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e rest year syste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자연공원내(自然公園內)의 휴양적(休養的) 이용(利用)에 따른 생태계훼손(生態系毁損)의 회복방안(恢復方案)에 대(對)한 고찰(考察) (Restoration Strategies on Deteriorated Ecosystem due to Recreational Use in Nature Parks in Korea)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369-378
    • /
    • 1991
  • 우리나라의 주요한 법정(法定) 자연보호지역(自然保護地域)은 자연공원(自然公園), 천연보호구역(天然保護區域), 자연생태계보전구역(自然生態系保全區域), 생물권보전지역(生物圈保全地域), 천연보호림(天然保護林), 조수보호구(鳥獸保護區) 등으로 전산림면적(全山林面積)의 약 18%(1,124,000ha)에 이르고 있다. 이중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국립공원(國立公園)의 경우 연간 방문자 수가 33,000,000명에 달해 자연환경훼손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특히 피해가 심한 등산로와 야영장의 보호를 위하여 공원내의 취사금지(炊事禁止)와 자연휴식년제(自然休息年制)를 도입, 운용하게 되었다. 취사금지가 공원내 고형쓰레기의 대부분인 취사찌꺼기 근절을 위한 것인 반면, 자연휴식년제는 피해지역의 자연생태적인 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후자(後者)의 도입에 따라 전국 27개산 47개등산로의 이용이 1991년 1월부터 3년간 금지된다. 자연휴식년제의 운용은 현재의 심각한 피해상태에 비추어 적절한 정책으로 평가될 수 있으나 지정지역(指定地域)의 선정(選定), 폐쇄기간(閉鎖期間) 및 방법(方法) 등의 결정을 뒷받침할 과학적 조사연구자료에 기인하지 않은 의사결정의 결과라는 데에 문제가 존재한다. 본 논문은 국내의 기존 관련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정책운용에 따르는 문제점과 이의 대안을 제시한다.

  • PDF

대구 앞산의 환경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Apsan(Mountain) in Daegu)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45-655
    • /
    • 2006
  • 도시화와 산업화로 점점 녹색의 자연성을 상실해가고 있는 대도시 대구에서 대구 중심 생태계의 한 부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앞산은 대구시민들에게는 소중한 공간이다. 특히 앞산은 대도시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문화 역사적, 생물학적, 지형 지질학적으로 다양하고도 우수한 자원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적극적인 보존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등한시해왔던 앞산의 환경에 대해 살펴보고 여기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면밀히 검토하여 앞산의 환경 보존과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1. 보다 정확한 정보가 게재된 '새로운 앞산지도' 제작이 필요하다. 2. 정밀 자연생태조사를 바탕으로 앞산 생태계 관리 방안이 구축되어야 한다. 3. 지형, 지질 등 무생물 자원 보호를 위해 대구시 관광과 또는 대구시교육청 산하에 '지오투어리즘' 부서 신설이 필요하다. 4. 실효성있는 '환경영향평가제'가 도입되어야 한다. 5. 지역 시민단체 주도의 앞산환경보호활동과 교육에 적극적인 행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 6. 산불방지를 위해 몇 곳을 정하여 기도처를 양성화할 필요가 있다. 7. 앞산 생태공간의 건강성 회복을 위해 '자연 휴식년제' 실시가 필요하다.

  • PDF

문수산(경기도)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Mt. Munsu(Gyeonggi-do))

  • 김중현;남기흠;윤창영;이병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59-48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flora of Mt. Munsu.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in 13 times(from Mar. to Oct. 2009) were identified as 511 taxa in total, including 113 families, 332 genera, 445 species, 5 subspecies, 46 varieties, 5 forms. Among them, 6 taxa of the Korea Forest Service-designated rare & endangered plants an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identified as 2 taxa. Based on the list of approved for delivering overseas of plants, 6 taxa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designated plants, which should be protec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law, were identified as 2 taxa and 39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53 taxa, and their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 index were found to be 10,3%, and 18.5% respectively. There existed many kinds of plants resources having conservational value like Ranunculus trichophyllus var. kadzusensis, Jeffersonia dubia etc, in this area, but there remains a fear of nature destruction's acceleration due to indiscriminate human development and access of a lot of visitors, so it is judged that there should be a management plan, such as a limit on the number of visitors or rest-year-system for restoration of nature.

대구광역시 비슬산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Biseul in Daegu)

  • 김중현;김용현;윤창영;김주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81-504
    • /
    • 2008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비슬산(1,083m)의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6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10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89과 302속 397종 1아종 59변종 11품종의 총 4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자주꿩의다리, 매미꽃, 청괴불나무 등 17분류군,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은 세뿔투구꽃의 1분류군, 산림청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태백제비꽃, 나도개감채, 금강애기나리 등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3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7.3%, 도시화지수는 12.2%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새롭게 확인된 식물은 160여 분류군이며, 이중에 귀화식물은 미국자리공, 금낭화, 다닥냉이, 잔개자리, 애기땅빈대, 돼지풀, 코스모스, 주홍서나물, 털별꽃아재비, 원추천인국, 방가지똥, 만수국아재비, 서양민들레, 나도바랭이, 큰김의털, 호밀풀, 자주닭개비 등 17분류군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본 지역은 세뿔투구꽃을 포함한 보존가치가 많은 식물자원이 분포하고 있으나 무분별한 개발 행위와 많은 탐방객의 출입 등으로 자연파괴가 가속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탐방객수 제한이나 자연휴식년제와 같은 관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프레쉬 킬스 공원 조경설계 (Fresh Kills Park Design, Staten Island, New York)

  • 정욱주;제임스 코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3-108
    • /
    • 2005
  • Fresh Kills is the largest landfill in the world located in the west side of Staten Island, New York. The landfill served as a storage area for New York City's trash for more than 50 years. After years of civilian and political pressure, state and local legislation decided its closure of landfill operation in Fresh Kills in March 2001. Soon after, Department of City Planning announced a Fresh Kills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Landfill to Landscape'. The winning entry was promised to be outline for the redevelopment of the 2,200 acre site which the size of three times Central Park. Forty-eight teams representing more than 200 offices from around world submitted proposals, from which six finalists that mostly led by landscape architects were selected. In December 2001, a jury of architects, landscape architects and city officials unanimously selected Field Operations as the winner. The plan, named Lifescape, visualizes the gradual 20-year transformation of the whole Staten Island into a 'natural lifestyle island' recognizing that Staten Island is home to coastal wetlands that shelter one of the most diverse ecosystems in the New York metropolitan area. It suggested that an ecologically reconstituted Fresh Kills could become the center of integrated parks and greenways system on the island otherwise fragmented. The project will be one of the largest and most ambitious undertakings in the metropolis in years developing a complex web of habitats and parklands on top of mountain of trash. This study tries to achieve two goals: One is to provide general explanations on the project, Lifescape, breaking down to its background, geographical context, design concepts and phased development plan. Another is to introduce the unique and innovative design approaches by Field Opera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a conventional landscape architectural attitude. Since this project was well published through many magazines and newspapers, main focus will be upon aspects that differentiate this project from usual landscape projects. Conceptually Lifescape brought provocative notions on nature/culture relationship and the role of urban park as an active agency rather than just a green rest area. Also this project introduced pioneering graphics like plan collage, diagrammatic plan, phasing diagram and photo montage as vehicles conveying information, imagination and provocation. Witnessing the influence of the project gradually in the field of academic and practice in the States, this study is intended to become a constructive reference to similar landscape projects dealing with large and complex urban context in conjunction with restructure of contemporary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