)현상을 비교검토(比較檢討)하였다. 실험(實驗)에 사용(使用)한 vitamin 류(類)의 흡착(吸着)은 Langmvir 흡착식(吸着式)의 pattern 에 따랐으며 caffeine 은 거의 흡착(吸着)되지 않았다. 여과조제중(濾過助劑中) Dawsonite는 Celite 545 보다 큰 흡착(吸着)현상을 나타냈으며 pH변화(變化)에 따른 영향(影響)은 niacinamide가 가장 예민하였고 pH의 증가(增加)는 흡착량(吸着量)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 PDF

Niacinamide Protects Skin Cells from Oxidative Stress Induced by Particulate Matter

  • Zhen, Ao Xuan;Piao, Mei Jing;Kang, Kyoung Ah;Fernando, Pincha Devage Sameera Madushan;Kang, Hee Kyoung;Koh, Young Sang;Yi, Joo Mi;Hyun, Jin W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7권6호
    • /
    • pp.562-569
    • /
    • 2019
  • Niacinamide (NIA) is a water-soluble vitamin that is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Moreover, NIA displays antioxidant effects and helps repair damaged DNA. Recent studies showed that particulate matter 2.5 ($PM_{2.5}$) 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ausing disruption of DNA, lipids, and protein,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and apoptosis of skin keratinocytes. Here,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NIA on $PM_{2.5}$-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HaCaT keratinocytes. We found that NIA could inhibit the ROS generation induced by $PM_{2.5}$, as well block the $PM_{2.5}$-induced oxidation of molecules, such as lipids, proteins, and DNA. Furthermore, NIA alleviated $PM_{2.5}$-induced accumulation of cellular $Ca^{2+}$, which caused cell membrane depolarization and apoptosis, and reduced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Collectively, the findings show that NIA can protect keratinocytes from $PM_{2.5}$-induced oxidative stress and cell damage.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인공피부조직 투과 개선을 위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설계 연구 (Design of Solid Lipid Nanoparticles to Improve Penetration of Niacinamide through Artificial Skin Tissue)

  • 여수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3-13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미백물질인 나이아신아마이드(NI)의 피부 투과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NI를 고형지질 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s, SLNs))에 봉입하고 피부 투과율을 평가하였다. NI는 이중 에멀션 가온용융 유화법으로 SLNs 내에 효과적으로 봉입할 수 있었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263.30 ~ 436.93 nm이었고 제타전위는 -34.77 ~ -57.60 mV인 안정한 입자를 제조하였다. NI의 피부 투과 연구를 위해 인체 표피 조직에서 유래된 피부각질세포로 만든 3차원적 인공피부(SkinEthicTM RHE)을 사용하였다. NI의 피부 투과 및 침적 실험 결과 모든 SLNs 제형이 NI의 피부 투과 및 침적율을 개선시켰으며, SLNs을 적용하였을 때가 그렇지 않을 때 보다 투과율은 약 5.4 ~ 7.6 배, 침적율은 9.5 ~ 20.8 배 개선되었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는 기능성 미백물질인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피부 투과율을 개선하기에 충분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Adjunctive Therapy of Pimecrolimus for Treatment of Facial Discoid Lupus Erythematosus in a Dog

  • Yeonhoo Jung;Moonseok Jang;Rahye Kang;Wanghui Lee;Seongjun Park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9-53
    • /
    • 2024
  • A two-year-old, spayed female, 22.5 kg Pungsan was referred with chronic crusts and erosion on the nose. A referring veterinarian prescribed an anti-inflammatory dose (0.5-1 mg/kg/day) of oral glucocorticoids for 5 months, but skin lesions showed no meaningful improvement. A dermatological evaluation revealed a crust, depigmentation, erosion, and erythematous lesion over the nasal planum with a loss of the normal cobblestone texture. Also, firm and multifocal plaques over the thigh, groin, axilla, and dorsum were detected. A cytology examination on the nose, thigh, groin, axilla, and dorsum revealed moderate neutrophilic inflammation and bacterial infection. Abdominal radiography and ultrasonography revealed subcutaneous calcified materials along the thigh, groin, axilla, and dorsum. Calcinosis cutis was suspected because of the adverse effect of previous prolonged corticosteroid therapy. A histopathology examination of the nose lesion revealed moderate to severe degenerative or apoptotic changes of the basal layer and lymphoplasmacytic interface dermatitis. Facial discoid lupus erythematosus (FDLE) was diagnosed based on the history and the clinical, cyt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results. Minocycline (7 mg/kg PO q 12 h) and niacinamide (500 mg/dog PO q 12 h) were prescribed as initial treatment. Glucocorticoids were not administered due to the presence of calcinosis cutis induced by previous corticosteroid treatment. After 6 weeks of treatment, the clinical signs on the nose were mildly improved. At this time, topical 1% pimecrolimus cream (twice daily) was initiated, while minocycline and niacinamide were continued at the same dose. The nasal planum markedly improved after 6 weeks of additional treatment, hence minocycline and niacinamide were prescribed for an additional 2 weeks and stopped, and the patient was continued solely on topical pimecrolimus. The dog's skin lesion has been maintained in clinical remission with topical 1% pimecrolimus twice daily for more than 5 months.

고압유화 공정이 적용된 화장품의 피부흡수 및 피부 미백효과 연구 (A Study on Skin Permeability and Skin Whitening Effect of High Pressure Emulsification Processed Cosmetic)

  • 장수임;이소미;백병열;한지연;김은주;이해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89-194
    • /
    • 2017
  • 피부는 외부의 유해한 인자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장벽 기능을 한다. 이러한 피부의 장벽기능은 유효 물질이 피부에 투과되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의 투과도를 높이기 위해 입자의 크기를 줄이는 고압 유화 공정을 거친 시료를 제작하여 피부에 도포한 후 유효 물질의 투과도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유효물질인 niacinamide는 고압유화 공정을 거친 시험시료가 그렇지 않은 대조시료에 비해 1.56배 많이 흡수되었으며 tape-stripping을 통해 떼어낸 각질의 여섯 번째 층까지 유의하게 많이 흡수되어 더 깊게 투과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niacinamide가 함유된 시험 시료의 미백 효능 평가를 사용 전과 사용 6주 후 평가하였을 때 색소침착 부위와 비색소침착부위에서 유의하게 피부색 명도값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각질 tape-stripping을 통해 비침습적으로 시료의 투과도를 시각적 및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고압유화 공정으로 입자의 크기를 줄인 시료는 유효물질의 피부 투과도가 높아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Swollen Micelle을 이용한 Tocopheryl Acetate 의 피부흡수 연구 (Study on Skin Permeation of Tocopheryl Acetate Using Swollen Micelle)

  • 손수빈;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7-2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탈모방지 토너의 활성 성분인 tocopheryl acetate, salicylic acid 및 niacinamide 성분 중 유용성 성분인 tocopheryl acetate의 피부흡수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Salicylic acid와 niacinamide를 함유함과 동시에 tocopheryl acetate를 투명하게 가용화시키려는 방법으로, 계면활성제가 회합하여 형성되는 micelle의 크기를 증가시킨 swollen micelle 구조를 이용하였다. 제조한 swollen micelle 용액은 3종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며 투명한 성상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계면활성제로 poloxamer 407과 octyldodeceth-16을 사용하였다. 또한 micelle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계면활성제로서 isostearic acid를 사용하였다. 제조한 swollen micelle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온(25 ℃)에서의 탁도를 측정하였다. Swollen micelle에 함유된 탈모방지 성분 중, tocopheryl acetate의 피부흡수율을 평가하기 위해 Franz diffusion cell method를 이용하였다. 24 h 후 tocopheryl acetate의 경우 대조군보다 6 배 향상된 피부흡수량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swollen micelle은 탈모방지 제품 또는 여러 기능성 화장품의 가용화 제형에 응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Downregulation of $\textrm{NF}_{-{\kappa}}\textrm{B}$ activation in human keratinocytes by melanogenic inhibitors

  • Ahn, Kwang-Seok;Lee, Jinseon;Kim, Yeong-Shik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780-803
    • /
    • 2003
  • Exposure of skin cells, particularly keratinocytes to various nuclear factor-kappaB ($\textrm{NF}_{-{\kappa}}\textrm{B}$) activators [e.g.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1, lipopolysaccharides, and ultraviolet light] leads to phosphorylation and degradation of the inhibitory protein, $\textrm{I}_{{\kappa}}\textrm{B}$. Liberated $\textrm{NF}_{-{\kappa}}\textrm{B}$ is translocated into the nucleus where it can change or alter expression of target genes, resulting in the secretion of extracellular signaling molecules including melanotrophic factors affecting melanocyte. In order to demonstrate the possible role of $\textrm{NF}_{-{\kappa}}\textrm{B}$ activation on the synthesis of melanotrophic factors from the keratinocytes, the activities of $\textrm{NF}_{-{\kappa}}\textrm{B}$ induced by melanogenic inhibitors (MIs) were determined in human HaCaT keratinocytes transfected with $\textrm{pNF}_{-{\kappa}}\textrm{B}$-SEAP-NPT plasmid. Transfectant cells released the secretory alkaline phosphatase (SEAP) as a transcription reporter in response to the $\textrm{NF}_{-{\kappa}}\textrm{B}$ activity and contain the neomycin phosphotransferase (NPT) gene for the dominant selection marker for geneticin resistance. MIs such as niacinamide, kojic acid, hydroquinone, resorcinol, arbutin, and glycolic acid were preincubated with transfectant HaCaT cells for 3 h and then ultraviolet B (UVB) was irradiated. $\textrm{NF}_{-{\kappa}}\textrm{B}$ activation was measured with the SEAP reporter gene assay using a 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Of the Mis tested, kojic acid ($IC_{50}$/ = 60 $\mu$M) was found to be the most potent inhibitor of UVB-upregulating $\textrm{NF}_{-{\kappa}}\textrm{B}$ activation in transfectant HaCaT cells, which is followed by niacinamide ($IC_{50}$/= 540 $\mu$M). Pretreatment of the transfectant HaCaT cells with the Mis, especially kojic acid and niacinamide, effectively lowered $\textrm{NF}_{-{\kappa}}\textrm{B}$ binding measured by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Furthermore, these two inhibitors remarkably reduced the secretion level of IL-6, one of melanotrophic factors, triggered by UV-radiation of the HaCaT cell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Mis working at the in vivo level might act partially through the modulation of the synthesis of melanotrophic factors in keratinocyte.

  • PDF

피부표면온도가 유효물질 경피 흡수 및 피부 상태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kin surface temperature on Transdermal Absorption of Active Substances and Changes in Skin Condition)

  • 권혜진;한사라;정나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99-304
    • /
    • 2019
  • 본 연구는 피부표면온도가 유효물질 경피 흡수와 피부 상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열에 강한 나이아신아마이드 10% 에멀젼을 인공피부에 도포하여 경피 흡수 시험을 진행하였고 동일한 에멀젼으로 피부임상시험을 시행하여 온열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피부표면 온도 $42^{\circ}C$에서 정상 피부 온도보다 도포 10분 경과 후 2배, 15분 경과 후 3배의 경피 흡수 효과를 보였다. 피부임상평가에서는 임상대상자 모두 특이한 이상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며 수분, 유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온열은 유효물질 경피 흡수 촉진과 피부상태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온열을 이용한 다양한 뷰티디바이스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식품 중 수용성 비타민 분석을 위한 전처리법의 비교 (Comparision of Preparation Methods for Water Soluble Vitamin Analysis in Foods by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김형수;장덕규;우동균;우강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1-150
    • /
    • 2002
  • 식품에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의 분석을 위하여 식품 중 단백질, 탄수화물 등과 결합하고있는 수용성 비타민을 추출 과정에서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행하여온 어떤 화학적 처리도 병용하지 않고 단백질 분해효소인 bromelain과 소의 췌장에서 추출한 protease 및 ${\alpha}-amylase$를 이용하여 결합을 절단하는 순수한 효소처리방법만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비타민 시료용액을 $C_{18}$ Sep-Pak solid phase extraction column으로 정제하여 추출된 비타민을 한 column상에서 한번에 모두 역상 HPLC로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으로 표준 수용성 비타민의 회수율과 돼지고기 및 감자 중의 수용성 비타민분석 결과와 이 들 식품에 수용성 비타민을 강화하였을 때 강화 비타민의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를 A.O.A.C.방법에 따라 추출 정제하여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Bromelain 처리와 A.O.A.C.법에서 표준수용성 비타민 중 folic acid가 가장 낮은 37.63%와 48.18%를 나타내었고 protease 처리에서는 pyridoxal이 가장 낮은 75.45%를 나타내었다. Niacinamide를 제외하고는 효소처리법이 A.O.A.C.법보다 높은 회수율을 보였다. 돼지고기 중 수용성비타민은 효소 처리방법에서 aminobenzoic acid, pyridoxal, pyridoxine, niacinamide 및 thiamin 등 6가지가 검출되었고 $C_{18}$ Sep-Pak column에 의한 정제에도 불구하고 불순 peak들이 많이 나왔으나 정량에 방해되는 불순 peak는 없었고 A.O.A.C.방법에 의한 추출 정제 시 niacinamide와 thiamin정량에 있어서 불순 peak에 의하여 정확한 정량이 불가능하였다. 돼지고기에서 특히 단백질과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비타민 $B_6$의 경우 문헌에 보고된 값들 보다 상당히 높은 값으로 정량되어 단백질 함량이 높은 시료에 대하여 별도의 정제과정이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강화 돼지고기 중의 강화 비타민의 회수 율은 표준 비타민 보다 회수율이 높고 정확하였다. 감자의 경우 protease처리에서 aminobezoic acid, pyridoxal, pyridoxine 및 thiamin 등 4가지가 검출되었고 bromelain 처리에서는 pyridoxal이 검출되지 않았다. 효소처리법에서 돼지고기와 마찬가지로 $C_{18}$ Sep-Pak column에 의한 정제로도 불순 peak가 많았으나 정량에 방해되는 불순 peak는 없었다. A.O.A.C.방법에서 pyridoxamine과 thiamin정량에서 불순 peak로 인하여 정확한 정량이 불가능하였다. 비타민 $B_6$의 경우 돼지고기와 달리 문헌에 나타난 값들과 비슷한 결과를 얻었는데 이는 단백질 함량이 낮은 관계로 판단된다. 비타민 강화 감자에서 강화 비타민의 회수 율도 돼지고기와 마찬가지로 상당히 정확하였고 A.O.A.C.법보다 높게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