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disinfectant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천연보존제 나린진이 가토안의 각막 상피와 내피에 미치는 영향 -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한 고찰 (The Effects of Natural Disinfectants Naringin on Corneal Epithelium and Endothelium of Rabbit -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김인숙;유근창;채수철;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3-69
    • /
    • 2005
  • 소프트 콘택트렌즈용 합성 보존제로서 시중에 널리 알려진 B사의 R제품과 천연 보존제인 나린진이 가토안의 각막 상피와 내피에 미치는 영향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나린진의 주성분은 자몽씨 추출물로서 이는 항산화를 일으키는 Flavonoid의 구성성분 중 하나로 식품과 화장품의 보존제로서도 이미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합성 보존제의 독성은 배양된 세포에서 MTT 분석과 LDH leakage 분석을 통하여 발표된 바는 있으나 가토안의 각막에 합성 보존제와 천연 보존제를 직접 안구에 투여하여 관찰한 예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가토안의 각막에 일주일간 천연보존제인 나린진과 합성 보존제인 B사의 R제품을 안구에 각각 투여한 다음 Rose bengal staining 후, 광학카메라를 통하여 독성을 관찰 하였으며 안구를 적출하여 처리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각막상피와 내피의 손상정도를 형태학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천연보존제와 화학보존제가 가토안의 각막 상피, 내피에 미치는 영향-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Effects of Natural and Chemical Disinfectants to Epithelium and Endothelium of Rabbit's Cornea -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김인숙;전창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3호
    • /
    • pp.129-134
    • /
    • 2005
  • 천연보존제 나린진 및 키토산과 화학보존제 K 제품의 독성을 토끼 각막의 상피와 내피를 통하여 주사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다. 나린진은 자몽씨 추출물로서 이는 항산화를 일으키는 f lavonid의 구성성분중 하나로 식품과 화장품의 보존제로서도 이미 많이 사용되고 있다. 키토산은 갑각류의 외피나 곤충의 표피, 곰팡이 및 효모 등에 널리 분포되어져 있다. 키토산은 인체의 독성이 없으면서도 다양한 미생물의 항균제로 널리 인식되어져 있다. 본 연구는 천연보존제와 화학보존제의 독성을 검증하였다.

Soft contact lens에 있어서 천연보존제와 합성보존제의 살균효과 : 주사 전자현미경적 관찰 (Effects of natural and chemical disinfectants on soft contact lens infected with Pseudomonas aeruginosa :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 김인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5-69
    • /
    • 2003
  • 본 연구는 천연보존제인 자몽씨 추출물과 합성보존제인 $H_2O_2$를 사용하여 soft contact lens 착용시 각막염의 원인중 하나인 Gram negative bacteria인 Pseudomonas aeruginosa 대한 살균효과를 알아보았다. Pseudomonas aeruginosa는 4주간 배양하여 포낭 형태를 이루게 한 다음 $7{\times}10^6CFU/m{\ell}$의 현탁액에 soft contact lens를 오염시킨 후 천연보존제와 합성보존제의 살균 효과를 비교하였다. 현탁액에 담군 120분후 균의 생존률은 천연보존제는 $1{\times}10^3CFU/m{\ell}$ 합성보존제는 $0.5{\times}10^2CFU/m{\ell}$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합성보존제의 경우 눈에 자극감이나 화학적 안 외상을 줄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자몽씨 추출액과 같은 인체에 무독한 천연 보존제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쌀가루 제분용 백미 내 잠재적 위해 세균에 대한 살균 및 세척 효과 (Antibacterial and Rinsing Activities Against Potentially Harmful Bacteria in Rice during Rice Flour Production)

  • 한재광;차민희;김민주;김근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7-122
    • /
    • 2014
  • 습식 쌀가루의 제분과정 중에서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침지공정이나 세척공정에 사용되는 물에 천연살균제인 쌀뜨물발효액 혹은 화학살균제인 chlorine dioxide (CD)와 sodium benzoate (SB)를 각각 첨가하여 침지공정이나 세척공정 중 쌀에 잔류 미생물의 증식억제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원료 쌀의 잔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지공정 전과 후 세척 횟수별 잔류 미생물의 제거 정도를 파악하였다. 쌀뜨물발효액, CD, 혹은 SB는 백미 내 잔류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위해 세균들로 선정된 S. typhimurium, E. coli, 그리고 B. cereus 표준균주들에 대하여 액체배양액 내에서 각각 첨가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이들 살균제들의 항균력이 비교적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쌀뜨물발효액이나 SB와 비교하였을 때 CD가 액체배양액 내에서 가장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쌀뜨물발효액, CD, 혹은 SB는 침지과정 중에 각각 첨가된 농도가 증가하면서 백미 내 잔류세균에 대하여 이들 살균제들의 항균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위에서 언급한 S. typhimurium, E. coli, 그리고 B. cereus 표준균주들에 대하여 액체배양액 내에서 이들 천연살균제와 화학살균제들이 나타낸 항균력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편 백미 검체의 침지 전과 후 세척 횟수에 따른 백미 잔류 세균의 제거효과는 백미 검체를 침지하지 않고 세척하였을 때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세척을 한 후 침지를 시켰을 때는 세척 횟수가 증가하여도 잔류 세균의 수가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결론적으로 백미의 살균 및 제균 방법으로는 살균제에 의한 살균방법보다는 물 등으로 세척하여 잔류 세균을 제거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화학적 제어제에 의한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불활성화 (Inactivation by Chemical Disinfectants in vitro against Tobacco Mosaic Virus)

  • 최창원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7-21
    • /
    • 1998
  •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검사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제를 처리한 결과, 1NHCl과 0.1-1N NaOH에 바이러스와 외피에 보호된 RNA가 완전하고 신속하게 분해되었다. TMV를 0.1N HCl에 처리하였을 때 바이러스의 외피단백질은 산의 가수분해에 의해 부분 분해되었으나, 0.01N HCl 혹은 0.01N NaOH에 처리했을 때는 분해되지 않았다. 위의 결과에서 적절한 산이나 알칼리에 처리하는 것은 바이러스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가치가 있음이 판명되었다. 50% isopropanol과 UV처리는 바이러스와 외피화된 RNA에 어떤 효과도 미치지 않았다. 농장의 농기구와 실험실 기구를 바이러스의 오염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화학제의 적용이 필요하다.

  • PDF

양이온약제내성을 유도하는 Bacillus subtilis의 Drug Efflux Pump (A Drug Efflux Pump for Cationic Drugs including Disinfectants in Bacillus subtilis)

  • Yong Joon Ch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0-234
    • /
    • 2003
  • Small multidrug resistance(SMR) family(TC #2.A.7.1)에 속하는 막단백질 중 하나를 coding하는 Bacillus subtilis의 yvaE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한 결과, 발현된 YvaE단백질에 의해 대장균세포내에서 살균제를 포함한 다양한 양이온 약제에 대한 efflux활성을 촉매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같은 operon내에 인접한 yaD유전자의 동시발현을 유도한 결과, 이러한 efflux활성은 억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Ethidium bromide를 기질로 하여 fluorimeter를 이용한 efflux transport실험결과, YvaE 단백질이 발현된 대장균세포의 경우 vector만을 함유한 대조세포에 비해 현저히 빠른 efflux활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YvaE 막단백질은 multidrug export를 촉매하는 SMR-type efflux pump임을 확인하였다.

이화학적 살균제로 처리한 Campylobacter jejuni의 세포 형타와 미세구조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the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s in Campylobacter jejuni treated with Physico-chemical Disinfectants)

  • 윤만석;오학식;김치경
    • Applied Microscopy
    • /
    • 제19권2호
    • /
    • pp.17-26
    • /
    • 1989
  • The cells of Campylobacter jejuni treated with physical or chemical disinfection agents were comparatively examined by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es for their morphological features and internal ultrastructures. The normal cells of C. jejuni, showed typical spiral rod shapes. The ribosomes, nucleoids, and other cellular constituents were observed to be distributed evenly throughout the cytoplasm. The cells treated with heat or UV-light were changed to spherical or irregular shapes and their cell envelopes were destroyed to form ghost cells by liberating their cytoplasmic components. The cells treated with chlorine or monochloramine were also changed into irregular round shapes. The chlorinated cells showed very rough surface structures with many blob-like protrusions, while the surface of the monochloramine-treated cells appeared to be relatively smooth.

  • PDF

비유기수은 종자소독제개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eed disinfectant in non-mercurious compounds)

  • 이두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3-71
    • /
    • 1979
  • 비유기수은 종자소독제의 개발을 목적으로 배도열병균, 벼깨씨무늬병균 및 벼키다리병균에 감염된 증자 4개품종을 공시하고 Blotter 법, 물한천평판법 및 유묘 검정법 등을 통해서 12종의 약제에 대한 약효를 검정하는 동시에 검정방법별 차이를 검토하고 약해발현 여부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벼${\cdot}$도열병, 벼${\cdot}$깨씨무늬병 및 벼${\cdot}$키다리병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약효가 좋았던 것은 Sisthane, $P_{242}$ 및 Sodium Omadine이었다. Benlate T 및 Homai는 깨씨무늬병에 대한 약효가 낮았으며, Busan 30 및 Panoctine은 유묘검정에서 키다리병에 대한 약효가 낮았다. 약효검정방법으로서는 도열병에 대해서는 Blotter법이, 깨씨무늬병과 키다리병에 대해서는 물한천평판법이 좋았다. 발아율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약제의 최아전종자소독 결과, 약해의 유발은 없었다.

  • PDF

가습기살균제 참사에 관한 학술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다양한 관점의 이해 (Critical Reviews of Academic Research and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

  • 김지원;방예원;박문영;조경이;최예용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40-35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develo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 from diverse perspectives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the relevant academic research papers published so far in the fields of both natural and social science. The authors reviewed pertinent articles in the six academic areas of law, social science, humanities, medicine,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issue of humidifier disinfectant is a challenging task because diverse aspects of it have become related over the more than two decades since such products were first released to the market in 1994. Technical and esoteric issues such as the complex system for relief and compensation for health damages and the approval of chemical toxicity are known to be major impediments to viewing the bigger picture regarding this tragedy. The authors believe that experts need to consider a comprehensive perspective going beyond their individual research arena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issue, especially since it was an alarm signal on ethics and the role of experts and scholars in Korean society. Besides the two professors arrested by the prosecutor's office,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medical doctors recommended patients use humidifiers and disinfectants, and the media was inactive in reporting on this issue. Furthermore, the current paucity of examination of the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tragedy calls for more active engagement by researcher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is regard, this paper is a work of self-examination and self-criticism by the authors that could resonate with the overall academic community.

콘택트렌즈 보존제 H2O2와 자몽씨 추출물의 세포 독성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Cell Cytotoxicity of H2O2 and Grapefruit Seed extract)

  • 김인숙;유근창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3-180
    • /
    • 2004
  •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으로 사용되는 합성보존제로서 대표적인 $H_2O_2$와 천연보존제인 자몽씨 추출물(DF-100)이 결막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를 비교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몽씨 추출물의 주성분은 Narigin이며, 이는 항산화를 일으키는 Flavonoid의 구성성분중 하나이다. $H_2O_2$와 자몽씨 추출물(DF-100)의 세포는 MTT assay에 의해 측정하였고, DNA 손상은 Comet assay 측정으로 분석하였다. 5%의 자몽씨 추출물은 과산화수소에 의해 손상된 세포를 회복시켜주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배양 결막세포주에 과산화수소 및 자몽씨 추출물을 농도별로 동시 처리하여 24시간 뒤 LDH leakage assay용 이용한 세포독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자몽씨 추출물은 과산화수소의 세포증식 저해와 apoptosis를 현저하게 억제해 주었다. 또한 자몽씨 추출물은 bioflavonoids의 구성성분이며 이는 음식으로써도 제공된다. 이 연구는 자몽씨 추출물이 anti-oxidant와 anti-apoptopic activity로 천연보존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