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ly bred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초

표고 신품종 '밤빛향'의 육성 및 특성 (Breeding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newly bred Lentinula edodes strain, 'Bambithyang')

  • 박영애;장영선;유림;가강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5-150
    • /
    • 2020
  • 최근 표고버섯의 맛과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동아시아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기후변화와 재배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고품질의 표고버섯 품종개발의 요구도는 날로 높아지는 실정이다. '밤빛향'은 산백향과 산조707호을 모본으로 하여 일핵 균주간의 교잡을 통해 새로이 육성된 품종이다. 배양기간은 100일이며, 발생온도가 11-20℃로 한여름과 한겨울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 재배가 가능한 품종이다. 버섯의 형태는 평반구형으로 대는 갓의 중심에 위치하며, 갓의 직경은 69.6 mm이며, 갓의 두께는 15.2 mm이다. 버섯 갓의 색깔은 진한 갈색으로 일반적인 표고의 갓 색깔보다 짙다. 버섯의 주름살 측면의 모양은 부정형으로 주름살의 밀도는 보통이지만, 폭이 좁다. 인편의 색깔은 옅은 미(米)색이며 인편은 갓의 전체에 퍼져 있다. 대의 모양은 기둥형과 깔대기형이 섞인 모양이고, 색깔은 옅은 미(米)색으로 주름살의 색깔과 같다. 대의 표면에는 털이 있으며 털의 색, 대의 털 색, 갓의 인편 모두 옅은 미(米)색으로 존재한다. 버섯은 산발 발생하여 솎아주기가 거의 필요 없다. 모균주인 산백향과 산조 707호와의 대치배양에서 확연하게 대치선을 형성하였다. 종합적으로 자실체의 형태는 정성적으로 양호한 평가를 얻었고 정량적으로 대조품종 산백향의 대길이보다 약 9% 줄이는 효과와 갓두께는 16.9% 두꺼운 결과를 얻었다. 목표로 했던 모균주 산조707호의 짧은 대길이의 특성이 유전되었고 산백향의 생산성이 유전된 것으로 판단된다.

표고 톱밥재배용 무포자 신품종 '대담'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spore-less cultivar Lentinula edodes 'Daedam' for sawdust cultivation)

  • 김정한;강영주;이채영;김연진;최준영;이찬중;하태문;임갑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4-159
    • /
    • 2023
  • 표고 톱밥재배용 무포자 품종의 육성을 위해 수집균주 중 우량계통의 단포자 교배를 통해 육성된 '대담'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담'의 균사생장 적온은 22~.25℃, 발이 및 생육온도는 16~18℃이었으며, 자실체 형태는 평반구형이며 갓을 형성하지 않는 무포자품종이다. '대담'은 배양기간이 21일, 갈변기간 96일로 대조품종('화담')과 유사하였고, 발이기간은 5일, 생육기간은 9일로 전체 재배기간은 134일로 같았다. '대담'의 개체중은 32.4g으로 대조품종과 유사하였고, 유효개체수는 6.8개로 대조품종 보다 1.3개 낮았으며, 총수량은 222g으로 대조품종의 266g에 비해 낮았다. '대담'의 자실체는 대조품종 대비 갓이 두껍고, 갓 직경은 다소 작았으며, 대의 굵기는 작고 긴 특성을 보였다. '대담'의 배지형태별 생산성 분석결과, 1.2kg 원통형 배지에서 생물학적 효율이 26.7%로 3kg 봉형배지보다 높았으며, '하나참'와 비교 시 재배기간이 40일 짧고 수량도 유사하여, 단기 재배용 품종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표고 톱밥재배용 신품종 '자담'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Lentinula edodes Cultivar 'Jadam' for Sawdust Cultivation)

  • 김정한;백일선;최종인;신복음;강영주;하태문;정구현;김연진;최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93-102
    • /
    • 2022
  • 국내 톱밥재배용 우수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기존의 육성품종과 수집 우수계통으로부터 단포자 교배를 통해 육성한 '자담'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균사생장 적온은 22-25℃, 발이 및 생육온도는 13-20℃이었으며, 자실체 형태는 '평반구형', 발생형태는 '산발형'으로 나타났다. '자담'은 배양기간 25일, 갈변기간 86일, 발이기간 4일, 생육기간 7-9일로 첫주기 버섯 수확까지 총122-124일 소요되었고, 대조품종보다 발이기간이 2일 짧았다. '자담'의 3주기 평균 개체중은 44.6 g으로 대조품종과 유사하였고, 평균 유효개체수가 대조품종 보다 2.1개 많아 총수량이 623.8 g으로 대조품종(455.2 g)대비 약 37% 높은 수량을 보였다. '자담'의 자실체는 대조품종 대비 갓 두께는 유사하였으나, 대의 길이와 굵기가 작았다. 실증 결과, '자담'은 배양기간 26일, 갈변기간 84일로 대조품종(L808)에 비해 배양기간이 10일 짧았으며 2주기 총수량이 543.3 g으로 대조품종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최근 육성 포도 품종과 해외 도입 품종들의 생육 및 과실 특성 분석 (Growth & Development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and Introduced Grape Cultivars)

  • 김수진;이동훈;허윤영;임동준;박서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90-49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최근 도입되거나 육종된 품종 등을 대상으로 생육 및 과실 특성을 알아보고 국내 적응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품종간 발아율은 'Stella'가 91.6%로 가장 높았고, 'My Heart'(78.3%), IFG-6(77.3%), 'Hongju Seedless'(73.2%) 순이었다. 품종별 꽃송이 발생률을 보면 'Stella' 품종이 113.5%로 가장 높았으며 'IFG-6' 품종의 꽃송이 발생률은 45.3%로 다른 품종에 비해 낮았다. 신초의 굵기는 'Hongju Seedless'를 제외하고 나머지 세 품종에서는 11.0 mm 이하로 조사되었으며, 'Hongju Seedless'는 12.5 mm로 가장 굵고 'Stella'는 9.6 mm로 가장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립 무게는 'My Heart' 품종이 11.3 g으로 다른 품종에 비해 무거웠으며, 'Stella', 'IFG-6', 'Hongju Seedless' 순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수확기 당도는 약19.0°Bx 이상이었으며, 'IFG-6'가 20.2°Bx로 가장 높았으며, 'My Heart', 'Stella', 'Hongju Seedless' 순으로 낮았다. 산도 함량은 'My Heart' 품종이 0.39%로 가장 낮았으며, 'IFG-6', 'Stella', 'Hongju Seedless' 순으로 높았다. 착색은 'My Heart'의 경우 수확기가 지났는데도 불구하고 과피색이 붉은색으로 잘 변하지 않았으며, 불규칙적으로 포도에 착색이 되는 특징이 있어 착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재배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heritance of Tolerance of Maize Inbreds to Exserohilum turcicum in North Korea

  • Kim, Soon-Kwon;Lee, Duk-Kyu;Lee, Joon-Ho;Jeong, Jae-Bong;Nwe, Win-Win;Han, Hyoung-Jai;Lee, Kwang-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91-106
    • /
    • 2013
  • Exserohilum turcicum is considered serious destructive disease of maize (Zea mays L.) in North Korea.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genetic inheritance and combining ability of newly bred lines of maize tolerant to E. turcicum by diallel crosses. Three diallel sets for two different ecological regions and one agronomic trait; eastern (E), northern (N) and stay green (SG) involving 29 inbred lines were tested in eight locations of 2000 and 2001. E. turcicum infections were under natural conditions, respectively. Lines used were selected for high yield potential in test crosses with good agronomic traits and tolerance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Selection for race specific high resistance to biotic stresses was avoided to select quantitatively inherited genes. Host plant responses to E. turcicum were rated on a scale of 1 (highly tolerant) to 9 (highly susceptible). Highly significant variations were recorded in all trials.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mean square was roughly twice that of specific combining ability (SCA). The genotype (G) by environment (E) interaction was highly significant. The overall results of genetic studies in three diallel sets show that genetic control for inbred tolerance to E. turcicum is polygenic and quantitatively inherited. New inbreds; E-3, N-1 and SG-4 confer better tolerance to E. turcicum than the widely used inbreds; Mo17, and B73. Proper use of genetic information from this study shall increase of corn production under high E. turcicum infection in the Far Eastern Regions of Korea and China.

Determination of growth performance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for twelve weeks after hatching

  • Cho, Hyun Min;Wickramasuriya, Samiru Sudharaka;Shin, Taeg Kyun;Kim, Eunjoo;Heo, Jung Min;Yi, Young-Joo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4호
    • /
    • pp.566-573
    • /
    • 2017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performance, viability, and uniformity of female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for the first twelve weeks after hatching. Six crossbreed lines of chickens (1B, 2B, 3B, 4B, 5B, and 6B) bred from 1 paternal line and 6 maternal lines of KNC were compared in this study. Sixty newly hatched 1-day old chicks from each crossbreed, for a total of 360 chickens, were allocated into 6 replicates (10 birds per replicate) in a complete randomized design. Experimental diet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3 phases: 1) week 0 to 5, crude protein 20.3% and metabolizable energy 3,059 kcal/kg; 2) week 5 to 8, crude protein 18.6% and metabolizable energy 3,123 kcal/kg; and 3) week 8 to 12, crude protein 16.7% and metabolizable energy 3,187 kcal/kg. Body weight and feed intake were measured bi-weekly during the experiment. The 4B crossbreed had a higher body weight, average daily gain,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on week 12 (p < 0.05) than the other groups. The 4B crossbreed had a lower (p < 0.05) uniformity during weeks 10 to 12 than crossbreeds 1B and 5B. However, a lower viability was observed (p > 0.05) in 4B in weeks 2 to 12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the 4B crossbreed had a higher growth performance in week 12 but had a lower viability for weeks 2 to 12 than the other crossbreeds.

벼의 생산력 분석 - (III) 군락구조의 동적변화 - (Analysis of Productivity in Rice Plant - (III) Dynamic Change of Canopy Structure -)

  • 박훈;박영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1호
    • /
    • pp.41-47
    • /
    • 1972
  • 새로 육종된 다수성 품종인 IR 667-수원 213과 진흥을 사용하여 출수후 군락구조의 등적 변화를 질소영양과 관련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군락주조 패턴 (출수기 건물중 수직분포)은 진흥에서는 수직형이고 IR 667에서는 수평형이었다. 2. 엽면적 밀도 (또는 무게)의 수직분포 패턴이 IR 667은 중앙부 우세형으로 진흥은 상부 우세형으로 분류되었다. 3. 군락구조 보존패턴과 엽면적 백분율 분포패턴은 엽면적밀도의수직분포패턴을 따랐다. 4. 군락보존력은 IR 667이 약하여 군락보존율이 낮으며 이는 엽의노화가 빠른것을 나타낸다. 5. 질소영양이 군락구조패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지만 질소의 느린공급(유황입힌요소)은 구조의 중앙부를 보존하여 상부우세형을 중앙부 우세형으로 변환 시키려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것이 수량 증가의 원인이 된것같다. 6. 증앙부우세형과 상부우세형은 곡실생산에서의 상위엽의존형과 하위엽 의존형에 각기 잘 적합한것 같다.

  • PDF

신육성 사과 '홍로', '감홍' 품종의 포장재 적용과 CA 저장에 따른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ckaging Film Application and CA Storage on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Hongro' and 'Gamhong' Apples)

  • 정대성;홍윤표;최지원;이정수;이윤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24-431
    • /
    • 2005
  • '홍로 (Hongro)'와 '감홍 (Gamhong)' 고품질 사과 품종의 저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미숙과와 적숙과에 대한 알맞은 수확시기 설정과 적정 저장온도, 저장방법 등에 따라 과실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신육성 '홍로 및 감홍'은 상온 저장 상태에서 climacteric 호흡 경향을 보여 주었다. CA 저장이 실험한 저장 방법 중 선도 유지에 가장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3% $CO_2$ 와 1% $O_2$의 CA 저장에 보관한 사과가 가장 적은 품질변화를 나타냈다. ‘홍로 및 감홍‘의 신선도는 상온 저장에서 3주, PE 필름 저장은 12주, 그리고 CA 저장은 16주까지 각각 유지되었다.

Effect of Plant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on Growth and Yield in Heavy Panicle Weight Type of Japonica Rice

  • Kim, Bo-Kyeong;Kim, Hyun-Ho;Ko, Jae-Kwon;Shin, Hyun-Ta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6-111
    • /
    • 1999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on growth and yield potential of newly bred heavy panicle japonica rice with large grain (Iksan 435 and Iksan 438) or many spikelets per panicle(HR14022-21-8-4 and HR14022-21-8-6), four heavy panicle type rices and two many panicle type rices(Dongjinbyeo and Donganbyeo) as the checks were planted under standard planting density (30$\times$15 cm) and dense planting density (15$\times$15 cm) with two nitrogen levels of standard nitrogen level(110 kg h $a^{-1}$) and heavy nitrogen level(165 kg h $a^{-1}$). Effective tiller rate decreased in dense planting or heavy nitrogen, when compared to standard nitrogen and planting, while leaf area index and to dry weight increased in dense planting or heavy nitrogen. Tiller numbers and panicle numbers were more increased by dense planting than heavy nitrogen, whereas spikelet numbers were more increased by heavy nitrogen than dense planting. Ripened grain ratio was slightly lower only in dense planting. 1,000 grain weight in brown ri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dense planting or heavy nitrogen. Milled rice yield was highest in heavy nitrogen with standard planting for heavy panicle type rice, while yield for many panicle type rice was highest in heavy nitrogen with dense planting, suggesting that many panicle type rice possesses higher adapt-ability for dense planting than heavy panicle type rice. Path coefficient analysis revealed that top dry weight, spikelet number and grain weight were the greatest positive contributors to yield, whereas tiller number was negative to yield.d.

  • PDF

Effects of Seeding Date and Rate on Growth and Yield of Barley Cultivar 'Duwonchapssalbori' in Southern Region

  • Chun, Jong-Un;Park, Hae-Sik;Nam, Jung-Hy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4-19
    • /
    • 2000
  • In order to develop an appropriate cultural practice for a newly bred 2-rowed, waxy, naked barley cultivar 'Duwonchapssalbori' in the southern region, 2 varieties, 3 seeding dates, 4 seeding rates were designed with 2 replications. The heading and maturity dates of 'Duwonchapssalbori' were' earlier than 'Saessalbori by 2-5 and 4 days, respectively. Culm length of 'Duwonchapssalbori' was 60 to 66cm with lodging resistance. Grain yields of both varieties were 4.28-4.33 ton/ha in the plot of Oct. 20 seeding, 4.11-4.18 ton in the plot of Oct. 28 seeding, and 3.7-13.89 ton/ha in the Nov. 5 seeding. Grain yield with different seeding rates highly significantly fitted with secondary polynomial equations in the plots of Oct. 20 and Oct. 28 seedings ($R^2$=0.84-0.85), showing the greatest yield with seeding rate of 140kg per ha. However, the grain yield with various seeding rates in the plot of Nov. 5 seeding showed simple linear regression ($R^2$=0.71), showing the seeding rate over 160kg in the case of later seeding to be optimal. Number of spikes per $m^2$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grain yield, and fitted to simple linear regression ($R^2$=0.881-0.891), suggesting that plenty of early stands should be established at early seedling stage for high grain yield. Young spikes of 'Duwonchapssalbori' in the plot of Oct. 20 seeding elongated with linear increments since Feb. 10 (6.7mm), and showed rapid increment since March 7 (15.1mm). However, elongation of young spikes of 'Saessalbori' began from March 15 with slow increments. From these studies, the optimum seeding date and seeding rate in 'Duwonchapssalbori' were Oct. 20-28 and 140kg per ha for high grain yield in the southern reg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