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ighborhood Idle Spac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유휴공간의 유형별 재생이 지역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Impact Analysis of Idle Space Regeneration Types on Regional Revitalization)

  • 최진욱;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78-489
    • /
    • 2016
  • 최근 도시재생을 통해 도심 속 유휴공간의 재활용 방안에 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유휴공간을 재생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유형별 유휴공간의 재생이 주민 삶의 질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 관계 및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가설은 Smart PLS 3.0 패키지로 적합성 및 통계적 유의성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총 11개의 가설 중 '경제기반형 PLS 구조모형'에서는 6개의 가설이, '근린재생형 PLS 구조모형'에서는 4개의 가설이 검증되었다. 그 결과를 크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유휴공간의 재생(경제기반형, 근린재생형)을 통해 거주민의 삶의 질과 지역경제활성화를 동시에 만족하려면 문화적 차원에 대한 부문을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둘째, 물리적 차원이 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기반형 PLS 구조모형'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차원은 '근린재생형 PLS 구조모형'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유휴공간의 재생에 관한 실증 결과를 분석했으며, PLS 구조 모형의 유형별 차이가 존재함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존재한다.

도시유휴부지의 정원조성방안 (Developing Gardens in Urban Idle Space)

  • 최재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27-335
    • /
    • 2021
  • 본연구는 도시 유휴공간 유형화를 통한 도시 내 정원 조성을 위한 새로운 공간 형태와 특성을 발굴하여 향후 정원 조성 시 활용가능한 가이드라인의 제시 및 그린인프라 확충의 기초자료 구축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시의 유휴공간은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유형별 조성방안에는 차별화를 두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성과는 지역사회의 재개발을 통해 지역 사회 혜택 및 도시재생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주민의 건강과 웰빙을 지원할 수 있는 잠재적인 도시생태계서비스의 원천이 될 수 있으며 귀중한 도시경관자원이 될 수 있다. 또한, 도시 유휴공간은 도시생태계의 건강을 지원하고 도시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그린인프라의 역할로서 소중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유휴공간 재생을 위한 워크숍 방법론의 실천적 연구 -제주시 원도심 유휴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rkshop Methodology for Regenerate of Idle Space - Focused on the Idle Space in Old Downtown Jeju -)

  • 정은재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3-10
    • /
    • 2021
  • Community-based design is also becoming important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existing design methods of the "conformity" method had the problem of excluding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refore, the "decision-making" method, in which residents participate in the design themselves, is drawing attention. Development of specific methods is important for resi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The theory of "Design Games" has long been studied as a method of community-based design in many countries. The old downtown area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re increasing in number of buildings abandoned due to aging and declining. Abandoned buildings are causing many social problems. A decision-making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Jeju for the regeneration design of abandoned buildings. This study conducted a design workshop involving residents on abandoned buildings in the old city center of Jeju City. The possibility and task of decision-making method were analyzed. As a result, participating residents were actively involved in decision-making. It also helped residents understand and learn about the attractions of the neighborhood. Meanwhile, there were also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among some participants. This is a structural problem with this method. Studies have also shown that it is important for residents themselves to try to understand the neighborh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