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logic

검색결과 1,287건 처리시간 0.033초

A Reappraisal of the Necessity of a Ventriculoperitoneal Shunt After Decompressive Craniectomy in Traumatic Brain Injury

  • Yu, Seunghan;Choi, Hyuk Jin;Lee, Jung Hwan;Ha, Mahnjeong;Kim, Byung Chul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3권4호
    • /
    • pp.236-241
    • /
    • 2020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ypothesis that not every patient with hydrocephalus after decompressive craniectomy needs cerebrospinal fluid diversion, and that cranioplasty should be performed before considering cerebrospinal fluid divers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67 individual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ho underwent cranioplasty between January 1, 2019 and December 31, 2019. Patients' clinical and radiographic progression was reviewed retrospectively based on their medical records. Results: Twenty-two of the 67 patients (32.8%) had ventriculomegaly on computed tomography scans before cranioplasty. Furthermore, 38 patients showed progressive ventriculomegaly after cranioplasty. Of these 38 patients, only six (15.7%) showed worsening neurologic symptoms, which were improved by the tap test; these patients eventually underwent ventriculoperitoneal shunt placement. Conclusions: Cerebrospinal fluid diversion is not always required for radiologically diagnosed ventriculomegaly in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after decompressive craniectomy. A careful clinical and neurologic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before placing a shunt.

소아연령에서 질환별 진정에 관한 연구 (Study of sedation according to neurologic and non-neurologic pediatric patients)

  • 김정화;김민선;이대열;김선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0호
    • /
    • pp.1047-1051
    • /
    • 2008
  • 목적: 소아 환자에서의 검사 시 필수적인 수면유도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 시술자에 따라 선택이 다양하며, 대상 환자에 따라 그 효과 또한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사용된 약물에 따라 약물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신경계 질환자와 비 신경계 질환자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7년 2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전북대학교 병원 소아과에서 뇌파 또는 신경 방사선학적 검사를 위해 수면유도를 시행한 172명과 요로감염 환자 등 비 신경계 환자 274명, 총 446명의 소아과 환자를 대상으로 수면 유도 성공여부, 추가 약물, 부작용 발현 등 전향적인 방법으로 연구를 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는 신경계 질환자 172명(남: 101명, 여: 71명), 비 신경계 질환자 274명 (남: 211명, 여: 63명)이었다. 수면유도에 사용 된 약물은 chloral hydrate(150/172명, 274/274명으로 각각 87.20%, 100.0% 평균 용량: 50.0 mg/kg), ketamine 17/172 (9.8%), midazolam 5/172 (2.9%) 순서로 사용 되었다. 수면유도의 성공률은 chloral hydrate의 경우 420/424 (99.1%), ketamin은 12/17 (70.6%), midazolam은 3/5 (60%)였다.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총 수면 유도 성공률은 435/446 (97.5%)였으며, 부작용의 발생률은 3.1%로 검사 시행 중에 환자가 깨거나 구토를 하는 것이었으며, 대개는 경미하였고 임상적으로 유의한 부작용은 아니었다. 신경계 환자의 경우 172명이 분석되었는데 뇌파를 위한 수면유도는 136명, DMSA renal scan은 5명, 뇌 전산화 단층 촬영은 3명, 뇌 자기 공명 영상은 28명이었다. 이들 그룹의 성공률은 뇌파의 경우 94.9%, DMSA renal scan 100%, 뇌 전산화 단층 촬영 100 %, 뇌 자기 공명 영상 89.3%였다. 비신경계 환자의 경우 274명을 분석하였고, 모두 DMSA renal scan을 시행하였으며, 성공률은 99.6%였다. 결 론: 수면유도는 영 유아의 경우 소아과 영역에서 술기를 실시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수면유도를 위한 약물에 관하여 여러 논란이 존재한다. 각각의 수면유도 약물사이에 성공률과 부작용 발생률에 따라 술기에 맞게 약물을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환자 요인 분석에 따르면 신경계 환자의 경우 다른 환자 군에 비교하였을 때 수면유도가 힘든 점으로 미루어보아 일차 약물의 선택에 있어서 다른 기준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중증 주산기 가사 환아에서 시행한 초기 뇌파 검사의 임상적 의의 (The Significance of the Early Electroencephalographic Findings in Severely Asphyxiated Newborn Infants)

  • 이종욱;최원정;김천수;이상락;김준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8호
    • /
    • pp.784-788
    • /
    • 2003
  • 목 적 : 주산기 가사 환아는 뇌손상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임상경과와 예후를 나타낸다. 이에 초기 뇌파의 소견이 저산소성 뇌증 환아의 임상경과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소아과 신생아 중환자실에 1분 Apgar 점수 3점이하의 중증 주산기 가사소견으로 입원했던 만삭아를 생후 3일 이내에 시행한 초기 뇌파검사 소견으로 미세 변화군(정상, 국소성 극파 혹은 서파)과 전반적 이상군(다형성 극파, 돌발-억제파(burst-suppression), 전반적 저전위파)으로 나누어서 각 군간 입원시 혈액 검사소견(암모니아, 요산, 젖산, pH), 임상소견(입원기간, 산전 모성 위험인자 유무, 경련유무 및 지속기간, 기계적 환기 필요여부, 경구수유 시작시기), 예후(사망 혹은 발달장애 유무) 등을 비교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총 25명 중 미세 변화군은 15명, 전반적 이상군은 10명이었으며 양군 모두 외부 출생아가 70% 이상으로 많았다. 두 군간 성별, 평균 재태 기간, 출생 체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미세 변화군에 비해 전반적 이상군에서 산전 모성 위험인자 내재(20.0% vs 60.0%), 평균 경련 지속기간(1.5일 vs 5.5일),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경우(20.0% vs 60.0%) 및 경구수유 시작시기(3.2일 vs 9.9일)가 의미있게 늦었으나 경련 동반율(66.7% vs 100.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망 혹은 발달장애를 동반한 나쁜 예후로의 진행은 미세 변화군 중 13.3%에 비해 전반적 이상군 중 60.0%로 의의있게 많았다(P<0.05). 결 론 : 주산기 가사에 노출된 환아들의 초기 뇌파검사 소견에서 다형성 극파나 돌발-억제파, 전반적 저전위파 등의 전반적 이상이 있는 경우 나쁜 임상 경과와 예후를 보여서, 주산기 가사 환아들의 예후를 예견하는데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침치료가 굶긴 쥐 시상하부에서 neuropeptide Y(NPY)와 leptin receptor(LR)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ffect of Acupuncture on the Expressions of Neuropeptide Y and Leptin Receptor in the Hypothalamus of Food-deprived Rats)

  • 김미아;정우상;문상관;김영석;김창주;조기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3-121
    • /
    • 2013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침치료가 비만치료의 주요방법인 식욕억제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굶긴 쥐 시상하부에서 NPY와 LR의 발현 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방 법 : 생후 6주 Sprague-Dawley rats를 한 군에 다섯 마리씩 배정하여 대조군-무치료, 대조군-이침치료, 대조군-족삼리치료, 대조군-임의혈치료, 실험군-무치료, 실험군-이침치료, 실험군-족삼리치료, 실험군-임의혈치료의 8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군은 3일간 물만 공급하고 사료를 금식시켰고, 침자극은 하루 2회 3일간 시행하였다. 침은 직경 0.3 mm 이었고, 양측혈을 사용하였고, 2-4 mm 깊이로 자입 하였으며, 20분 유침하였다. 3일 후 pentobarbital로 마취하여 사망시켰고, 4% paraformaldehyde로 조직을 고정한 후 뇌조직을 관상으로 $40{\mu}m$두께로 잘랐다. 식욕조절중후인 시상하부의 paraventricular nucleus(PVN)에서 NPY와 LR의 발현을 면역조직법으로 보았다. 결 과 : 굶기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굶긴 실험군에서 시상하부 PVN 에서 NPY의 증가와 LR 감소가 나타났다. 굶긴 실험군에 이침, 족삼리, 임의혈 자침시 시상하부 PVN 에서 NPY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침이 타침 자침에 비하여 NPY의 감소를 더욱 크게 나타냈다. 굶기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이침, 족삼리, 임의혈 자침시 NPY의 증가가 있었으며 이는 자침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굶긴 실험군에 이침 자침 시에만 시상하부 PVN에서 LR의 증가가 있었으며 정상상태에서 자침시 LR 발현의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연구결과로서 이침치료가 식욕을 억제하는데 가장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생아 간질 중첩증의 임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eonatal Status Epilepticus)

  • 정경훈;김윤희;권영세;전용훈;김순기;손병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2호
    • /
    • pp.1342-1347
    • /
    • 2005
  • 목 적 : 신생아의 가장 흔한 신경학적 증상은 경련이다. 뇌는 아직 미숙한 상태로 이 시기의 경련은 경련 자체로도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심각하고 영구적인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경련을 조기에 진단하고 원인을 찾아내고 적절한 치료를 조속히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신생아 경련은 소아나 성인의 경련과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는데, 특히 지속성 신생아 경련에서의 원인, 형태, 예후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1998년 7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인하대학교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신생아 중 지속성 경련을 보인 36명을 대상으로, 경련이 발생한 시기, 원인, 경련형태, 지속시간, 뇌파, 예후를 기록지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환아의 남녀비는 1.1 : 1이었고, 재태기간은 $37.0{\pm}3.6$주, 체중 $2.70{\pm}0.82kg$, 경련은 생후 2일(평균 중앙값)에 발생하였다. 원인질환은 미숙아에서는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50.0%), 뇌출혈(33.3%), 만삭아에서는 특발성(37.5%),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29.2%) 순이었다. 뇌출혈은 미숙아에서 의미있게 높았다(P=0.034). 경련의 형태는 비정형적, 전신 강직, 다소성 근간대성 순으로 많았다. 전신 강직 형태일수록 사망 및 신경학적 후유증이 많았고(P<0.05), 비정형적 경련은 정상이 많았다(P<0.05). 경련의 발생시기는 생후 1일에 25.0%(9례)였으며 생후 2일 이내에 52.7%(19례), 생후 7일 이내에 80.5%(29례)에서 발생하였다. 미숙아와 만삭아 모두 생후 3일 이후에 발생한 경우 예후가 좋았다(P=0.016). 경련의 지속시간은 30분-1시간이 19례(52.8%)로 가장 많았지만, 지속시간이 1시간 이상일수록 신경학적인 후유증이 많이 발생하였다(P=0.002). 출생체중이 1,000 g 이하에서는 전부 사망하였지만, 체중 및 재태기간은 예후와 관련성이 적었다. 뇌파에서 전신성 강직 발작은 주로 심한 배경파 억제나 전기적 경련으로, 비정형적 경련은 주로 정상소견을 보였다(P<0.05). 결 론 : 지속성 신생아 경련에서 재태기간과 체중은 예후와 관련성이 적었지만, 경련발생시기가 빠를수록, 경련 지속시간이 길수록, 전신성 강직 형태의 경련일수록 나쁜 예후를 보였다.

Leukoaraiosi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s Related to Long-Term Poor Functional Outcome after Thrombolysis in Acute Ischemic Stroke

  • Choi, Jae-Hyung;Bae, Hyo-Jin;Cha, Jae-Kw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2호
    • /
    • pp.75-80
    • /
    • 2011
  • Objective : Leukoaraiosis (LA) has been suggested to be related to the poor outcome or the occurrence of symptomatic intracerebral hemorrhage (sICH) after acute ischemic stroke.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LA on long-term outcome and the occurrence of sICH after thrombolysis in acute ischemic stroke (AIS). Methods : In this study, we recruited 164 patients with AIS and magnetic resonance image (MRI)-detected thrombolysis. The presence and extent of LA were assessed using the Fazekas grading system.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score was used to assess the baseline measure of neurologic severity, and the modified Rankin Scale score assessment was used up to 1 year after thrombolysis. Results : Of 164 subjects, 56 (34.2%) showed LA on MRI. Compared to the 108 patients without LA, the patients with LA were of much older age (p<0.01), had a higher prevalence of hypertension (p<0.01), and had a much poorer outcome at 90 days (p=0.05) and 1 yr (p=0.01) after thrombo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CH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LA on MRI. In univariate analysis for the occurrence of poor outcome at 90 days after thrombolysis, the size of ischemic lesion on diffusion weighted images (DWI), [odds ratio (OR), 1.03;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1.01-1.04; p<0.01], recanalization (OR, 0.03; 95% CI, 0.01-0.10; p<0.01), sICH (OR, 12.2; 95% CI, 1.54-95.8), neurologic severity (OR, 1.17; 95% CI, 1.09-1.25; p<0.01), blood glucose level (OR, 1.01; 95% CI, 1.00-1.02; p=0.03), and the presence of LA on MRI (OR, 2.01; 95% CI, 1.04-3.01; p=0.0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neurologic severity (OR, 1.14; 95% CI, 1.04-1.24; p<0.01), recanalization (OR, 0.03; 95% CI, 0.01-0.11; p<0.01), lesion size on DWI (OR, 1.02; 95% CI, 1.01-1.03; p=0.02), serum glucose level (OR, 1.01; 95% CI; 1.01-1.02; p=0.03), and the presence of LA on MRI (OR, 3.2; 95% CI, 1.22-8.48;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trends persisted up to 1 yr after thrombolysis.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the presence of LA on MRI might be related to poor outcome after use of intravenous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in AIS.

상완 신경총에 발생한 신경초종의 수술적 치료 결과 (Surgical Outcomes of Schwannoma Occurred at the Brachial Plexus)

  • 이혁진;이영호;공현식;이승환;이준오;노영학;김강욱;백구현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10
  • Schwannoma of the brachial plexus region is very rare. There has not been general agreement in terms of surgical outcome from limited number of studies. We analyzed surgical outcomes from 11 cases of schwannomas which occurred in the brachial plexus. From February 2000 to August 2009, 11 patients with schwannomas of the brachial plexus region were surgically treated by a single surgeon.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MRI of our cases, and evaluated the neurologic deficit and the recurrence of tumors after surgery. All the cases were proven histologically as schwannoma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2.6(36~67) years old, 4 of them were male and 7 were female. The tumor was located in the left side in 9 patients, and right in 2. The mean postoperative follow-up was 24.7(6~78) months. Initial presentation was usually painless, palpable mass. The mass was located in various level of the brachial plexus such as root, trunk, cord, or terminal branch level. The size of mass was from $1.5{\times}1.5{\times}0.5$ cm to $11.0{\times}10.0{\times}6.0$ cm. Eight of 11 patients showed no neurologic deficit. Three patients showed postoperative neurologic deficit; two of them had transient sensory deficit, and one of them had weakness of flexor pollicis longus and 2nd flexor digitorum profundus. There were no recurrences. The schwannoma of the brachial plexus reg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curable lesion with an acceptable surgical risk of injury to neurovascular structures. With precise surgical techniques, these tumors can be removed to improve patient's symptoms with minimal morbidity.

  • PDF

Comparison of the Outcomes between Axillary and Femoral Artery Cannulation for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 Lee, Hong-Kyu;Kim, Gun-Jik;Cho, Joon-Yong;Lee, Jong-Tae;Park, Il;Lee, Young-O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2호
    • /
    • pp.85-90
    • /
    • 2012
  • Background: At present, many surgeons prefer axillary artery cannulation because it facilitates antegrade cerebral perfusion and may diminish the risk of cerebral embolization. However, axillary artery cannul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as a routine procedure because there is controversy about its clinical advantage.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111 patients diagnosed with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9. The right axillary artery was cannulated in 58 patients (group A) and the femoral artery was cannulated in 53 (group F). The postoperative outcom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46 male and 65 fe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8.9{\pm}13.1$ years (range, 26 to 84 years). The extent of aortic replacement in both groups did not differ. There were 8 early deaths (7.2%) and 2 late deaths (1.8%).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46.0{\pm}32.6$ months (range, 1 month to 10 years). Transient neurologic dysfunction was observed in 11 patients (19.0%) in group A and 14 patients (26.4%) in group F. A total of 11 patients (9.9%) suffered from a permanent neurologic dysfunction. Early and delayed stroke were observed in 6 patients (10.3%) and 2 patients (3.4%), respectively, in group A as well as 2 patients (3.8%) and 1 patient (1.9%), respectively, in group F.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cannulation-related complications between both groups (3 in group A vs. 0 in group F). Conclu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neurologic outcomes and cannulation-related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cannulation sites. The cannulation site in an aortic dissection should be carefully chosen on a case-by-case basis. It is important to also pay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intraoperative malperfusion syndrome occurring and the subsequent need to change the cannulation site.

내경동맥 풍선 시험 결찰술(BTO)시 $^{99m}Tc$-HMPAO 뇌 SPECT를 이용한 대뇌 측부 순환의 평가 (Assessment of Cerebral Collateral Circulation Using $^{99m}Tc$-Hexamethyleneamine Oxime (HMPAO) SPECT During Internal Carotid Artery Balloon Test Occlusion)

  • 유영훈;윤미진;정태섭;이종두;박창윤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2-30
    • /
    • 1995
  • 저자들은 두개 기저나 경부종괴 또는 내경동맥의 동맥류등으로 인하여 내경동맥의 결찰이 필요한 환자에 있어서 객관적인 관점에서 수술전에 영구적인 내경동맥의 결찰의 안전성에 관하여 $^{99m}Tc$-HMPAO 뇌 SPECT를 이용하여 보고자 하였다. 내경동맥의 결찰이 고려되는 24명의 두개기저나 경부종괴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저자들은 풍선 시험 결찰술 시행전과 시행중의 양측 중대뇌동맥 영역의 섭취정도를 $^{99m}Tc$-HMPAO 뇌 SPECT를 이용하여 비교해보았고 이러한 결과를 신경학적 검사, 경동맥 스텀프압 고리고 뇌전도검사등과 비교해 보았다. 대상환자중 19명의 환자에서는 풍선 시험 결찰술 동안 신경학적 이상등의 문제들을 경험하지 않았고 이들에 있어 중대뇌동맥영역의 섭취정도는 결찰술 시행전에 비교하여 95-101%에 해당하였다. 나머지 5명의 환자에서는 일과성 반신마비와 의식소실등의 심한 신경학적 증상을 보였고 이들에 있어 중대뇌동맥 영역의 섭취정도는 시행전에 비하여 77-85%에 해당하였으며 다른 검사결과와도 잘 부합되었다. 결론적으로 풍선시험결찰술 시행전과 시행중의 $^{99m}Tc$-HMPAO 뇌 SPECT는 중대뇌동맥영역의 섭취가 시행전에 비교하여 85%이하인 경우 영구적인 신경학적 결손을 예측할 수 있는 간단하고 객관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연구개 열창의 비외과적 처치술 (NON SURGICAL TREATMENT OF SOFT PALATE LACERATION)

  • 채규호;최병재;최형준;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50-454
    • /
    • 2002
  • 연구개 및 구인두부의 열창은 아동들에게 상대적으로 흔한 편이다. 연구개 열창은 신생아부터 노년층까지 모든 연령에 걸쳐 보고된 바 있지만, 어린 아동들 특히 걸음마를 막 시작한 아동들에게서 많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아동들의 경우 입안에 물체를 물고 돌아다니다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구인두부 열창을 입게되는 경우가 많은 편이고, 주로 4세 정도에 호발하며, 여아보다는 남아에서 더 이러한 외상이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주로 손상을 입는 연구개 및 구인두 부위는 좌측 편도 상단부위이며, 관통상없이 선상이나 표면상의 손상으로 주로 발생하고, 손상 형태는 U자 형태 혹은 V자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외상에 있어 관통상이나, 크게 조직편이 이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봉합술은 필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이러한 봉합술이 외상부위의 치유를 지연시킬 수 있다. 본 창상의 치유에는 3주정도 소요되며 상흔은 거의 남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연구개의 창상이 경동맥의 손상을 야기하여 신경학적인 합병증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2-3일간은 외상을 입은 환아에 대한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합병증 발생시 구강외과의 및 이비인후과의 또는 신경외과의와의 협의진료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2세 및 3세 남환아로 입안에 이물질을 물고 넘어져 연구개의 열창을 입은 경우로 비외과적인 처치 및 신경학적인 평가 후 완치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