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moura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44초

한국산 강도래 목 9민강도래 과)의 1신종, Nemoura gemma sp.n. (Nemoura gemma, a New Species of the Nemouridae (Insecta: Plecoptera) from Korea)

  • Soon Ah Ham;Jong Bin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4호
    • /
    • pp.357-360
    • /
    • 1998
  • 한국산 민강도래 속의 신종인 Nemoura gemma sp. n.의 성충을 삽화와 함께 기재한다. 본 종은 Nemoura jezoensis Okamoto와 Nemoura alaica Zhiltzova와 유사하나, 항상판의 외형 및 배부경판의 형태, 복부 경판의 가시의 유무와 미모에서의 갈고리의 유무등으로 쉽게 구별된다.

  • PDF

Nemoura phasianusa, a New Species of Nemouridae (Insecta: Plecoptera) from Korea

  • Ham, Soon-Ah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1호
    • /
    • pp.95-98
    • /
    • 2009
  • Nemoura phasianusa n. sp. is similar to Nemoura jezoensis in general morphology especially lateral view, bu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combination of the characters of the epiproctal shape whose apex is depressed medially, and sclerites of epiproct, which look like question marks without dots.

Four New Species of Nemouridae (Plecoptera: Insecta) from Korea

  • Soon Ah Ham;Jong Bin L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2호
    • /
    • pp.119-125
    • /
    • 1999
  • Four new nemourid species, Amphinemura rai n. sp., Amphinemura baei n. sp., Protonemura villosa n. sp., and Nemoura espera n. sp.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Amphinemura rai n. sp. closely resembles Amphinemura tragula (Kimmins) externally, but differs from Amphinemura tragula by the projections on male terminalia and the shape of the female subgenital plate. Amphinemura baei n. sp. is similar to A. bulla Shimizu in body color, size, and structure of male and female terminalia, but distinguished by the ventral sclerites of epiproct, the knobs on the sides of the epiproct, and the shape of paraprocts. Protonemura villosa n. sp. is similar to p. hotakana Ueno in body color, size, and the structure of terminalia, but distinguished by the epiproctal flagellum and ventral sclerite, the shape of the tenth tergum. Finally, Nemoura espera n.sp. is close to Nemoura alabeli Zhilt-zova In appearance, but differs by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ventral and dorsal sclerites of the epiproct.

  • PDF

The Life Cycle and Secondary Production of Nemoura gemma Ham and Lee (1998) in a High Mountain Stream in Korea

  • Chung, Keun
    • 생태와환경
    • /
    • 제43권1호
    • /
    • pp.19-23
    • /
    • 2010
  • Life cycle and secondary production of Nymphs of Nemoura gemma Ham and Lee were estimated by using specimens collected from a stream in Mt. Jumbong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N. gemma in the study stream was univoltine. Youngest nymphs were collected in April. They appeared to grow continuously until the emergence in early spring next year. The cohort production interval for the species was estimated as 399 days. The annual secondary production (ash free dry weight) estimated by removal-summation and the size-frequency methods were 582 and $786\;mg\;m^{-2}\;yr^{-1}$, respectively. Gut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N. gemma was a shredder.

소하천의 신갈나무와 까치박달 낙엽의 분쇄 (Leaf Litter Breakdown of Quercus mongolica and Calpinus cordata In a Headwater Stream)

  • 정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30
    • /
    • 2001
  • 강원도 인제군에 있는 점봉산의 한 소하천에서 신갈나무 낙엽이 분쇄되는 양상을 까치 박달과 비교하여 보았다. 신갈나무 낙엽의 하루당 분쇄율(-k . day$^{-1}$)은 0.00503으로서 까치박달 낙엽의 약 113이었다. 낙엽주머니에서는 총 45 분류군에 속한 대형무척추동물이 출현하였는데 까치 박달에서 39 분류군이, 신갈나무 낙엽 주머니에서 38분류군이 채집되었다. 강도래목에 속하는 Nemoura tau는 두 낙엽주머니에서 가장 흔한 분류군이었고 비포식성 Chironomidae는 두 번째로 흔한 분 류군이었다. 현존량은 Gammarus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하루살이에 속한 Cincticostella castanea가 높았다 곤충 분류군의 대부분에서 4~6월 사이에 현존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이 시기에 비 곤충류의 현존량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낙엽을 뜯어먹는 무리 중 낙엽분쇄에 가장 중요한 분류군은 Gammarus로서 이들은 까치박달낙엽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emoura tau 는 가장 흔한 분류군 이었으나 이들이 1차하천에서 일어나는 낙엽분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뜯어먹는 무리에 속한 다른 분류군은 이 둘에 비하여 개체수와 현존량이 매우 낮으므로 1차하천의 낙엽분쇄는 Gammarus의 섭식생태에 의하여 크게 결정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Checklist of the Korean Stoneflies (Plecoptera) with Six Newly Recorded Species

  • Hwang, Jeong Mi;Muranyi, David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1호
    • /
    • pp.46-54
    • /
    • 2020
  • A revised checklist of the Korean Plecoptera is updated here, with 10 families, 36 genera, and 95 species are reported. Pictetiella asiatica Zwick & Levanidova, Claassenia radiata (Klapálek), Xanthoneuria unimaculata (Zhiltzova) and Sweltsa sp. Ko (temporary name) are known only from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emoura sahlbergi Morton, Perlomyia kiritshenkoi Zhiltzova, and Neoperla adamantea Murányi & Li are reported for the Republic of Korea in this study. Nemoura ussuriensis Zhiltzova, Capnia sidimiensis Zhiltzova, Eucapnopsis quattuorsegmentata Okamoto, Yoraperla uenoi (Kohno), Isoperla kozlovi Zhiltzova, and Kamimuria lyubaretzi Teslenko are new from the Korean peninsula. Materials, bibliographic data, diagnoses for newly recorded species, and their distributions are provided.

한반도 강도래목(곤충강)의 종다양성 (Species Diversity of Plecoptera(Insecta) in the Korean Peninsula)

  • 함순아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100-109
    • /
    • 2009
  • 한국산 강도래목의 연구는 1921년에 시작되어 1980년대 이후부터 최근 20년간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고.과별로 종수는 Nemouridae가 가장 많고, 다음이 Chloroperlidae였다. 한편 북한산 강도래목의 연구는 1938년에 시작되었고, 외국인에 의해 1970년대에 많은 진전이 있었고, 그 이후 적은 수의 종들이 추가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과별 종수를 보았을 때 Perlidae가 가장 많고, 다음이 Nemouridae였다. 한국산 강도래목은 총 10과 25속 43종이었고, 북한산 강도래목은 총 10과 20속 37종이었으며, 남북한 공통으로 보고된 종은 13종이었다. 그리고 강도래목 국명표기는 한국은 우리말식과 한자식이 혼용되었으며, 북한은 우리말식 종명 표기가 많았지만 대부분의 종의 명명이 안 되어 있었다. 특히 국내 생물자원으로서 강도래목은 환경부가 지정한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822종 중에 강도래목 9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한국 고유 생물종 2,322종 중 강도래목은 11종이 지정되어 있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2속의 국명 신칭, 즉 Megaleuctra 속은 큰꼬마강도래속, Haploperla 속은 한녹색강도래속으로 신칭을 붙였고, 4종 국명 신칭 즉, Nemoura brevicercia는 민강도래, Nemoura espera는 꽃민강도래, Amphinemura baeisms 제주아가미민강도래, Amphinemura rai는 아가미민강도래로 신칭을 붙였다.

점봉산의 한 일차하천에 서식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의 풍부도와 현존량 (Abundance and Biomass of Macroinvertebrate Association in a First Order Stream at Mt. Jumbong, Kangwon-do)

  • 정근
    • 생태와환경
    • /
    • 제38권1호통권110호
    • /
    • pp.1-10
    • /
    • 2005
  • 1997년 11월부터 1998년 10월 사이에 강원도 인제군에 있는 점봉산의 한 일차하천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직경 20 cm의 원통형 채집기를 이용하여 2 ${\sim}$ 4주 간격으로 11회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수온은 $0\;{\sim}\;14^{\circ}C$, 전기전도도는 15${\sim}$ 25 ${\mu}s$ $cm^{-1}$로 유지되었다. 곤충류는 53분류군이 채집되었으며 옆새우 등의 무척추동물도 채집되었다. 년평균 개체수 (${\pm}$1 SD)는 77741${\pm}$69232${\cdot}$m $^{-2}$${\cdot}$yr$^{-1}$로서, 겨울에 높고 (12월: 171178${\pm}$130468 $m^{-2}$) 여름에 낮았다 (6월: 29872${\pm}$13078 $m^{-2}$). 이중에서 Chironomidae (Diptera) 중 비포식성 아과와 Nemoura sp. (Nemouridae: Plecoptera)는 각각 53.3%와 21.8%를 차지하였다. 현존량은 회분외중량 (AFDW) 으로 10 gAFDW${\cdot}$m$^{-2}$${\cdot}$yr$^{-1}$이었는데 늦겨울에 가장 높았고(2월 16 gAFDW $m^{-2}$) 여름에 낮았다(6월: 3 gAFDW $m^{-2}$). 곤충은 이중에서 57%를 차지하였다. 현존량에서 가장 중요한 분류군은 Gammarus sp. (Gammaridae: Amphipoda)로서 전체의 39.8%를 차지하였으며 비포식성 Chironomidae 아과가 15.2%, Hydatophylax sp. (Limnephilidae: Trichoptera)는 8.5%를 차지하였다. 비포식성 Chironomidae가 여러 종으로 구성된 것을 고려하면 이 일차하천에서 가장 흔한 분류군은 Nemoura sp.이다. 그러나 이 일차하천에서 기능적으로 가장 주요한 대형무적추동물은 Gammarus sp.로 생각된다.

Bibliographic Review, Systematic Status, end Biogeographic Notes on Korean and Far East Russian Stoneflies (Insecta: Plecoptera) with Their New Korean Records

  • Kim, Jong-Sun;Bae, Yeon-Jae;Lidija A. Zhiltzova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4호
    • /
    • pp.419-425
    • /
    • 1998
  • Comprehensive bibliographic sources of Plecoptera systematics in Korea and Far East Russia were provided. Systematic status and distributional features of stoneflies in those areas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comprehensive type and non-type material examinations in those areas, new synonymies of Sweltsa colorata Zhiltzova and Levanidova, 1978 〔= Sweltsa nikkoensis (Okamoto), 1912〕 and Capnia KUa (Yoon and Aw, 1986)〔=Paracapnia recta Zhiltzova, 1984〕 were established; and the following species were newly recorded from Korea: Taenionema aponicum (Okamoto), Paraleuctra cercia (Okamoto), Leuctra fusca (Linnaeus), Eucapnopsis stigmatica Okamoto, Paracapniarecta Zhiltzova, Nemoura jezoensis (Okamoto), Stavsolus japonicus (Okamoto), Isoperla flavescens Zhiltzova and Potikha, Alloperla joosti Zwick, A. rostellata (Klapalek) Sweltsa nikkoensis (Okamoto), and S. lepnevae Zhiltzov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