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natal intensive case unit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1초

단일병원 신생아 환자의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 보균율 (Colonization Rat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eonates: A Single Center Experience)

  • 최수영;한상우;윤혜선;기모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3호
    • /
    • pp.111-120
    • /
    • 2012
  • 목 적 : 단일 병원 신생아입원실에 입원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따른 MRSA 보균율을 알아보고, 그 기원을 추정해 보며, MRSA 보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8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을지대학교 서울 을지병원 신생아 입원실에 입원하여 MRSA 감시배양검사를 시행받은 1,733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MRSA 감시배양검사는 비강, 서혜부, 직장에서 시행하였고, 퇴원 시까지 매주 반복 시행 하였다. MRSA 감시배양결과에 따라서 보균자와 비보균자로 나누었다. 결 과 : 대상환자 1,733명 중에 415명(23.9%)이 MRSA 보균자였다. 제태기간, 출생체중, 분만 방식, 분만전 산모에게 항생제 투여 여부, 출생장소, 입원전 체류 장소에 따라서 MRSA 보균율에 차이를 보였다(P<0.001). 다변량 검사에서 분만전 산모에게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가 투여한 경우에 비해서 신생아가 MRSA 보균자가 될 위험도가 2.8배(OR=2.77; 95% CI, 1.88-4.07), 출생장소가 외부인 경우가 본원인 경우에 비해서 2.3배(OR=2.28; 95% CI, 1.17-4.42) 높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신생아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MRSA 보균율은 23.9%로 상대적으로 높은 보균율을 확인하였다. 환자특성을 고려하여 추정한 HA-MRSA 보균율은 51/511명(10%), CA-MRSA 보균율은 309/858명(36%) 이었다. 본병원 신생아에서 MRSA 보균과 연관된 요인은 산모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여부와 출생장소임을 확인하였다.

  • PDF

신생아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 및 예후에 관한 고찰 (The risk factors and prognosis associated with neonatal pulmonary hemorrhage)

  • 박수진;윤기태;김원덕;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4호
    • /
    • pp.503-509
    • /
    • 2010
  • 목 적: 신생아 폐출혈은 드물긴 하나, 일단 발생한 환아는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급성 좌심실 부전, 호흡 곤란 증후군, 동맥관 개존증, 패혈증, 혈소판 감소증 등이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저자는 출생 체중에 따라 신생아의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인자를 규명하고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 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 117명을 대상으로 출생 체중에 따라 두 군으로 구분하였다. 폐출혈의 정의는 임상적인 정의를 적용하였고, 각 군에서 폐출혈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고자 병력지를 기초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 총 117례 중 폐출혈은 39례(33.3%)에서 발생하였으며, 출생 체중에 따라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대상환아 총 48례 중 17례(35.4%)에서 폐출혈이 있었고 산전 산모의 스테로이드 치료 여부는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01).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 혈소판 감소증도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5).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대상 환아 총 69례 중 22례(31.9%)에서 폐출혈이 있었고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는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25). 저혈압, 산혈증, 혈소판 감소증도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5). 다변수 분석에서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산전의 산모 스테로이드 치료가 환아의 폐출혈 발생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OR=0.203, 95% CI=0.044-0.934),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OR=5.992, 95% CI=1.145-31.351)와 산혈증(OR=4.434, 95% CI=1.279-15.376)이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결 론: 출생 체중이 적은 군에서 비교적 폐출혈이 늦게 발생하나, 일단 발생하면 사망률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산전의 산모 스테로이드 치료가 환아의 폐출혈 발생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와 산혈증이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산모의 모유를 통하여 감염된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의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an extremely premature infant transmitted via breast milk: A case report)

  • 김지혜;정은진;박현경;문수지;최수미;오성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9호
    • /
    • pp.1053-1058
    • /
    • 2009
  • 거대세포바이러스(CMV)는 신생아에서 가장 흔한 선천성 감염의 원인 중 하나이며, 모든 정상 출산아 중 약 0.3-2.4%에서 감염되어 있다. 혈청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양성인 모체 중 40-96%에서 모유를 통한 바이러스의 배출이 증명되었으며, 거대세포바이러스에 감염된 모유를 통한 감염은 전체 영아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의 약 1/3을 차지한다. 본 증례에서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모유를 통하여 발생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을 기술하였다. 환아는 생후 7일 경부터 모유 수유를 하였으며, 심한 혈소판감소증, 빈혈, 그리고 패혈증과 유사한 임상 양상에 대하여 반복되는 혈소판 수혈, 적혈구 수혈, 면역 글로불린 요법을 시행받았다.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은 생후 2개월 경 혈청 CMV IgM 양성 및 소변 CMV 배양 검사 양성 소견을 통하여 진단하였다. 출생 당시 혈청 CMV IgM 및 소변 CMV 배양 검사가 음성이었으므로 선천성 감염은 배제할 수 있었다. 환아의 혈청과 모유의 핵산 배열 순서 분석을 통하여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임을 증명하였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최초로 nucleotide sequencing 방법을 이용, 모유 수유를 통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한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난치성 경련이 동반된 클라인펠터 증후군 영아 (A Case of Klinefelter Syndrome with Refractory Seizure in Infant)

  • 김선;김종석;김동현;이지은;권영세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6-279
    • /
    • 2018
  • 클라인펠터 증후군은 다양한 임상양상을 나타내는 유전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드물게 경련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으며 보통 1세 이후의 연령에서 발병하며 항경련제에 반응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5개월 남아가 얼굴 찡그림과 딸꾹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아는 출생 시 시행한 검사에서 클라인 펠터 증후군으로 진단된 병력이 있었으며 생후 26일에 안구편위로 입원치료의 병력이 있었다. 내원하여 시행한 혈액검사에서 특이소견 없었으나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감소되어 있었고 항뮬러관 호르몬 수치가 증가되어 있었다. 시행한 영상검사에서 정상이었으나 경련이 재발하여 항경련제 복용하기 시작하였으나 간헐적인 경련이 반복되며 난치성 경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클라인펠터 증후군 환아에서 경련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면밀한 검사를 통해 조기에 진단하여 환아의 예후를 향상 시켜야 할 것이다. 이에 저자들은 클라인펠터 증후군으로 진단된 영아에서, 비발열성 난치성 경과를 보이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만삭아에서의 괴사성 장염의 위험인자와 임상증상 (Risk factor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in full-term newborns)

  • 정영미;제현곤;손상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489-493
    • /
    • 2006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삭아에서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위험인자를 알고자 함이다. 방 법 : 1998년 1월 1일부터 2005년 8월 1일까지 본원 소아과 신생아실에 입원한 환아 중 신생아 괴사성 장염으로 진단된 20례와 각각의 경우에 대해 짝짓기 방식으로 선정된 건강한 만삭아 40례를 대상으로 병력지 검토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조사되어 졌다. 결 과 : 괴사성 장염군의 평균 재태연령과 출생 체중은 38.42주와 2,915 g이었고 대조군은 38.61주와 3,148 g이었다. 대조군과 비교 하였을 때 신생아 괴사성 장염군 환아들에서 모체의 융모 양막염, 지연된 설사, 1분 아프가 점수 <7, 호흡기 문제, 선천성 심질환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유의수준 <0.05). 반면 전자간증, 모체의 당뇨, 모체의 약물 남용, 태변 착색된 양수, 다혈구증, 교환 수혈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만삭아들의 대부분은 괴사성 장염이 발생하기 전에 선행하는 인자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유발인자들 중에 지연된 설사가 가장 큰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환자에서 대복재정맥을 통한 하대정맥도관법의 유용성 (Usefulness of Tunneled Trans-saphenous IVC Catheters for Long Term Venous Access in Pediatric Patients)

  • 김승환;김성민;오정탁;한석주;최승훈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2권2호
    • /
    • pp.167-174
    • /
    • 2006
  • Central venous catheter (CVC) for long-term venous access is indispensable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hyperalimentation, frequent blood sampling, frequent IV drug use in pediatric patients. We report clinical experience of surgical neonates in whom CVC was inserted primarily via great saphenous vein into suprarenal inferior vena cava. From March 2004 to March 2006, we performed CVC insertion via saphenous vein - contralateral side to main wound - into suprarenal inferior vena cava in surgeries of neonates. 2.7Fr or 4.2Fr, single lumen, tunneled Broviac catheters (Bard Access system, Inc, Salt Lake City, Utah) were used. Skin exit site of tunneled catheter was located in ipsilateral flank area just below edge lower rib. At the end of the procedure, location of the catheter tip was confirmed by plain radiography of abdomen.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dmission records of the patients including nursing staff charts. Nine (50.0 %) patients were male and nine (50.0%) were female. Median gestational age was 38 weeks (range, 29-42 weeks) and median birth weight was 3,105 gm (range, 1,040-3,720 gm). Median age at catheter insertion was 38.5 days (range, 1-236 days). The purpose of CVC insertion was short-and long-term hyperalimentation in nine (50.0 %) patients. CVC insertion was performed in operation room under general anesthesia in sixteen (88.9 %) patients (in these cases, CVC insertion was performed just prior to concurrent operation)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under local anesthesia with adequate sedation in two (11.2%). During the admission period (total catheter-indwelling time: 553 days), CVC functioned well without any significant side effects. Transient swelling of the ipsilateral leg (n=1, 5.6 %) and transient migration of catheter tip (n=1, 5.6 %) were noted, which did not affect function of the indwelled CVC. Mean catheter-indwelling time was 30.7days (range, 3-72 days). All catheters were removed electively except two mortality case. Complications, such as thrombosis, infection, kinking or extravasation of drugs, were not observed in our study period. Tunneled trans-great saphenous vein inferior vena cava catheters are not only comparable to cervical CVCs in terms of function and complication rates, but also very beneficial in selected patients, especially those in whom cervical approach is technically impossible or contraindicated.

  • PDF

괴사성 장염 - 대한소아외과학회회원 대상 전국조사 - (Necrotizing Enterocolitis - A Survey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이석구;김대연;김신곤;김우기;김인구;김상윤;김성철;김재억;김재천;박귀원;박우현;서정민;송영택;오수명;오정탁;이남혁;이두선;이성철;전용순;정상영;정성은;최금자;최순옥;최승훈;한석주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2권1호
    • /
    • pp.70-85
    • /
    • 2006
  • 본 조사 결과는 16개 병원에서 21명의 회원에 의해 수술 받은 환자 71명의 기록과 전체 설문응답지의 대상인 81명에 대한 설문 응답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자료로서의 정확성에 한계가 있으나 괴사성 장염이라는 질병에 대한 회원들의 전체적인 의견과 성향을 파악하는데 만족할 수 있었으며 회원들이 동일한 관심에 대하여 논의하는 과정 중에 각자의 관점을 정리하는 계기가 되었기를 기대한다. 앞으로 첨부한 설문지에 따라 환자마다 전향적으로 기술하여 학회에 등록하여 향후 괴사성장염에 대하여 다시 한번 논의하는 자리를 갖기를 바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