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phyt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의 귀화식물: 신귀화식물상의 현황과 생태형질 특성 (The Exotic Flora of Korea: Actual List of Neophytes and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 류태복;김종원;이승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5-380
    • /
    • 2017
  • 외래 귀화식물상의 급격한 변화는 국가 및 지역 생물상의 질적 양적 변질을 초래하는 생태학적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존 분포하는 신귀화식물상의 실체를 밝히는 것이다. 2016년까지 발표된 선행 연구자료 151편을 분석하였다. 귀화식물에 대한 시공간적 수준(level)과 학술 용어 적용의 엄격성 결여로부터 선행 연구 간에 양적 질적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으로 국가 대신 동아시아구계구(Eastern Asiatic Province)의 식물지리구계, 시간적으로 개화기(19세기말)를 기준으로 신귀화식물(Neophyte)을 정의하였다. 목록화 된 신귀화식물은 그 원산지와 서식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신귀화식물은 총 39과 184속 326분류군이고, 약 87%(285분류군)가 단층초본식생형의 구성요소였음이 밝혀졌다. 온대림 생물군계의 유럽 및 북아메리카 원산(211분류군)이 가장 많았다. 습지식생 구성요소는 전체 6.4%(21분류군)로 매우 제한적이었지만, 수생태계 서식처의 구조와 기능에 급격한 질적 변질을 야기하는 침입외래식물종을 다수 포함하는 것으로 지목되었다. 일시정착외래식물(Ephemerophyten), 반고유문화종(Apophyten) 등과 같은 귀화식물 범주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이 대두되었다.

귀화식물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의 적응환경요인 (Adapted Environment Factors for a Neophyte Pokeweed (Phytolacca americana))

  • 이종운;전재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7-93
    • /
    • 1996
  • 귀화식물인 미국자리공의 군락 구조와 무기환경요인을 추적하였다. 서식지 식생은 Pinus densiflora, persicaria perfoliata, Miscanthus sinensis, Smilax china, Rubus crataegifolius, Paederia scandens, Rosa multiflora, Commelina communis, Carex lancelolatl가 우점 하였으며 파괴된Pinus densiflora 아극상 감림군략에 침임하여 적응한 형태였다. 서식지 토양의 속성은 pH 4.6의 높은 산도, 높은 중금속과 유기물 함량이 특징적이었으며 이는 전형적인 황지식물군락의 환경요인이었다. 생장조절실 내에서 수행한 제한요인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유식물의 피해반응은 인공산성비에 의한 pH2.0과 500Lux의 광도에서 나타났으며 일시위조점은 pF2.6-2.7에서, 그리고 영구위조점은 pF2.8-2.9에서 각각 나타났다.

  • PDF

가시상추의 한국 적응 유형 (Adaptation Patterns of Prickly Lettuce in Korea)

  • 이종운;신상천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136
    • /
    • 1998
  • 외근에 귀화한 가시상추(Lactuca serriola)의 분산과 적응을 연구하였다. 가시ㅛ 추의 분포는 한반도 중부지방의 남부에 제한되었다. 그 분포지역은 인간에 의한 이동으로 점차 확산되고 잇었다. 10개의 조사지역의 관측결과 천이의 초기단뎨에 있는 노변식생으로 나타났다. 즉 측수의 90%의 초본층과 5%의 관목층으로 구성되었으나 교목층은 없었다. 우점종군은 Kummeroverowia stipulacea, Ixeris chimensis,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indica, Tiungia sonchifolia, Cephalonoplos segetum, Rubus parvifolius, Ixeris polycephala, Hemistepta Lyrata, Cercis chinensis Artemisia capillaris 이었다. 조사지역은 식생의 높은 상이도로 4개유형으로 구분되지만 많은 우형이 나타나는 것은 아직 가시상추의 특유한 군락은 형성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였다.

  • PDF

전라도 귀화식물의 현황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 in Jeolla-do)

  • 김덕기;류태복;이창우;최동희;김남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9-409
    • /
    • 2017
  • 귀화식물의 급속한 증가는 지역 생태계 교란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도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을 밝히는 것이다. 2016년 현장조사를 통해 830개 지점이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38과 116속 6변종 2품종 181종 총 189분류군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다. 생태특성 분석결과 국화과가 47분류군으로 높은 수를 차지하며 벼과 32분류군, 콩과 19분류군 순으로 밝혀졌다. 원산지별 분석결과 유럽원산 75분류군, 북아메리카 5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도 지역에서 나주시가 77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귀화식물이 생육하며, 목포시 영광군 순으로 밝혀졌다. 선행문헌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37분류군(전라남도), 30분류군(전라북도)이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되었다. 선행문헌분석결과 귀화식물 정의에 부합되지 못하는 문제종들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차나무 자생개체군의 식물사회와 분포 특이성 (Phytocoenosen and Distribution of a Wild Tea (Camellia sinensis (L.) Kuntze) Population in South Korea)

  • 엄병철;김종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6-190
    • /
    • 2017
  • 한반도는 동아시아에서 동백나무군강(난온대 낙엽활엽수림)의 최북단 지역이다. 총 40 개의 입지에서 생태학적으로 정의된 야생상의 자생 차나무 개체군에 대한 식생자료가 수집되었다. 우점 상관에 따라 식분을 구분하고,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따라 현지 식생조사와 종조성에 따라 식물군락을 기재하였다. 식생 유형에 따라 생활형, 신귀화식물, 식생지리분포, 고유성 등을 포함하는 생태식물상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생개체군 분포지의 최고해발은 대구시 팔공산(해발 390 m)이었고 최고위도는 익산시 함라산(latitude $36^{\circ}$ 03' 33'')이었다. 대륙성 기후가 우세한 한반도에서의 차나무 자생개체군은 해양성 기후가 우세한 일본에 비하여 수평적 수직적으로 모두 낮은 분포를 보였다. 대부분의 자생개체군은 인간간섭을 받아온 입지에 위치하였고, 자생개체군의 북한계 분포 확장의 동인으로 인간의 도움이 지목되었다. 자생개체군의 군락지리학적 분포는 난온대와 냉온대 남부 저산지대에 제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에서 차나무 자생개체군의 실체가 확인되었고, 내동성이 높은 유전 자원이라는 관점에서 한반도 자생개체군의 장기생태연구가 요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