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vicular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3초

불갑천에 서식하는 큰납지리 $Acheilognathus$ $macropterus$ (Pisces: Cyprinidae)의 개체군 생태 (Population Ecology of Deep Body Bitterling, $Acheilognathus$ $macropterus$ (Pisces: Cyprinidae) in the Bulgapcheon Stream, Korea)

  • 김형수;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4
    • /
    • 2012
  • 큰납지리 $Acheilognathus$ $macropterus$를 대상으로 2006년 3월~11월과 2008년 4월에 전남 영광군 불갑천 일대에서 생태적 특징을 밝히고자 조사하였다. 큰납지리는 물의 흐름이 느리고 바닥이 모래와 뻘로 이루어진 수역에서 대부분 서식하였다. 체장 48 mm 이하는 만 1년생, 48~58 mm는 만 2년생, 58~64 mm는 만 3년생, 66mm 이상은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고 암컷과 수컷은 체장에 있어서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성비는 1 : 0.99 (female : male)이었고, 산란시기는 4~6월로 추정되었으며 이 시기의 수온은 $15{\sim}20^{\circ}C$이었다. 평균 포란수는 $680{\pm}209$개였으며 난경은 $1.92{\times}1.60mm$으로 나타났다. 소화관 내용물을 조사한 결과 규조류의 $Navicula$, $Cymbella$, $Fragilaria$와 같은 식물플랑크톤이 주로 관찰되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nge of Hip Rotation and the Quadriceps Angle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Flat Foot

  • Lee, Keun-hyo;Chon, Seung-chul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9-26
    • /
    • 2018
  • Background: Alignment of the lower limb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balance and gait in kinematics and kinetics,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a flat arched foot. Flat arched foot are associated with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 hip and alignments of the knee joints, is strongly influenced. Obje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ip joint ROM and quadriceps angle (Q-angle), by dividing them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flat feet, using a navicular drop test (NDT) and resting calcaneal stance position (RCSP). Methods: Forty elderly patients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lat foot group, n1=20) or the control group (non-flat group, n2=20). Universal and digital goniometer, tractograph and tape measure were used to determine the related changes in the hip ROM, Q-angle, NDT and RCSP. Resul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ctive internal ROM of the hip joint (right, r=.803, p<.001), (left, r=.951, p<.001) were highly correlated with NDT, and also, was moderately correlated with Q-angle (right, r=.562, p=.019), (left, r=.757, p<.001). Passive internal ROM of the hip joint (right, r=.742, p=.001), (left, r=.922, p<.001) were highly correlated with NDT, and also, was moderately correlated with RCSP (right, r=-.530, p=.029) and with Q-angle (right, r=.710, p=.001), (left, r=.698, p=.002) in the flat foot group. However, no strong correlation among the hip ROM, NDT, RCSP and Q-angle were found in the non-flat foot group. Conclusion: This research may provide evidence of the correlations between hip internal ROM and flat foot.

발 자세에 따른 종아리 근육의 피로유발이 자세 흔들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f Muscle Fatigue on Postural Sway According to Foot Posture)

  • 이명희;장종성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3호
    • /
    • pp.481-486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alf muscle fatigue on postural sway according to foot posture (a pes cavus, a normal foot, and a pes planu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11, and 9 students of U University with a pes cavus, a normal foot, and a pes planus, respectively, according to a Navicular Drop Test. Postural sway was measured with a balance instrument (BioRescue, RM Ingenierie, France) while the subjects stood static on two legs as well as during one-leg standing using the dominant leg in two conditions (with the eyes open and with the eyes closed for 30 seconds). Muscle fatigue was then induced in the calf muscle of the dominant leg, and both muscle fatigue and postural sway were measured using an EMG. To compare the degree of postural sway between the three groups after muscle fatigue was induced, the change value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Kruskal-Wallis test, and a post-hoc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Bonferroni correction. Results: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detected for postural sway during two-leg standing with the eyes closed and during one-leg standing with the eyes open and with the eyes closed (p<0.05). The post-hoc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s cavus and normal foot groups and between the pes planus and normal foot groups for all three variables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the pes cavus and pes planus groups (p>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es cavus and pes planus cause more fatigue and postural sway than a normal foot.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hanges in balance caused by muscle fatigue.

참전복 치패에 대한 부착성 규조류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Benthic Diatoms for Newly Settl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 한형균;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3-161
    • /
    • 2000
  • 10종의 부착성 규조류를 대상으로 참전복 치패의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유생의 부착율을 실험 1에서 Rhaphoneis sp.가 31.6%, 실험 2에서는 P. tricornutum가 16.4%로 가장 높았다. 부착성 규조류를 먹이로 한 치패의 생존율은 실험1에서 Raphoneis sp.가 62.7%로 가장 높았고, N. incerta, C. schroderi, N. closterium 는 각각 56.8%, 55.2%, 54.3%로 비교적 높았으며, Navicula sp. (B-38)는 30.5%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실험 2와 3에서는 C. schroderi, N. incerta, P. tricornutum 및 Raphoneis sp.는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특히 C. schroderi는 67.6%, 49.4%로 가장 높았다. 반면, H. marina (40.4%, 15.7%), Nitzschia sp. (39.1%, 27.1%), N. closterium (35.2%, 18.0%)은 비교적 낮았다. 치패의 성장에 있어서 일간성장량은 부착율과 생존율이 높았던 C. schroderi에서 최고 83.3 ${\mu}$m로 가장 높았고, 생존율이 낮았던 H. marina와 N. closterium은 19.9~38.7 ${\mu}$m로 가장 낮은 일간성장량을 보였다.

  • PDF

단축발 운동을 적용한 벽 스쿼트 운동이 엎침발을 동반한 만성 허리통증환자의 통증과 골반 정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ll-squat with Short-Foot Exercise on Pain and Pelvic align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Pronated Foot)

  • 김남준;이한숙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39-15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wall-squat with short-foot exercise on pain, dysfunction, and pelvic alignment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METHODS: Thirty out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pronated foo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a wall-squat with short-foot exercise group (WS; n = 15) and a normal wall-squat exercise group (NW; n = 15). These groups performed their respective exercises 15 times, for three sets, three times a week over six weeks.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was used to measure the subjects' pain, and the Roland-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 (RMDQ) was used to measure the subjects' dysfunction. A navicular drop test (NDT) was used to measure the subjects' arch height. To assess the patients' pelvic alignment, their lordosis, sacral tilt, lumbar width, sacral width, ilium length, and ilium width were measured by X-ray imaging. RESULTS: Both the WS and NW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decreases in their VAS and RMDQ scores after exercise (p < .05). The WS group exhibit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ir arch height (p < .05).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S, sacral tilt, sacral width, and ilium length were observed between the WS and NW groups (p < .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ll-squat exercise i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level of pain and dysfunction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In addition, the wall-squat with short-foot exercise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elvic alignment than without short-foot exercise. This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the non-pharmacological and non-surgical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평발 대상자가 하이힐을 신고 계단을 내려갈 때 하지의 근활성도 변화 (The lower-extremity muscle co-activation of flat-footed subjects wearing high-heels while descending stairs.)

  • 김나희;최보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85-391
    • /
    • 2018
  • 본 논문의 평발인 대상자가 하이힐을 신고 계단을 내려갈 때 하지의 근활성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30명의 여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NDT를 이용하여 평발군과 정상군을 구분하였으며 표전근전도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MG와 LG근활성도와 안, 가쪽 근공동활성도는 평발군에서 낮게 나타났고 근활성도 비율은 평발군이 안쪽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하이힐을 신은 평발군은 정상군보다 무릎관절 정렬에 더 많은 손상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으므로 계단을 내려갈 때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발 강화 운동이 유연성 편평발이 동반된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을 가진 젊은 성인에게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oot Strengthening Exercise to Young of Hallux Valgus with Flexible Flatfoot)

  • 박진현;김진섭;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11-5217
    • /
    • 2012
  • 본 연구는 발강화 훈련이 유연성 편평발이 동반된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을 가진 젊은 성인의 엄지발가락가쪽 휨증을 향상하는지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대상자는 총 28명으로 발강화 훈련군(14명)과 대조군(14명)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8주 훈련 동안 두 군 모두 I.D.W를 착용하였다. 실험군은 발강화 훈련을 8주 동안 주 3회 1회당 20분씩 발강화 훈련을 받았다. 발의 구조와 최대 압력은 엄지발가락 가 쪽 휨 각도, 발허리 뼈의 각도, 발배뼈 높이 변화, 엄지발가락 압력, 2~5번째 발가락 압력, 첫 번째 발 허리뼈 압력, 두 번째 발 허리뼈 압력, 세 번째 발 허리뼈 압력, 네 번째 발허리 뼈 압력, 다섯 번째 발허리 뼈 압력, 중간 발 압력, 안쪽 발뒤꿈치 압력, 바깥쪽 발뒤꿈치 압력에 의하여 평가되었다. 발강화 훈련을 한 군에서 엄지발가락 가 쪽 휨 각도, 1~2 발허리뼈의 각도, 엄지발가락 압력, 첫번째 발 허리뼈 압력, 두 번째 발 허리뼈 압력, 세 번째 발 허리뼈 압력, 중간 발에서 구조와 압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발 강화 훈련은 유연성 편평발을 동반한 가쪽발가락휨증을 가진 환자에게 유용하고 적절한 훈련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만경강 수계 봉서천에 서식하는 각시붕어 Rhodeus uyekii (Pisces: Acheilognathinae)의 개체군 생태 (Population Ecology of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Pisces: Acheilognathinae) in the Bongseocheon, Mankyeonggang (River), Korea)

  • 김형수;고재근;최웅선;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8-85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 1~12월까지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봉서천 일대에서 각시붕어의 개체군 생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각시붕어는 정수역의 하상이 주로 뻘로 이루어진 수역에서 대부분 서식하였다. 만 1년생은 체장 24~29 mm, 만 2년생이 30~35 mm, 만 3년생이 36~39 mm, 만 4년생이 40 mm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10월 기준). 산란기는 3월부터 6월까지로 추정되었고 (수온 $11.5{\sim}27.0^{\circ}C$) 성비는 1 : 0.77 (♀:♂)이었다. 포란수는 104~168 ($124{\pm}18.1$)개였고 난경은 장경 2.8~3.5 ($3.2{\pm}0.15$) mm, 단경 1.4~1.5 ($1.4{\pm}0.03$) mm로 나타났다. 각시붕어는 말조개 Unio douglasiae에 난괴를 형성하여 산란하였고 확인된 알 및 자어의 수는 3~18 ($10.2{\pm}5.0$)개로 나타났다. 각시붕어의 주요 먹이생물은 규조류의 Navicula, Cocconeis, Cymbella속과 남조류의 Cloniophora속과 같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주로 관찰되었다.

유연성 편평족에 대한 내측 전위 종골 절골술의 단기 추시 결과 (Short-term Results of Medial Displacement Calcaneal Osteotomy for Flexible Flatfoot)

  • 박종호;문정석;이우천;배우한;서정국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3-117
    • /
    • 2009
  • Purpose: To evaluate the short-term results of medial displacement calcaneal osteotomy without flexor digitorum longus transfer for flexible flatfoot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our patients (25 feet) who had undergone medial displacement calcaneal osteotomy without flexor digitorum longus transfer for flexible flatfoot between July 2004 and May 2007 were included. The mean age was 43.6 years (16~78 years). The mean follow-up was 26 months (14~50 months).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Six radiographic parameters were measured from weightbearing radiographs to assess the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diographs. Results: The mean AOFAS score improved from 57.9 points preoperatively to 89.2 points at latest follow-up (p=0.000). The mean VAS improved from 62 points preoperatively to 23 points at latest follow-up (p=0.000). The mean talonavicular coverage angle on anteroposterior (AP) view changed from 20.2 degrees to 16.0 degrees (p=0.002). The mean calcaneal pitch angle on lateral view changed from 12.6 degrees preoperatively to 14.5 degrees at latest follow-up (p=0.001). Regarding these radiographic parameters, the difference between interobserver measurements was larger than that between pr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The calcaneus was transferred medially by average 11.8 mm (p=0.003), which was 27.9% of the width of calcaneal tuberosity (p=0.000). The mean talo-first metatarsal angle on AP and lateral views, and navicular height on lateral view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Conclusion: Medial displacement calcaneal osteotomy without flexor digitorum longus transfer for flexible flatfoot could lead to improve the clinical outcomes, although the restoration of medial longitudinal arch was not clinically significant.

  • PDF

도시화 정도에 따른 포천천과 영평천의 돌 부착규조 군집 변화 (Changes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according to Urbanization Influence in the Pocheon and Youngpyeong Streams)

  • 김용재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468-480
    • /
    • 2007
  • 도시화는 하천의 수리, 수질 및 수로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수생태계의 조성을 변화시키고 있다. 최근 포천천과 영평천 주변에 많은 인구와 소규모의 공장 등이 유입되어 도시화됨으로써 오, 폐수의 방류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화의 정도에 따라 하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돌 부착규조 군집의 조성이 다른 것에 기초로 하여 돌 부착규조 군집의 조성, 우점종 및 생태군 별 종 조성과 생물지수(DAIpo)에 의한 수 환경을 평가하였다. 두 하천의 도시화 지수는 포천천의 정점 P-3와 P-5에서 각각 85와 91로 매우 높은 반면에 영평천 주변의 도시화지수는 약 20 이하였다. 본 조사에서 돌 부착규조는 총 141종류로써 2목, 8과, 30속, 128종, 12변종, 1미동정종으로 구성되었다. 출현 종수는 포천천에서$11{\sim}36$종류의 범위였고, 영평천에서 $14{\sim}45$종류의 범위였다. 우점종은 포천천에서 Navicular saprophila, N. subminuscula, Nitzschia palea, Gomphonema pseudoaugur 등이었으며, 영평천에서 Achnanthes alteragracillima, A. convergens, A. minutissima, N. minima, N. fonticola, N. frustulum와 Cymbella minuta var. silesiaca 등으로써 두 하천의 도시화 정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도시화 지수와 EC, BOC, COD, TN, TP. 및 DAIpo 등은 높은 상관관계 $(r^2>0.8)$를 나타내었다. 도시화에 따라 유기오염의 정도가 매우 다르며, 이에 따라 돌 부착 규조의 생태군이 포천천에서는 호오탁성종의 종수 및 상대빈도가 매우 높은 반면 영평천에서는 호청수종의 종수 및 상대빈도가 높았다. 생물지수(DAIpo)에 의한 두 하천의 수질은 포천천에서 조사 동안 강부수성(P-3, 4, 5)을 나타내었고, 영평천에서는 빈부수성(Y-1)에서 강부수성(Y-4)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