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physiological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8초

Drug Discovery Based on Thymopentin for Treating Anxiety and Depression

  • Oh, Young-Im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제3회 추계심포지움
    • /
    • pp.39-40
    • /
    • 1995
  • Thymopoietin(TP) was originally isolated from bovine thymic extracts on the basis of its ability to affect neuromuscular transmission when injected into mice (Goldstein, 1974). A 49 amino acid polypeptide was isolated and sequenced (Schlesinger and Goldstein, 1975). It is now evident that this molecule was created by proteolytic cleavage of larger thymopoietin proteins during isolation, and represents the N-terminal sequence of these proteins. Nevertheless, this proteolytic fragment was active in both neurophysiological and immunological experiments, and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an active pentapeptide. (amino acids 32 to 36, Arg-Lys-Asp-Val-Tyr, thymopentin), which. has been studied as an immunomodulatory drug.

  • PDF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cortico-cortical evoked potentials of the frontal aslant tract in a patient with oligodendroglioma

  • Yang, Ha-rin;Ra, Young-Shin;Koo, Yong Seo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4권1호
    • /
    • pp.21-25
    • /
    • 2022
  • The newly identified frontal aslant tract (FAT) that connects the posterior Broca's area to the supplementary motor area is known to be involved in speech and language functions. We successfully intraoperatively monitored FAT using cortico-cortical evoked potentials generated by single-pulse electrical cortical stimulation in a patient with oligodendroglioma.

Nociplastic pain

  • Jeong Hee Cho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5권2호
    • /
    • pp.78-83
    • /
    • 2023
  • Nociplastic pain refers to pain arising from altered nociception without evidence of tissue or somatosensory damage. It encompasses various clinical conditions with shared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 involving different organ systems. Nociplastic pain can occur independently or alongside chronic pain conditions with a nociceptive or neuropathic origin. This review introduces the concept of nociplastic pain, its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 underlying pathophysiology. Taking a biopsychosocial approach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nociplastic pain and improved treatment outcomes for affected individuals.

조지훈의 시 「선(線)」으로 비유되는 시냅스 활성화의 의미 구조 (The Semantic Structure of Synaptic Activation, Likened to Cho Ji-Hoon's Poem 'Line')

  • 박인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4호
    • /
    • pp.21-26
    • /
    • 2017
  • 이 연구는 조지훈의 시 "선(線)"에 대입되는 신경생리학적 치유의 구조를 분석하여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활용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인체에서의 활동전위가 마음을 표상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전기적 성격을 띤 전하들이 마음의 부호들로 보이며, 인체의 모든 전하들의 활동전위가 함께 종합되어 마음을 체계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조지훈의 시 "선(線)"은 인체의 신경생리학적인 시냅스의 기능인 정보수집과 분석 종합, 정보의 재생산에 대한 과정을 닮아있다. 이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활용도 측면에서 유용한 시의 형태이다. 이러한 조지훈의 시와 같은 형태의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치유의 과정에서 보다 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회전방향과 깊이 지각에서의 양안부등과 Pulfrich 효과의 상호작용 (Interaction of Binocular Disparity and Pulfrich Effect in the Perception of Rotation Direction and Depth of a Transparent Rotating Cylinder)

  • 이형철
    • 인지과학
    • /
    • 제16권4호
    • /
    • pp.243-254
    • /
    • 2005
  • Pulfrich 효과는 운동정보를 처리하는 기제가 깊이정보도 처리할 가능성을 시사하는데, 다양한 신경생리학적 결과들이 이러한 가능성을 지지한다. 대표적인 깊이정보인 양안부등을 처리하는 기제가 Pulfrich 효과도 처리할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지만, 두 가지 정보원이 하나의 자극 내에 공존하는 경우에 두 정보원의 상호작용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정신물리학적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양안부등과 Pulfrich 효과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무선점 반투명 원통체의 회전반향과 깊이를 일관되게 (일치조건) 또는 일관되지 않게 정의하는 조건 (불일치 조건)에서의 원통체의 지각된 깊이와 회전방향을 측정하였다. 일치조건에서 지각된 원통체의 깊이는 양안부등 또는 Pulfrich효과 단독에 의하여 정의된 원통체의 지각된 깊이보다 컸다. 흥미롭게도 불일치 조건에서 원통체의 지각된 회전방향은 양안부둥과 Pulfrich효과의 상대적인 강도에 의하여 조절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양안부등과 Pulfrich효과가 하나의 처리기제를 공유함을 함의한다.

  • PDF

신경생리학적(神經生理學的) 동물실험(動物實驗) (The Neurophysiological Approaches in Animal Experiments)

  • 전진숙
    • 생물정신의학
    • /
    • 제5권1호
    • /
    • pp.3-16
    • /
    • 1998
  • 동물에서 전기현상은 1773년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최근에는 이론과 기술적 면에서의 현저한 발전으로 뇌기능의 기전을 밝히는 도구로서, 또한 심리적 과정에 근저한 행동 및 신경생리학적 기전을 규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아니라 치료적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저자는 뇌와 행동의 기전을 연구하는 한 방법으로서 신경생리학적 접근에 흔히 사용되는 기본적인 기법을 간략히 정리해 보았다. 여기서는 주로 전기생리학적 기법에 중점을 둘 것이나, 병소화와 자극의 부위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신경해부학적 기법에 대해서도 간단히 언급하였다. 실험동물의 선택, 실험동물의 관리, 실험동물의 마취에 있어서 약물투여의 원칙, 투여경로 및 용량 등 동물실험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사항에 대해서 실제적으로 언급하였다. 전기생리학적 실험에 필요한 정위법, 비선택적 및 선택적 병소화 기법, 전기적 자극법(일반적인 방법, 세포외 및 세포내 자극, 미세자극법, 뇌의 심부자극), 측정 및 기록을 위한 제반 기법을 소개하고 실예를 보여주며, 조직학적인 부위 확인을 위해 필요한 일연의 과정으로서 심장내관류법과 흔히 사용되는 신경계의 염색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였다. 또한 기능상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행동검사의 종류도 언급하였다. 신경생리학적 연구 방법은 뇌와 행동의 관계를 밝히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저자는 신경생리학적 동물실험에 많이 쓰이고 있는 기법으로서 정위법, 병소만들기, 전기적 자극, 측정 및 기록, 조직학적 부위 확인 등 일연의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신경화학적 연구, 기능을 점검해 볼 수 있는 행동학적 연구로서 보완이 될 때에 믿을만한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감각조절과 각성의 관련성에 대한 문헌고찰 (Correlation Between Sensory Modulation and Arousal : A Literature Review)

  • 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5-84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감각조절과 각성과의 신경학적인 메커니즘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론 : 감각통합치료에서 아동의 적절한 각성유지는 중요한 이슈이다. 감각입력을 통한 각성 조절을 위해 둘레계 및 그물체는 중요한 관계가 있고, 특히 그물체에서 대뇌피질로 가는 오름그물활성계통은 주요 처리 경로이다. 이때 콜린성 뉴런 및 단가아민계 뉴런 집단 등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이 영향을 미친다. 각성을 위한 메커니즘은 중추신경계 및 자율신경계 기능을 측정하는 뇌파나 피부전기반응 등으로 측정한다. 객관적 신경생리학적 측정을 통해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에서 중추신경계 및 자율신경계 기능이 차이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장애아동에게 적절한 감각을 입력하는 것은 그물체와 둘레계, 대뇌피질을 활성화시켜 최적의 각성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결 론 : 객관적 측정도구를 사용한 연구결과의 제시는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근거기반 임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된다.

뇌졸중 쥐모델에서 비침습적뇌자극치료 이후 신경생리학적 검사에서 나타난 뇌가소성과 연관된 변화 (Plasticity Associated Changes in Neurophysiological Tests Following Non Invasive Brain Stimulation in Stroke Rat Model)

  • 손민균;송희정;지성주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6권2호
    • /
    • pp.62-69
    • /
    • 2014
  • Background: Neuromodulation therapy has been used to an adjunctive treatment promoting motor recovery in stroke patient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on neurobehavioral recovery and evoked potentials in rats with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ethods: Seventy Sprague-Daley rats were induced perman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stroke model and successful stroke rats (n=56) assigned to the rTMS (n=28) and sham (n=28) group. The 10 Hz, high frequency rTMS gave on ipsilesional forepaw motor cortex during 2 weeks in rTMS group. Th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SSEP) and motor evoked potential (MEP) were used to evaluate the electrophysiological changes. Behavioral function of the stroke rat was evaluated by the Rota rod and Garcia test. Results: Forty rats ($N_{rTMS}=20;\;N_{sham}=20$) completed all experimental course. The rTMS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sham group in Rota rod test and Garcia test at day 11 (p<0.05) but not day 18 (p>0.05). The amplitude of MEP and SSEP in rTMS group was larger than sham group at day 18 (p<0.05). Conclusions: These data confirm that the high frequency rTMS on ipsilesional cerebral motor cortex can help the early recovery of motor performance in permanent middle cerebral artery stroke model and it may simultaneously associate with changes in neurophysiological activity in brain.

우울과 불안의 뇌 기능 - EEG, ERP, Functional Neuroimaging, HRV 소견을 중심으로 - (Neurophysiological and Neuroimaging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and Anxiety)

  • 추정숙;이승환;정영조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investigate the neurophysiological and neuroimaging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Medline and psychiatric textbooks. "Electroencephalography (EEG)", "Event Related Potentials (ERP)", "functional neuroimaging",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depression or anxiety" were used as key words. A physiological finding indicated that there was a higher degree of relativity with regards to prefrontal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depression. Right prefrontal lobe hyperactivity and left prefrontal hypoactivity were consistently observed, and abnormalities were observed in other regions (ACC, hippocampus, amygdala, etc.). Therefore, dysfunctions in these areas are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each emotional condition showed specific activation patterns in different brain regions, such as the prefrontal cortex, occipital lobe, temporal lobe, hippocampus, and limbic system, including the amygdala. However, in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the degree of activation was higher in the right hemisphere than in the left hemisphere. The current data support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brain dysfun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at the different activations of various brain regions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 PDF

Increased Frontal Gamma and Posterior Delta Powers as Potential Neurophysiological Correlates Differentia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rom Anxiety Disorders

  • Moon, Sun-Young;Choi, Yoo Bin;Jung, Hee Kyung;Lee, Yoonji Irene;Choi, Soo-Hee
    • Psychiatry investigation
    • /
    • 제15권11호
    • /
    • pp.1087-1093
    • /
    • 2018
  • Objectiv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distinct from anxiety disorders in its etiology and clinical symptomatology, and was reclassified into trauma- and stressor-related disorders in DSM-5. This study aimed to find neurophysiological correlates differentiating PTSD from anxiety disorders using resting-state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Methods Thirty-six patients with either PTSD or acute stress disorder and 79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qEEG data of absolute and relative powers and patients' medication status on the day of qEEG examination were obtained. Electrodes were grouped into frontal, central, and posterior regions to analyze for regional differences. General linear models were utilized to test for group differences in absolute and relative powers while controlling for medications. Results PTSD patients differed from those with anxiety disorders in overall absolute powers [F(5,327)=2.601, p=0.025]. Specifically, overall absolute delta powers [F(1,331)=4.363, p=0.037], and overall relative gamma powers [F(1,331)=3.965, p=0.047] were increased in PTSD group compared to anxiety disorder group. Post hoc analysis regarding brain regions showed that the increase in absolute delta powers were localized to the posterior region [F(1,107)=4.001, p=0.048]. Additionally, frontal absolute gamma powers [F(1,107)=4.138, p=0.044] were increased in PTSD group compared to anxiety disorder group.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increased overall absolute delta powers and relative gamma powers as potential markers that could differentiate PTSD from anxiety disorders. Moreover, increased frontal absolute gamma and posterior delta powers might pose as novel markers of PTSD, which may reflect its distinct symptomat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