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Antimicrobial Agent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8초

여드름균(Cutibacterium acnes)에 대한 해조류 추출물의 항균효과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dible Seaweeds Extracts Against Cutibacterium acnes)

  • 이명석;임미진;이정민;이대성;김영목;엄성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11-117
    • /
    • 2021
  • The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n alternative therapeutic agent against acne vulgaris, one of the most common skin diseases, to meet the continuing demand for new therapies. Acne vulgaris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acne-causing bacteria such as Cutibacterium acnes.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agents against acne vulgaris, we evaluated the potential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dible seaweeds against C. acnes in Korea. Forty-one edible seaweeds, including the brown, green, and red varieties, were selected for the antibacterial test. In comparison with other seaweeds, 70% ethanolic extracts of brown seaweeds, such as Cladophora wrightiana var. minor, Eisenia bicyclis, Ecklonia cava, Ishige foliacea, Ishige okamurae, Sargassum filicinum, and Sargassum miyabei Yendo, exhibited potential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C. acnes wit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ranging between 64 and 128 ㎍/mL. To investigate the active anti-acne agents an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C. acnes, further solvent-fractionation experiments are warranted. The findings imply that brown seaweeds can be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gents against acne vulgaris.

Innovative Application of Cold Plasma Technology in Meat and Its Products

  • Dinesh D. Jayasena;Taemin Kang;Kaushalya N. Wijayasekara;Cheorun J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087-1110
    • /
    • 2023
  • The growing demand for sustainable food production and the rising consumer preference for fresh, healthy, and safe food products have been driving the need for innovative methods for processing and preserving food. In the meat industry, this demand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new interventions aimed at extending the shelf life of meats and its products while maintaining their quality and nutritional value. Cold plasma has recently emerged as a subject of great interest in the meat industry due to its potential to enhanc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meat and its products. This review discusses the latest research on the possible application of cold plasma in the meat processing industry, considering its effects on various quality attributes and its potential for meat preservation and enhancement. In this regard, many studies have reported substantial antimicrobial efficacy of cold plasma technology in beef, pork, lamb and chicken, and their products with negligible changes in their physicochemical attributes. Further, the application of cold plasma in meat processing has shown promising results as a potential novel curing agent for cured meat products.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action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cold plasma and food ingredients is crucial for further exploring the potential of this technology in the meat industry, ultimately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safe and high-quality meat products using cold plasma technology.

유산균 배양액 추출액의 항병원성균 효과 및 냉장저장 육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tract of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a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during Cold Storage)

  • 이윤지;고광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476-1480
    • /
    • 2016
  • 본 연구는 젖산균 배양상등액(ELAM)의 항균 효과 및 저온저장 돈육의 보존성과 품질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현재까지 그 항균능력이 연구되지 않은 Lactobacillus sicerae를 비롯해 두 종의 젖산균인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의 비교를 통해 그 항균력과 보존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3종의 ELAM은 모두 돈육등심의 14일간 저온저장 후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돈육의 일반성분, pH, TBARS, 육색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으며 이와 대조적으로 L. sicerae는 다른 두 종의 젖산균 ELAM 처리군에 비해 3종의 병원성 미생물(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성장 억제 능력과 돈육접종 후 14일간의 저온저장 후의 미생물 수에서 유의적(P<0.05)으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예비연구에서 ELAM 처리 돈육의 보수력과 가열감량에도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어 앞으로 L. sicerae의 사용 안전성 및 독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있을 시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연친화적 육류보존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의 전망이 매우 밝다고 판단된다.

In vitro antibacterial and synergistic effect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dible brown seaweed Eisenia bicyclis against acne-related bacteria

  • Lee, Jeong-Ha;Eom, Sung-Hwan;Lee, Eun-Hye;Jung, Yeoun-Joong;Kim, Hyo-Jung;Jo, Mi-Ra;Son, Kwang-Tae;Lee, Hee-Jung;Kim, Ji Hoe;Lee, Myung-Suk;Kim, Young-Mog
    • ALGAE
    • /
    • 제29권1호
    • /
    • pp.47-55
    • /
    • 2014
  • To develop effective and safe acne vulgaris therapies with a continuing demand for new solutions, we investigated unique efficacy of an antibacterial agent from marine brown alga Eisenia bicyclis in treating acne vulgaris. The methanolic extract of E. bicyclis exhibited potential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cne-related bacteria.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bacteria among solvent fractions. Six compounds (1-6), previously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E. bicyclis, were evaluat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cne-related bacteria. Among them, compound 2 (fucofuroeckol-A [FF]) exhibit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cne-related bacteria with a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ranging from 32 to $128{\mu}g\;mL^{-1}$. Furthermore, FF clearly reversed the high-level erythromycin and lincomycin resistance of Propionibacterium acnes. The MIC values of erythromycin against P. acnes were dramatically reduced from 2,048 to $1.0{\mu}g\;mL^{-1}$ in combination with MIC of FF ($64{\mu}g\;mL^{-1}$). The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ices of erythromycin and lincomycin were measured from 0.500 to 0.751 in combination with 32 or $64{\mu}g\;mL^{-1}$ of FF against all tested P. acnes strains, suggesting that FF-erythromycin and FF-lincomycin combinations exert a weak synergistic effect against P. ac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mpounds derived from E. bicyclis can be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bacterial agents and a pharmaceutical component against acnerelated bacteria.

쪽잎의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Bioactivity of Polygonium tinctorium Leaf: Potential Clinical Uses)

  • 성화정;최옥자;박종이;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2-5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염재,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쪽잎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쪽잎의 열수 추출물 및 ethanol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의 항산화, 항균, 항당뇨, 항응고,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쪽잎의 열수 추출효율은 27.6%로 ethanol 추출효율보다 약 2배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의 TP 함량은 51.2 mg/g으로 ethanol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특이하게 총당 함량은 ethanol 추출물(297.8 mg/g)에서 열수 추출물보다 1.2배 높게 나타났다, 반면 TF 및 환원당 함량은 열수 및 ethanol 추출물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p<0.05). 항균 활성 평가 결과, ethanol 추출물은 L. monocytogenes, S. epidermidis, S. aureus 및 B. subtilis의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만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열수 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ethanol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강력한 38.8%의 DPPH 소거능, 84.5%의 ABTS 소거능과 환원력($OD_{700}=0.357$)을 나타내었으나, nitrite 소거능은 열수 추출물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쪽잎 ethanol 추출물은 5 mg/ml 농도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TT는 1.86배, PT는 1.79배, aPTT는 1.65배 연장시켜 매우 강력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빠르게 혈소판 응집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열수 추출물은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를 나타내었다. 현재까지 쪽잎의 항혈전 활성은 보고된 바 없으며, 이러한 쪽잎의 강력한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은 쪽잎을 이용한 항혈전 소재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함초 씨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coagulation Activities of Salicornia europaea seeds)

  • 김미선;김득회;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52-460
    • /
    • 2016
  • 함초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의약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성숙 함초로부터 씨를 회수하고 이의 성분분석 및 유용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함초 씨의 열수 추출효율은 29.6% 이었으며,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TP) 및 total flavonoid (TF) 함량은 각각 25.7 및 11.5 mg/g을 나타내어 성숙기 함초와 유사한 함량을 보였다. Hexane, ethylacetate (EA), butanol을 이용한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 중 EA 분획이 158.3 및 136.2 mg/g의 가장 높은 TP 및 TF 함량을 보였으며, 특이하게 물 잔류물 및 butanol 분획물보다 높은 총당 함량(228.3 mg/g)을 나타내었다. 함초 씨 시료의 항균 활성 평가 결과, EA 분획에서 그람양성 세균에 대한 광범위한 항세균 활성이 나타났으며, butanol 분획에서도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한 강력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함초 씨 열수 추출물은 우수한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강력한 항산화 활성은 EA 분획에서 나타났다. EA 분획의 DPPH 음이온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및 Nitrite 소거능에 대한 $RC_{50}$은 각각 57.0, 29.0 및 $28.9{\mu}g/ml$로 확인되어, vitamin C의 10.7, 4.0 및 $18.0{\mu}g/ml$보다 약하지만 우수한 항산화능을 확인하였다. 항혈전 활성 평가결과, EA 분획은 5 mg/ml 농도에서 thrombin time을 무첨가구에 비해 15배 이상, 7 mg/ml 농도에서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을 15배 이상 연장시켜 아스피린에 필적하는 강력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함초씨 추출물과 분획물(0.25 mg/ml)은 모두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1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의 연구결과는 함초 씨 추출물의 EA 분획의 활성물질을 정제하여 항세균 및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식품과 생의학을 위한 계란 항체생산과 IgY 기술의 활용 (Egg Antibody Farming and IgY Technology for Food and Biomedical Applications)

  • 심정석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국제 심포지움
    • /
    • pp.37-54
    • /
    • 2003
  • 포유동물과 마찬가지로 암탉은 태어날 병아리에게 계란을 통해서 면역항체를 이행시켜 해로운 병원균의 침입으로부터 병아리를 보호해준다 . 즉 어미 닭의 혈청으로부터 특정항체가 난황에 이행되고 이 면역항체를 IgY 라고 부르며 이것이 발육중인 태아와 갓 부화한 병아리의 면역항체가 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면역능력이 낮은 갓 부화한 병아리는 병원균에 대한 방어능력을 계란을 통해 어미로부터 받은 항체를 통해 얻는다. 그 결과, 난황 내에는 많은 양의 IgY를 보유하게 되고 이 면역물질이 있으므로 말미암아 계란 내에 들어와 있는 병원균이냐 외부에서 들어오려는 병원균을 무력화시켜 아무 탈없이 병아리가 부화하게 된다 . 이처럼 산란계에 각종 병원균을 접종함으로서 면역항체 IgY 가 많이 들어 있는 계란을 생산할 수 있다. 난황 1 개에는 136~340 mg 의 IgY 가 들어있고 이는 난황 $m\ell$ 당 8~20 mg의 IgY 가 함유되어 있는 셈이다. 그리고 산란계 한 마리로부터 일년에 30 g 이상의 IgY 를 얻을 수 있다. 산란계에 항원을 접종하여 난황으로부터 IgY 를 수확하면 IgY g 당 10$ 도 안 되는 낮은 비용으로 항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비하여 포유동물의 경우 19 의 IgG 를 얻는데 20,000$가 소요된다. 이와 같은 IgY 제조기술을 의학, 공중 보건, 수의학, 식품안전과 같은 분야에 응용을 함으로써 잠재력이 높은 새로운 시장을 여는 장이 될 것이다. IgY 기술을 더욱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분야들로는 생물제제나 의학진단기구, 생리적 기능성 물질이나 기능성식품의 개발, 질병예방을 위한 경구투여제 그리고 질병감염을 막는 특정 병원균성 항미생물 제제와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IgY 가 함유된 계란을 생산하고 섭취하였을 때 특정항체들의 결합을 통해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이나 군체를 형성하는 것을 무력화시켜 결과적으로 병원균을 감소시키거나 억제시킨다는 점이다. 오늘날 약물에 내성을 지닌 박테리아의 출현으로 질병감염을 막는데 항생제의 사용효과가 점차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계란항체를 이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