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cysticercosi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뇌유구낭미충증 환자의 뇌척수액내 특이 IgG항체의 기원 (Intracranial synthesis of specific IgG antibody in cerebrospinal fluid of neurocysticercosis patients)

  • 조승열;김석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15-26
    • /
    • 1988
  • 뇌 유구낭미충증의 진단에는 혈청뿐만 아니라 뇌척수액내 특이 IgG항체가도 측정하여 혈청학적 진단의 민감도를 약 10%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뇌척수액내 특이 IgG항체가 그 환자의 혈청에서 혈관-뇌 장벽을 넘어 이전된 것인지 또는 두개강내 병변에 형성된 육아종에서 생성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은 뇌척수액내 특이 IgG항체가 측정의 의미를 부여하는 데에 중요하다. 이 연구는 그 기원을 찾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확진된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 82례와 기타 신경계질환 환자 및 건강대조인 45례에서 오은 혈청과 뇌척수액에서 각각 총단백질, 알부민 및 IgG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Tourtellotte and Ma (1978)의 공식에 의하여 뇌척수액내 IgG농도를 여출(濾出, transudation; 혈관-뇌장벽이 정상인 상태에서 생리적으로 뇌척수액으로 이전된 것), 삼출(渗出, exudation; 혈관-뇌장벽이 파괴된 상태에서 병적으로 이전된 것) 및 두개강내 생사 등 세가지 기원으로 분리하였다. 고리고 혈청 및 뇌척수액내 특이 IgG항체가를 효소 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뇌척수액내 특이 Ig9G항체가와 각기원별 IgG량과의 관계를 통계학적으로 검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며 다음과 같다. 1.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 뇌척수액에는 총단백질, 알부민 및 IgG평균치가 상승되어 있었다. 각 단백질 농도는 혈청내 특이 IgG항체가와는 관계없이 뇌척수액내 IgG항체가 양성자에서 높았다. 2.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의 뇌척수액내 IgG량(14.0mg/dl)은 여출(4.52mg/dl), 삼출(2.94mg/dl) 및 두개강내 생산(6.88mg/dl)으로 구성되었다. 뇌척수액왜 특이 IgG항체가는 여출 및 삼출에 의한 IgG양과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는 관계이었으나 두개강내 생산량과는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3. 제 4뇌실에 병 변이 화인된 뇌유구낭미충증 환자의 측뇌실에서 얻은 뇌척수액에는 총단백 질, 알부민 및 IgG량이 정상범위이었고 특이 IgG항체는 음성이 었다. 같은 환자의 요추천자로 얻은 뇌척수액에서는 각 단백질이 상승되어 있었고 특이 IgG항체가는 양성이었다. 4.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의 뇌척수액내 EgG량중 삼출에 의한 양이 증가된 예에서는 대부분 두개강내 IgG생산이 동반되고 있었다. 따라서 삼출에 의한 뇌척수액내 IgG 출현은 뇌유구낭미충증의 진행중 어느 시기에 특히 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유구낭미충증 환자의 뇌척수액내 특이 IgG항체는 두개 강네 병변에서 생산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뇌척수액을 이용한 특이 IgG항체 측정은 진단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 PDF

뇌간에 발생한 단발성 뇌낭미충증 - 증례보고 - (Solitary Cysticercus Granuloma of the Brainstem - Case Report -)

  • 박준오;정용구;임동준;조태형;이훈갑;이기찬;서중근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0호
    • /
    • pp.1357-1359
    • /
    • 2000
  • Isolated brainstem invlovement of neurocysticercosis is rare. We present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of a patient with a solitary cysticercus granuloma in the brainstem confirmed by MRI and CSF ELISA test. Good response was obtained from conservative treatment, using praziquantel. We believe that patients from regions where cysticercosis is endemic, who have no systemic disease, who present with nonprogressive symptoms and signs of brainstem involvement, and display a solitary ring-enhancing mass in the brainstem measuring less than 20mm on neuroimaging may be managed conservatively.

  • PDF

Racemose Cysticercosis in the Cerebellar Hemisphere

  • Kim, Sang-Wook;Kim, Moon-Kyu;Oh, Sae-Moon;Park, Se-Hyuc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8권1호
    • /
    • pp.59-61
    • /
    • 2010
  • Neurocysticercosis is the most common parasitic diseas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humans, caused by infection of the larval stage of the pork tapeworm, Taenia solium. However, cerebellar involvement is rarely reported. We report of a case of racemose cysticercosis in the cerebellar hemisphere. A 44-year-old man presented with headache and dizziness.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hydrocephalus and an ill-defined, multicystic cerebellar mass with hypersignal on T2-weighted images, hyposignal on T1-weighted images and rim enhancement after gadolinium injection. The patient underwent endoscopic third ventriculostomy and the cyst resection was done through a craniotomy. In surgical field, cysts were conglomerated in a dense collagen capsule that were severely adherent to surrounding cerebellar tissue, and transparent cysts contained white, milky fluid. Histological findings confirmed the diagnosis of cysticercosis. He received antiparasitic therapy with praziquantel after surgery. Racemose cysticercosis is rare in the cerebellar hemisphere but neurocysticercosi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differential diagnosis of multiple cystic lesions in the cerebellum.

Neurocysticercosi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from 26 Years of Experience in an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 Son, Hyo-Ju;Kim, Min Jae;Jung, Kyung Hwa;Choi, Sungim;Jung, Jiwon;Chong, Yong Pil;Kim, Sung-Han;Lee, Sang-Oh;Choi, Sang-Ho;Kim, Yang Soo;Woo, Jun Hee;Jung, Bong-Kwang;Song, Hyemi;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3호
    • /
    • pp.265-271
    • /
    • 2019
  • The prevalence of human taeniasis has decreased in Korea. The stool egg positive proportion decreased from 1.9% in 1971 to 0% in 2004 in nationwide surveys. The neurocysticercosis (NCC) is also presumed to decrease. However,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the recent status of NCC in Korea is lacking. We retrospectively reviewed NCC cases from 1990 to 2016 at Asan Medical Center, a 2700-bed tertiary referral hospital in Korea. We identified patients based on clinical symptoms, brain imaging, pathology and serological assay. The cases were classified as parenchymal, extraparenchymal, and mixed NCC. Eighty-on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mean age was 54.5 years, and 79.0% were male. The number of NCC cases was highest from 1995 to 1999, and continuously decreased thereafter. Forty (49.4%) patients had parenchymal NCC, while 25 (30.9%) patients had extraparenchymal NCC, and 16 (19.8%) patients had mixed NCC. The seizure and headache were most common symptom of parenchymal NCC and extraparenchymal NCC respectively. Hydrocephalus was more common in extraparenchymal NCC, and patients with extraparenchymal NCC were more likely to require a ventriculoperitoneal shunt. Cases of NCC are decreasing accordingly with human taeniasis and lesion lo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clinical presentation and outcome of NCC in Korea.

Sacral Intradural Cysticercosis Misdiagnosed as Brain Tumor Metastasis

  • Kim, Seok-Won;Lee, Seung-My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7권1호
    • /
    • pp.67-69
    • /
    • 2005
  • Spinal intradural cysticercosis is a rare manifestation of neurocysticercosis that may present as an isolated lesion. We report a case of sacral intradural cysticercosis misdiagnosed as a metastasis through cerebrospinal fluid seeding in a 48-year-old patient who underwent ependymoma surgery 3 months ago. We performed S1-2 laminectomy with the total removal of intradural lesion. The cysticercosis was confirmed histologically. The patient was given albendazole with corticosteroid.

Disseminated Cysticercosis

  • Park, Soo-Yong;Kong, Min-Ho;Kim, Jung-Hee;Song, Kwan-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9권3호
    • /
    • pp.190-193
    • /
    • 2011
  • Disseminated cysticercosis is a rare form of cysticercosis in which the cysticerci spread out through the whole body. We report the first case of a 39-year-old Mongolian with disseminated cysticercosis. He visited our hospital with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After extensive investigation from brain computed tomography (CT), spin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hole body MRI and pathologic biopsy, he was diagnosed as having cysticercosis involving the brain, subcutaneous tissue, and skeletal muscles through the whole body. We treated him with the albendazole in which case the followed MRI showed that numbers of cystic lesions were copiously decreased. We report an unsual case of disseminated cysticercosis treated with medical therapy.

프라지콴텔 치료후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한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의 혈청학적 추적검사 (Serologic follow-up Study in neurocysticercosis patients by ELISA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 조승열;김석일;강신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4권2호
    • /
    • pp.159-170
    • /
    • 1986
  • 1984년 1월부터 1986년 6월까지 30개월간, 확진된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 69명에 대하여 혈청학적 추적검사를 실시하였다. 환자는 모두 치료전에 뇌전산화 단층 촬영을 실시하였고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하여 혈청 및 뇌척수액의 특이 IgG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프라지콴텔에 의한 약물 치료는 $3{\times}25mg/kg$의 용량으로 $4{\sim}14$일간 실시하였다. 추적기간 및 회수는 환자마다 달랐으며 최대 추적기간은 22개월이었다. 추적검사용 혈청 및 뇌척수액은 $-40^{\circ}C$에 보관한 후 낭액항원, 낭벽항원 및 두절항원에 대한 IgG 항체가를 일시에 측정하였다. 프라지콴텔 투여후 $1{\sim}4$개월 사이에 환자의 대부분에서 혈청 및 뇌척수내 특이 IgG 항체가는 일시적으로 상승하였다. 치료 직후부터 항체가가 저하하는 환자가 있었으나 소수이었다. 프라지콴델 투여시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덱사메타손을 투여하면 항체가 상승은 억제되었다. 프라지콴텔 치료후 혈청내 항체가 평균치의 변동이 뇌척수액내 항체가 평균치의 변동보다 심하였고, 항체가의 변화율은 낭벽항원이나 두절항원에 대한 항체에서 낭액항원에 대한 항체에서 보다 컸으나 항체가 변동폭은 낭액항원에 대한 항체가 더 컸다. 대상 환자 69명중 혈청학적으로 음성이었던 6명중 1명은 치료후 뇌척수액내 낭액항원에 대한 항체가가 양성범위로 전환하였다. 프라지콴텔 투여후 항체가의 상승은 뇌 유구낭미충증의 혈청학적 진단에서 보조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추적기간으로는 투여후 1개월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였다. 치료후 6개월내지 22개월까지 추적검사한 환자 15명중 혈청과 뇌척수액에서 모두 음성으로 전환한 예는 1례뿐이었고 혈청이나 뇌척수액 어느 하나에서라도 음성으로 전환한 예도 3례에 불과하였다. 만성 경과를 취한 심한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에서의 혈청학적 음성전환은 관찰 기간중 없었다. 추적 검사증 급성 뇌염증상이 나타난 만성환자에서는 일시적으로 두절항원에 대한 항체가가 상승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를 프란지콴텔로 치료한 다음 면역효소측정 법으로 혈청학적 추적검사를 실시할 경우 투약후 매 1년에 한번씩 실시하면 완치된 환자를 감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 PDF

다양한 두개강내 질환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 임상적 유용성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f Various Intracranial Diseases : Clinical Utility)

  • 김영준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권1호
    • /
    • pp.104-112
    • /
    • 1998
  • 목적 : 다양한 두개강내 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확산강조영상을 시행하여 병변의 신호강도를 분석함으로써 확산강조영상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향적으로 무작위 추출하여 확산강조영상을 시행한 70명의 환자(급성 뇌경색 20명, 만성 뇌경색 또는 소혈관 질환 21명, 두개강내 원발성 종양 14명, 뇌전이 3명, 뇌종양 5명, 뇌혈종 5명, 퇴행중의 유구낭미충 1명, 유피낭종 1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확산강조영상은 1.5T 장치를 사용하여, single shot spin echo EPI 기법을 사용하여, 6500ms TR, 107ms TE, $128{\times}128$ matrix, 1 number of excitation, $24{\times}24{\;}cm$ field of view, 5-7mm slice thickness, 2-3 mm inter-slice gap으로, x, y, z 세방향으로 확산경사자기($b=1000s{\;}/{\;}textrm{mm}^2$)를 가하여 얻었다. 병변의 신호강도의 평가는 정성적인 분석에서는 병변의 신호강도를 임의의 5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정량적 분석에서는 ROI(region of interest)를 이요하여 병변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반대쪽 정상 뇌실질에서 얻은 신호강도와의 상대적 신호강도비를 구하였다. 결과 : 정성적 분석에서 매우 높은 신호강도를 보인 병변은 모든 예의 급성 뇌경색, 뇌농양, 유피낭종, 그리고 퇴행성 유구낭미충의 낭성 병변이었다. 뇌혈종은 모든 예에서 병변내에 매우 높은 신호강도와 낮은 신호강도가 혼재되어 있었다. 1명의 종양환자에서는 고형성 부분에 국소적인 매우 높은 신호강도가 보였다. 이들 병변 각각의 뇌실질에 대한 평균 신호 강도비는 모두 2.5 이상이엇다. 정성적 분석에서 죄실질과 같은 정도의 신호강도를 보인 경우는 실경교증(71%), 뇌종양의 고형성 부분(64%), 뇌전이 (100%), 혈관성 부종(67%)이었으며, 이들 병변의 뇌실질에 대한 평균 신호강도비는 1.15에서 1.28로 서로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1). 매우 낮거나 약간 낮은 신호강도를 보인 경우는 낭성 뇌연화증과 종양내 괴사로서, 평균 신호강도비는 각각 0.45와 0.42였다. 결론 : 급성 뇌경색, 뇌농양, 유피낭종, 퇴행중의 유구낭미충은 확산강조영상에서 매우 높은 신호강도를 보여, 다른 실환과의 감별 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뇌농양과 괴사나 낭성 부분을 포함한 뇌종양과의 감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인체 유구낭미충증 환자에서 수거한 낭미충 낭액의 성분 단백질의 양상 (Component proteins in cystic fluid of Taenia sodium metacestodes collected surgically from neurocysticercosis patients)

  • Yoon Kong;Shin-Yong Kang;Seung-Yull Ch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2호
    • /
    • pp.101-108
    • /
    • 1990
  • 포도낭미충증을 포함한 유구낭미충증 환자의 신경외과적 수술 과정에서 수거한 낭미충 낭액의 성분 단백질을 비교 검토하였다. 7.5% gel에서 Disc-PAGE와 reducing condition의 10~15% gel에 SDS-PAGE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7.5% gel에서 실시한 Disc-PAGE 소견상 제주도와 Ecuador에서 수집한 돼지의 유구낭미충 낭액은 U, A, B, C, E, S의 6개 band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중 band C가 주 구성 성분이었다. 그리고 인체에서 수집한 낭액 은 band C가 주 구성 성분이었고 경우에 따라 band E가 주 구성 성분으로 관찰되고 있었다. 정상 뇌척수액은 band C, E 위치에서 ${\gamma}-globulin$과 albumin이 보이고 있었다. 2. 10~15% gel에서 실시한 SDS-PAGE상 제주도 낭액은 최소 25개 이상의 subunit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중 95, 64, 48, 39, 34, 24, 15, 10및 7 kDa band가 주 구성 성분이었다. 그리고 Ecuador감염 돼지의 유구낭미충 낭액은 전체적으로 비슷했으나 48, 39, 34, 24 kDa band가 의미한 반면 21, 17 kDa가 진하게 염색되었다. 인체 뇌낭미충증 환자에서 수집한 낭액들은 15~21개 정도의 band가 보이고 있었다. 그 중 94, 64, 15, 10 그리고 7 kDa band는 모든 낭액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한편, 정상 뇌척수액의 SDS-PAGE에서는 77, 66 (albumin), 55 (heavy chain of ${\gamma}-globulin$), 22.5 (light chain of ${\gamma}-globulin$) 그리고 17 kDa band가 보였다. 환자의 낭액은 77, 66, 55, 22.5 kDa에서 진하게 염색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인채 유구낭미충증에서 수집한 낭액에도 15, 10, 7kDa의 subunit로 구성된 150kDa의 band C protein이 주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술장에서 수집하는 과정에서 뇌척수액이 섞이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Case of Intradural-Extramedullary Form of Primary Spinal Cysticercosis Misdiagnosed as an Arachnoid Cyst

  • Yoo, Minwook;Lee, Chang-Hyun;Kim, Ki-Jeong;Kim, Hyun-Jib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5권4호
    • /
    • pp.226-229
    • /
    • 2014
  • We describe a rare case of intradural-extramedullary primary spinal cysticercosis. A 42-year-old man visited our institute for lower back pain. He denied having consumed raw meet. Magnetic resonance (MR) images revealed an intradural pure cystic mass at the L3-L4 level. A radiologic diagnosis of spinal arachnoid cyst was established. Three years later, he complained of aggravated back pain, and follow-up MR examination showed a markedly expanded cyst, occupying the subarachnoid space from the T11 to the S1 level. L2 hemilaminectomy was performed, and a yellowish infected cyst bulged out through the dural opening. The cyst was removed en bloc.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the cyst were consistent with parasitic infection. Serum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confirmed the presence of spinal cysticercosis. As there was no intracranial lesion, the final diagnosis was primary spinal cysticercosis, which is very rare. MR imaging is a sensitive diagnostic tool for detecting cystic lesions in the spin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cysticercosis from non-infectious cysts such as an arachnoid cyst without using gadolinium enhancement. Clinicians treating spinal cysts with an unusual clinical course should include cysticercosis as a differential diagnosis. We recommend contrast-enhanced MR imaging and serum ELISA in the diagnostic work-up of such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