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k, Hye-Li;Kim, Ja-Young;Lee, Bo-Mi;Chang, Sei-Kyung;Ko, Seung-Young;Kim, Sung-Jun;Park, Dong-Soo;Shin, Hyun-Soo
Radiation Oncology Journal
/
제29권3호
/
pp.199-205
/
2011
Purpose: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intraoperative transrectal ultrasound (iTRUS)-based prostate volume and preplan computed tomography (CT), prepla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based prostate volume to estimate the number of seeds needed for appropriate dose coverage in permanent brachytherapy for prostate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7 and March 2011, among 112 patients who underwent permanent brachytherapy with $^{125}I$, 60 image scans of 56 patients who underwent preplan CT (pCT) or preplan MRI (pMRI) within 2 months before brachytherap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wenty-four cases among 30 cases with pCT and 26 cases among 30 cases with pMRI received neoadjuvant hormone therapy (NHT). In 34 cases, NHT started after acquisition of preplan image. The median duration of NHT after preplan image acquisition was 17 and 21 days for cases with pCT and pMRI, respectively. The prostate volume calculated by different modalities was compared. And retrospective planning with iTRUS image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number of $^{125}I$ seed required to obtain recommended dose distribution according to prostate volume. Results: The mean difference in prostate volume was 9.05 mL between the pCT and iTRUS and 6.84 mL between the pMRI and iTRUS. The prostate volume was roughly overestimated by 1.36 times with pCT and by 1.33 times with pMRI. For 34 cases which received NHT after image acquisition, the prostate volume was roughly overestimated by 1.45 times with pCT and by 1.37 times with pMRI.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preplan image-based volume and iTRUS-based volume (p<0.001). The median number of wasted seeds is approximately 13, when the pCT or pMRI volume was accepted without modification to assess the required number of seeds for brachytherapy. Conclusion: pCT-based volume and pMRI-based volume tended to overestimate prostate volume in comparison to iTRUS-based volume. To reduce wasted seeds and cost of the brachytherapy, we should take the volume discrepancy into account when we estimate the number of $^{125}I$ seeds for permanent brachytherapy.
Gonzalez, Santiago R.;Hobbs, Bradley;Vural, Emre;Moreno, Mauricio A.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제41권
/
pp.30.1-30.8
/
2019
Background: Advancements in the field of microvascular surgery and the widespread adoption of microvascular surgical techniques have made the use of osteocutaneous fibula free flaps the standard of care in the surgical management of segmental mandibular defects. Although the literature possesses abundant evidence to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fibula free flaps as a reconstructive method, there are relatively few studies reporting on outcomes as objectively measured by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ies (VF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early postoperative VFSS and the long-term swallowing outcomes in patients who underwent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fibula free flap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36 patients who underwent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osteocutaneous fibular free flaps between 2009 and 2012. Demographics, clinical variables, VFSS data, and diet information were retrieved. Penetration and aspiration findings on VFSS, long-term oral feeding ability, and the need for gastrostomy tube were statistical endpoints correlated with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Results: Thirty-six patients were reviewed (15 females and 21 males) with a mean age of 54 years (7-81). Seventeen cases were treated for malignancy. The size of the bony defect ranged from 3 to 15 cm (mean = 9 cm). The cutaneous paddle, a surrogate for soft tissue defect, ranged from 10 to 125 ㎠ (mean = 52 ㎠). A gastrostomy tube was present in patients preoperatively (n = 8), and postoperatively (n = 14). Seventeen patients had neoadjuvant exposure to radiation. Postoperative VFSS showed penetration in 13 cases (36%) and aspiration in seven (19%). Overall, 29 patients (80.6%) achieved unrestricted diet, and this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age (p = 0.037), radiation therapy (p = 0.002), and preoperative gastrostomy tube (p = 0.03). The presence of penetration or aspiration on VFSS was a strong predictor for long-term unrestricted oral diet (p < 0.001). Conclusion: Early postoperative VFSS is an excellent predictor for long-term swallowing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osteocutaneous fibula free flaps.
Shin, Young Seob;Yoon, Yong sik;Lim, Seok-Byung;Yu, Chang Sik;Kim, Tae Won;Chang, Heung Moon;Park, Jin-hong;Ahn, Seung Do;Lee, Sang-Wook;Choi, Eun Kyung;Kim, Jin Cheon;Kim, Jong Hoon
Radiation Oncology Journal
/
제34권3호
/
pp.177-185
/
2016
Purpose: To investigate whether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PCRT) followed by local excision (LE) is feasible approach in clinical T2N0 rectal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received PCRT and LE because of clinical T2 rectal cancer within 7 cm from anal verge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14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LE was performed in case of a good clinical response after PCRT. Patients' characteristics, treatment record, tumor recurrence, and treatment-related complications were reviewed at a median follow-up of 49 months. Results: All patients received transanal excision or transanal minimally invasive surgery. Of 34 patients, 19 patients (55.9%) presented pathologic complete response (pCR). The 3-year local recurrence-free survival and disease free-survival were 100.0% and 97.1%, respectively. There was no recurrence among the patients with pCR. Except for 1 case of grade 4 enterovesical fistula, all other late complications were mild and self-limiting. Conclusion: PCRT followed by an LE might be feasible as an alternative to total mesorectal excision in good responders with clinical T2N0 distal rectal cancer.
목적: 저등급 중심부 골육종 환자의 진단, 치료 및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부터 2011년까지 저등급 중심부 골육종으로 진단받고 본원에서 치료받은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환자 분포는 남자가 4명 여자가 12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6세였다. 초기 진단은 11명의 환자가 중심부 저등급 골육종으로 맞게 진단되었으나 나머지 5명의 환자는 각각 유골 골종, 비골화성 섬유종, 골모세포종, 동맥류성 골낭종, 결합조직형성 섬유종 등으로 오진되었다. 15명의 환자가 최종적으로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그 중 한 명은 수술 전 항암치료를 시행하였다. 그 중 14명의 환자가 치료 후 재발 없이 추시중이며, 한 명은 기존에 앓던 신세포암의 악화로 수술 후 21개월 후 사망하였다. 나머지 한 명은 다발성 종양 환자로, 부분적으로만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잔존 종양에 방사선 치료만을 시행한 후 7년째 생존 중이다. 9명(56%)의 환자가 종양이 피질골 밖까지 파급되어 있는 소견을 보였으며 그 중 한 명은 구획 외로까지의 파급을 보였다. 결론: 저등급 중심부 골육종은 진단이 어려우나 임상적 의심과 함께 조직병리학적, 영상학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주의 깊은 감별이 요구된다. 치료에 있어서는 광범위 종양 절제술이 권장되며, 양성 종양으로 오진하여 병소내 절제술만 시행한 경우라도 국소 재발이나 고등급으로의 악성 전환 가능성이 있으므로 광범위 재절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고하는 바이다.
Purpose: Advanced breast cancer traditionally has been perceived as a contraindication to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because of concerns regarding adjuvant treatment delays and the cosmetic effects of radiotherapy to breast reconstruction, so delayed reconstruction is usually preferred in advanced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mastectomy. However, with the improved outcome using multimodality therapy, consisting of perioperative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is now being performed as surgical option for selected advanced breast cancer patients. Additionally, advanced breast cancer patients may be needed soft tissue coverage of an extensive skin and soft tussue defect after mastectomy. Current authors have experienced several types of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for advanced breast cancer. Methods: From December of 2007 to June of 2009, 14 women performed for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for advanced breast cancer. They had been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or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modified radical mastectomy or radical mastectomy. Four different techniques were used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which are pedicled TRAM flap (4 cases), extended LD flap with STSG (3 cases), thoracoabdominal flap (4 cases) and thoracoepigastric flap (3 cases). Results: The mean age was 53 years and mean follow up period was 9 months. Patients' oncologic status ranged stage IIIa to stage IV. Two patients had major complications: partial flap necrosis of TRAM flap and one distal necrosis of thoracoabdominal flap. Three patients with stage IV disease died from metastase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mmediate breast and chest wall reconstruction can be considered as surgical option for advanced breast cancer. But we need long term follow up and large prospective studies for recurrence and survival.
Kelly M Mahuron;Kevin M Sullivan;Matthew C Hernandez;Yi-Jen Chen;Joseph Chao;Laleh G Melstrom;I. Benjamin Paz;Jae Yul Kim;Rifat Mannan;James L. Lin;Yuman Fong;Yanghee Woo
Journal of Gastric Cancer
/
제24권3호
/
pp.267-279
/
2024
Purpose: The optimal treatment for gastroesophageal junction adenocarcinoma (GEJA) remains controversial. We evaluated the treatment patterns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GEJA according to the histological type.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single-institution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GEJA who underwent curative-intent surgical resection between 2010 and 2020. Perioperative therapies as well as clinicopathologic, surgical, and survival data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endoscopy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were assessed for Siewert and Lauren classifications. Results: Among the 58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44 (76%) were clinical stage III, and all received neoadjuvant therapy (72% chemoradiation, 41% chemotherapy, 14% both chemoradiation and chemotherapy). Tumor locations were evenly distributed by Siewert Classification (33% Siewert-I, 40% Siewert-II, and 28% Siewert-III). Esophagogastrectomy (EG) was performed for 47 (81%) patients and total gastrectomy (TG) for 11 (19%) patients. All TG patients received D2 lymphadenectomy compared to 10 (21%) EG patients.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e presence of 64% intestinal-type and 36% diffuse-type histology. The frequencies of diffuse-type histology were similar among Siewert groups (37% Siewert-I, 36% Siewert-II, and 33% Siewert-III). Regardless of Siewert type and compared to intestinal-type, diffuse histology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raabdominal recurrence rates (P=0.03) and decreased overall survival (hazard ratio, 2.33; P=0.02). With a median follow-up of 31.2 months, 29 (50%) patients had a recurrence, an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as 50.5 months. Conclusions: Present in equal proportions among Siewert types of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a diffuse-type histology was associated with high intraabdominal recurrence rates and poor survival.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anatomic location in the determination of multimodal GEJA treatment strategies.
Sung, Soo Yoon;Kang, Min Kyu;Kay, Chul Seung;Keum, Ki Chang;Kim, Sung Hwan;Kim, Yeon-Sil;Kim, Won Taek;Kim, Ji-Yoon;Kim, Jin-Hee;Moon, Sung Ho;Ahn, Yong Chan;Oh, Young Taek;Wu, Hong-Gyun;Lee, Chang-Geol;Chung, Woong-Ki;Cho, Kwan Ho;Cho, Moon-June;Choi, Jin Hwa
Radiation Oncology Journal
/
제33권3호
/
pp.188-197
/
2015
Purpose: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care for patients with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in South Korea. Materials and Methods: A multi-institutional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Korean Radiation Oncology Group [KROG] 11-06) on a total of 1,445 patients from 15 institutions. Results: Of the 1,445 patients, more than half were stages III (39.9%) and IV (35.8%). In addition to patterns of care, we also investigated trends over time with the periods 1988-1993, 1994-2002, and 2003-2011. The frequencie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were markedly increased in the third period compared to previous 2 periods. Concurrent chemoradiation (CCRT) was performed on 894 patients (61.9%), neoadjuvant chemotherapy on 468 patients (32.4%), and adjuvant chemotherapy on 366 patients (25.3%). Of stage II-IV patients, CCRT performed on 78.8% in 2003-2011 compared to 15.0% in 1988-1993. For patients treated with CCRT, cisplatin was the most commonly used agent in 81.3% of patients. Over the periods of time, commonly used radiotherapy (RT) techniques were changed from 2-dimensional RT (1988-1993, 92.5%) to 3-dimensional RT (2003-2011, 35.5%) or intensity-modulated RT (IMRT; 2003-2011, 56.5%). Median RT doses given to primary tumors, high-risk lymphatics, and low-risk lymphatics were 70.0 Gy, 58.1 Gy, and 48.0 Gy, respectively. Adoption of IMRT increased the dose per fraction and escalated total radiation dose. Conclusion: Assessment of the patterns of care for NPC patients in South Korea demonstrated that management for NPC including diagnostic imaging, treatment regimen, RT techniques and dose schedule, advanc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guidelines.
비소세포폐암에서 종격동 구조물을 침습한 경우 일반적으로 외과적인 절제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Stage IIIB로 분류된다. 그러나 잘 선택된 일부 환자 군에서 절제수술 후 비수술군보다 좋은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격동 구조물을 침범한 T4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에서 수술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7년 8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 흉부외과에서 비소세포폐암으로 수술한 총 1067예 중 T4 종격동 구조물을 침습한 비소세포폐암은 82 예(7.7%)였고, 이 중 절제가 가능한 예는 63예(63/82 절제율 76.8%)였다. 63예의 의무기록과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고 모든 환자에 대하여 2002년 6월까지 추적조사를 마쳤다. 종격동 구조물을 침범한 비소세포폐암의 수술 결과와 예후 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82예 중 완전절제가 가능한 경우가 52예(63.4% 52/82)였다. 폐절제는 단일 폐엽 또는 단일 궤엽 이상 절제술 14예(22.2%), 전폐절제술 49예(77.8%)였다. 원발 종양에 의해 침범된 구조물(중복)은 대혈관이 39예(61.9%)로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심장 12예(19%), 미주신경 6예(9.5%), 식도 5예(7.9%), 척추 5예(7.9%), 기관 분기부 5예(7.9%) 등이었다. 림프절 전이는 pN0 11예, pNl 24예, pN2 28예(44.4%)였다. 술 전 보조치료는 모두 6예(9.5%, 5 항암화학요법, 1 방사선요법)에서 시행하였으며 절제수술 63예 중 44예에서 술 후 보조치료(69.8%, 15 항암화학요법, 29 방사선요법)가 시행되었다. 술 후 합병증으로는 23예(36.5%), 수술 사망률은 9.5% (6/63)였다. 절제 수슬(n=63) 후 중앙 생존값과 5년 생존율은 각각 18.1개월과 21.7%였고, 절제 불가능 군(O&C)(n=19)은 중앙 생존값 6.2개월, 5년 생존율 0%였다(p=.001). N2 림프절 전이가 없었던 군(N0-1, n=35)의 중앙 생존값 39개월, 5년 생존율 32.9%로 N2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군(n=28)의 중앙 생존값 8.8개월, 5년 생존율 8.6%보다 높았다(p=.007). 침습한 구조물의 종류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p=.2). 결론: 종격동 구조물을 침범한 T4 비소세포폐암에서의 수술 위험도는 높은 편이나 용납될 수준이며 환자의 전신상태 등 술 전 세심한 환자선택 특히 종격동 림프절의 전이가 없을 경우 적극적인 절제 수술이 권장된다.
목적 : III기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의 생존율과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강동성심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45 Gy 이상의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았던 35명의 환자에 대한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병기별 환자의 분포는 IIIA 15 명, IIIB 20 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6 MV X-선을 이용하여 일일선량 1.8 Gy-2 Gy씩 주 5 회 조사하여 48.4-66.6 Gy (중앙값 61.2 Gy)까지 치료하였다. 9명의 환자에서 유도화학요법, 1명의 환자에서 동시화학요법이 시행되었고 대부분이 FIP(5-FU, ifosfamide, cisplatin) 복합화학요법을 시행받았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6개월이었으며 1년 생존율은 23.3%, 2년 생존율은 6.7%이었고 병기에 따른 중앙생존기간은 IIIA 8개월, IIIB 5.5개월 이었다.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10명의 중앙생존기간은 11개월, 1년 생존율은 60%이었고 방사선 단독 치료의 경우는 중앙 생존기간이 5개월, 1년 생존율이 9%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3).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는 총 방사선량, 치료 1개월 후의 반응, 치료후의 전신상태이었으며 연령, 성별, 치료전 전신상태, 체중 감소의 유무, 원발병소의 위치, 병리조직학적 분류, 림프절 병기 등은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 III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전통적인 방사선치료로는 장기 생존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항암화학요법, 수술을 병합하는 다원적 치료 또는 변형분할조사 등의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 생식 세포종 환자들의 방사선치료 시 가장 적절한 조사 영역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부터 1998년까지 뇌 생식세포종으로 진단되거나 또는 추정되어 감마 나이프를 시행 받은 환자 19 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송과선 9예, 안상(suprasellar) 1예, 그 외 2군데 이상 다발성 병소가 9예였다. 조직이 확인이 된 예는 7예이었고 배아종(germ ceil tumor)이 5명, 내배엽동종(endodermal sinus tumor)이 2명이었다. 종양의 부피는 2.4 cm$^{3}$부터 74 cm$^{3}$ 까지 이었다. 감마나이프 방사선 치료는 50% 등선량 곡선을 중심으로 10 Gy부터 20 Gy에 걸쳐 조사되었다. 추적 기간은 10개월에서부터 54개월까지였다. 결과 : 총 19명 중 14명(74%)에서 재발을 하였다. 완전 관해와 부분 관해는 각각 2명(11%), 10명(53%)이었다. 무반응은 7명(36%)이었다. 원발 병소가 있었던 자리에서 재발한 경우가 2예, 치료 조사영역을 벗어났으나 원발 병소와 연결되어서 그 주위로 재발한 경우가 6예 이었다. 원발 병소와 떨어져서 뇌실 재발이 된 경우 3예, 척수 전이가 된 경우가 4예 이었다. 종양의 부피가 20 cm$^{3}$ 이하인 경우는 8예이었으며 이중 2예는 치료 조사영역 내에서만 재발한 경우, 4예는 원발 병소와 연이어져서 치료 부위 주위로 재발한 경우, 1예는 척수 전이된 경우이었다. 종양의 부피가 20 cm$^{3}$ 보다 큰 경우는 6예 이었으며 그 중 원발 병소와 연이어져서 치료 부위 주위에 재발한 경우 1예, 원발 병소와 떨어져서 뇌실 전이가 된 경우가 2예, 척수 전이를 일으킨 경우가 3예였다. 재발을 하지 않은 5예는 종양의 부피가 20 cm$^{3}$ 이하인 경우이고 모두 단일 병소이며 종양기표가 모두 정상이었다. 척수 전이는 4예(21%)에서 발생하였으며 모두 뇌실 침범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였다. 총 9명의 다발성 병소 중 국소 재발만을 한 경우는 3경우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치료 조사영역을 벗어나 원발 병소와 떨어져서 재발하였다. 결론 : 감마 나이프 치료가 뇌 생식세포종에 대한 치료로서는 부적절한 치료이며 이것은 감마 나이프의 특성인 작은 치료 용적과 조사 선량의 부적절함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뇌 생식 세포종에서 병소 부위 만을 치료하는 경은 종양의 부피와 다발성 병소의 뇌실 침범 유무가 치료 성공의 열쇠이다. 20 cm$^{3}$ 이하, 단일 병소, 뇌실 침범이 혀는 경우, 정상적인 종양지표, 등이 가장 이상적인 적응증이 될 수 있다. 다발성 병소에서 뇌실 침범이나 뇌실 병소가 있을 경우는 예방적 뇌 척수 조사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병소의 크기가 cm$^{3}$ 보다 클 경우 다발성 병소인 경우, 종양지표의 증가가 있는 경우에는 확정적인 제안을 하기는 어렵지만 전 뇌실 조사 또는 부분방사선 조사가 시도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경우가 선행 화학 요법과 함께 치료할 수 있는 대상이며,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