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Extract

검색결과 4,101건 처리시간 0.035초

매실농축액의 항균성 검색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aesil(Prunus mume) Extract)

  • 최무영;원향례;박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1-66
    • /
    • 2004
  •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옛날부터 약용이나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매실을 대상으로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및 효모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매실농축액은 시험균주에 대해 대체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최소저해농도는 대부분의 시험균주에 대해 0.1 - 0.95mg/ml 측정되었다. 이와같이 매실농축액의 열 및 pH 변화에 따른 항균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열 및 알칼리 처리에 의해 매실농축액의 항균활성은 서서히 감소하였다. 또한, 매실농축액의 미생물 증식 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증식배지에 0, 50, 100 및 250ppm의 메실농축액을 첨가하여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을 조사한 결과, 50pm 이상의 매실농축액 첨가 시 균의 증식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는 높은 항균효과를 지닌 매실농축액이 앞으로 천연보존료로써 개발 이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Allium Jesdianum Extract Improve AcetaminophenInduced Hepatic Failure through Inhibition of Oxidative/Nitrosative Stress

  • Sohrabinezhad, Zohreh;Dastan, Dara;Asl, Sara Soleimani;Nili-Ahmadabadi, Ami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9-247
    • /
    • 2019
  • Objectives: Allium jesdianum (Aj) is a medicinal plant that has highlighted pharmacological featur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j extract were examined on acetaminophen (APAP)-induced hepatic failure in rats. Methods: Methanolic fraction of hydro-alcoholic extract of Aj was obtain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method.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each containing six rats and treated by gavage as follows: the first and second groups received normal saline, the third and fourth groups were received with 50 and 100 mg/kg of Aj extract, respectively. After two consecutive weeks, the groups 2-4 were given a single dose of APAP (2 g/kg). After 48 hours, blood and liver samples were collected for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examinations.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APAP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T (P < 0.001), AST (P < 0.001), LDH (P < 0.001), ALP (P < 0.001) serum levels, hepatic lipid peroxidation (LPO; P < 0.001) and nitric oxide (NO; P < 0.001). In this regard, APAP led to the depletion of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 P < 0.001), glutathione and total thiol groups (TTGs; P < 0.001), and structural change in the liver. In the Aj extract groups, a considerable improvement was found in the hepatic function alongside the histopathologic changes. Conclusion: This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the influential effects of Aj extract in APAP-induced hepatic failure might depend on its effect on improving oxidant/antioxidant balance in hepatic tissue.

천연항균물질을 침지 및 포장소재로 이용한 딸기의 저장효과 (Preservative Effect of Natural Antimicrobial Substances Used as Steeping and Packaging Agent on Postharvested Strawberries)

  • 정순경;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7-40
    • /
    • 2003
  • 딸기를 항균소재에 침지 처리한 후 1% 농도로 항균성 소재를 첨가시킨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필름에 의하여 딸기를 싸서 포장하고 5$^{\circ}C$에 저장하면서 미생물 성장, 부패율, 텍스쳐, 화학적 품질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교해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항균성 소재를 포함시킨 LDPE 필름은 무첨가 대조 필름에 비해 호기성 총균수, 효모/곰팡이수로 측정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생물 증식억제의 효과로 인하여 항균성 필름은 포장된 딸기의 부패율을 낮추어 주고, 연화를 억제하였다. 딸기의 저장 중 pH는 상승하고 적정산도는 감소하였으며 가용성 고형분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포장 처리구간에는 유의하고 일관성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대조구 LDPE에 비교해서 항균필름의 효과를 재확인 할 수 있었으며, 황련추출물 및 GFSE등과 같은 항균소재에의 침지 처리과정을 항균필름 포장 방법과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딸기의 신선도를 연장하는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미루어, 본 연구에서 그 기능과 효과를 구명한 천연항균소재는 수확한 딸기의 항균용처리제재 및 포장 필름 소재로 선도유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딸기의 생산기반 보호와 농가소득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의 천연화장품 원료로서의 효능 평가 (Evaluation of Alcea rosea L. Callus Extract as a Natural Cosmetic Ingredient)

  • 이기복;염아름;김동원;박창민;정민석;이기용;정철승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95-30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하여 접시꽃 캘러스 생리활성 효능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접시꽃캘러스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은 DPPH, ABTS, FRAP assay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접시꽃캘러스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강력한 항산화 능력을 확인되었다. 더불어,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은 10 mg/mL 의 농도에서 세포 내 ROS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은 10 mg/mL 의 농도에서 tyrosinase 활성을 51%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효능을 지닌 화장품 기능성 소재로서 적용 가치가 높은 천연소재로 사료된다.

추출 방법에 따른 비파엽 추출물의 미백 및 항염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박정옥;박진오;주철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1-15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하여 비파엽 추출물을 제조하고 효소 및 세포 활성평가를 진행하였다. 활성평가는 tyrosinase 측정법을 이용한 미백 효능, NO 측정법을 이용한 항염 효능에 대한 활성등을 분석하였다. 미백 효능 관련 tyrosinase 활성 저해는 10% 농도의 비파엽 초임계 추출물에서 미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염 효능 관련 NO 활성 저해 분석 결과, 초임계 추출물, 에탄올 환류 추출물, 열수 추출물의 순서로 NO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70% 에탄올 환류 추출물 5% 처리를 제외하고는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미백 효능 관련 멜라닌 생성 저해는 5% 처리 농도에서 30%, 70% 에탄올 환류 추출물이 강하게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로부터 비파엽 추출물 제조를 통한 우수한 항염 효능 및 미백 효능 관련 활성을 나타내는 추출조건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용 자료로서의 역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쌀단백질 잔사발효물이 효모추출물의 맛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Fermented Rice Protein Residue on the Taste Property of Yeast Extract)

  • 박강석;한귀정;정하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413-419
    • /
    • 2011
  • 쌀단백질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천연 조미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쌀단백질을 프로테아제로 효소분해한 배지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를 배양하여 제조한 효모 추출물(Yx)에, 효소분해 후 남은 쌀단백질 잔사를 Bacillus licheniformis 혹은 Bacillus subtilis로 발효하여 얻은 발효물(Rfl, Rfs)을 각각 첨가하였다. 쌀단백질 잔사의 발효물이 첨가된 효모추출물(YxRfl, YxRfs)의 전체적 선호도는 첨가전의 효모추출물(Yx)에 비하여 높았으며, 특히 쌀단백질 발효물의 보충에 의해서 감칠맛과 같은 풍미가 증가함을 미각센서 분석 및 관능검사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쌀단백질 잔사발효물에 의한 감칠맛의 상승은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 이 외에도 쌀단백질의 발효에 따라 유리된 다양한 펩타이드 분획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감칠맛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가 함유된 쌀단백질 발효물이 보충된 효모추출물은 감칠맛과 풍미의 상승작용으로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고부가가치 천연조미소재의 제조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for Enhanced Glutathione Produc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 Cha, Jae-Young;Park, Jin-Chul;Jeon, Beong-Sam;Lee, Young-Choon;Cho, Young-Su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1호
    • /
    • pp.51-55
    • /
    • 2004
  • The influence of feedstock amino acids, salt,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glutathione produc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FF -8 was investigated. Glucose, yeast extract, KH$_2$PO$_4$, and L-cysteine were found to be suitable feedstock. Highest glutathione production was obtained after cultivation with shaking for 72 h in a medium containing glucose 3.0% (w/v), yeast extract 3.0%, KH$_2$PO$_4$ 0.06% and L-cysteine 0.06%. The glutathione concentration achieved using this medium increased 2.27-fold to 204 mg/l compared to YM basal medium.

Flavonoids with anticomplement activity from Persicaria lapathifolia

  • Park, Si-Hyung;Oh, Sei-Ryang;Kim, Young-Soo;Lee, Hyeong-Kyu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86-186
    • /
    • 1998
  • Persicaria lapathifolia Gray (Polygonaceae) is a common weed in Korea. This plant and other Persicaria species including P. orientale and P. pubescens have been used as an analgesic and stomachic as well as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and malaria. During the screening program of plant extracts, MeOH extract of P. scabrum showed anticomplement activity and the MeOH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hanol. EtOAc fraction showed strong activity and activity guided separation yielded eight flavonoids. Two known galloylated and a novel ferulloylated flavonoid glycosides showed strong anticomplement activity. Other flavonoid glycosides, kaempferol 3-O-${\alpha}$-$\sub$L/-arabinopyranoside, kaempferol 3-O-${\beta}$-$\sub$D/-glucopyranoside, kaempferol 3-O-${\beta}$-$\sub$D/-galactopyranoside, quercetin 3-O-${\alpha}$-$\sub$L/-arabinopyranoside, quercetin 3-O-${\beta}$-$\sub$D/-glucopyranoside, quercetin O-${\beta}$-$\sub$D/-galactopyranoside did not showed anicomplement activity.

  • PDF

몇가지 천연 산화방지물의 첨가가 가열 팜유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me Natural Antioxidants Effect on Thermal Oxidation in Palm Oil)

  • 장영상;이영수;강우석;신재익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14
    • /
    • 1989
  • Effectiveness of some natural antioxidant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physico-chemical char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thermal oxidation in palm oil. Tocopherol showed most enhanced thermal oxidation stabilities compared to the other natural antioxidants. AR spice was no good AOM stability and changes of acid value but the other parameters were obtained desirable results. The changes of linoleic aicd content was slightly decreased during thermal oxidation. Addition of rosemary and glycyrriza extract increased the stabilities of oil less than tocopherol and AR spice. Order of antioxdative effects was tocopherol, AR spice and others. There was no significiant difference in stability of rosemary and glycyrriza extract.

ZnO Nanorods Based Dye Sensitized Solar Cells Sensitized using Natural Dyes Extracted from Beetroot, Rose and Strawberry

  • Senthil, T.S.;Muthukumarasamy, N.;Kang, Miso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4호
    • /
    • pp.1050-1056
    • /
    • 2014
  • Dye sensitized solar cells were fabricated using natural dyes extracted from beetroot, rose and strawberry. The ZnO nanorod working electrode has been prepared by simple hydrothermal method. The crystallinity and morphology of the prepared electrode has been studied using X-ray diffrac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echniques. The effect of natural dye extract temperature, pH of the dye and the solvent used for dye preparation on the solar cell characteristics have been studied. The efficiency of strawberry extract sensitized ZnO nanorod solar cells are found to be better than the other solar cells sensitized using beetroot and rose ex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