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honey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초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of Queen, Worker, and Larva of Asian Honeybee, Apis cerana

  • Kim, Woo Jin;Lee, Seok Hee;An, Saes Byeol;Kim, Song Eun;Liu, Qin;Choi, Jae Young;Je, Yeon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7권2호
    • /
    • pp.271-276
    • /
    • 2013
  • The Asian honeybee, Apis cerana, is a native honeybee species in Korea which is important in agriculture for pollination and honey produc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hysiology of A. cerana, high-throughput Illumina transcriptome sequencing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of queen, worker, and larva. A total of 219,799,682 clean reads corresponding to 22.2 Gb of nucleotide sequences was obtained from the whole body total RNA samples. The Apis mellifera reference mRNA sequence database was used to measure the gene expression level with Bowtie2 and eXpress software, and the Illumina short reads were then mapped to 11,459 out of 11,736 A. mellifera reference genes. Total of 9,221 genes with FPKM value greater than 5 of each sample group were subjected to eggNOG with BLASTX for gene ontology analysis.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between queen and worker, and worker and larva were analyzed to screen the overexpressed genes in each sample group. In the queen and worker sample group, total of 1,766 gene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with 887 and 879 genes overexpressed over two folds in queen and worker, respectively. In the worker and larva sample group, total of 1,410 gene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with 1,009 and 401 genes overexpressed over two folds in worker and larva, respectively.

개량형 토종꿀벌 (Apis cerana) 벌통의 유형별 온·습도와 무게변화 비교 (Comparison on Temperature, Humidity and Weight Changes among Different Types of Hive for the Asiatic Honeybee(Apis cerana))

  • 이찬주;홍영희;이명렬;유철형;김순일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19
    • /
    • 2020
  • 토종벌 개량벌통에 대해 전문가와 양봉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4종 개량벌통(충주, 밀양, 하남, 수원)의 내외부 온습도와 무게변화를 2019년 5월 1일부터 2020년 1월 31일까지 비교 분석하였다. 양봉농가들은 개량벌통의 부수자재로 수직사양기, 받침대, 격리판, 소문조절기 등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벌통 중심부 육아권의 평균온도는 매우 안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고(31.3~35.1℃), 시험 벌통들 중 충주벌통에서 육아권의 일간 온도 변이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1℃). 격리판 바깥 격리공간과 월동 봉구 상부의 평균 일간 온도 변이는 4종류 개량벌통들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벌통 육아권의 온도와 소비수 간 상관관계는 충주벌통이 가장 높았고(80.4%), 외부 온도와 월동 봉구 상부의 온도 간 상관관계는 4종류 벌통 모두 높았다(76.8~87.1%). 벌통 중심부 육아권의 상대습도(45~60%)는 상대적으로 벌통 외부 습도(60~85%)에 비해 낮고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월동 봉구 상부의 상대습도 변화는 수원벌통이 가장 안정적이었다(65~75%). 벌통들 중에서 가장 높은 누적 무게 증가가 밀양과 충주벌통에서 보였고, 이들 벌통은 누적무게 변화와 소비수 간에도 높은 상관관계(65~67%)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토종벌은 자신들의 봉군 유지를 위해 육아권의 온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능력을 보였지만, 개량 벌통의 규격에 따라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