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 달성을 위한 17개 광역시도별 발전 및 최종에너지 소비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Changes in Power Generation and Final Energy Consumption in Provinces to Achieve the Updat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 노민영;전승호;김문태;김수덕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1권4호
    • /
    • pp.865-885
    • /
    • 2022
  • 2021년, 정부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를 상향 설정하고 에너지 분야의 주요 감축 방안과 감축목표를 제시하였으나, 다양한 쟁점이 논의되고 있다. 그 중 NDC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에너지수요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17개 광역시도 통합평가모형 GCAM-Kore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30년 최종소비부분의 에너지수요는 2018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석탄 비중의 감소와 전기화가 진행되면서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 산업부문에서 그 현상이 뚜렷이 나타났다. 최종소비부문에서 증가한 전기수요와 감소한 석탄 발전량(2030년 발전 비중 12.8%)은 신재생(33.1%), 가스(24.6%), 원자력(18.0%)이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미래의 주요 발전지역은 현 주요 발전지역인 충남(주요 발전원, 석탄)에서 경북(원자력), 경기(가스), 전남(원자력, 가스), 강원(태양광, 풍력)으로 바뀌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국가와 지자체의 에너지 정책 및 온실가스 감축 전략 도출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탄소중립을 위한 고분자 기체분리막의 기술 동향 (Technological Trends in Polymer Gas Separation Membrane for Carbon Neutrality)

  • 칼리드 무하머드 타이얘브;박철호
    • 멤브레인
    • /
    • 제34권3호
    • /
    • pp.172-181
    • /
    • 2024
  • 대부분의 국가들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행동계획인 NDC (National Determined Contribution)를 법률화 했다. NDC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가스상의 온실가스나 에너지원의 정화를 위해 분리막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재료 중 실현 가능한 제조 공정과 쉬운 스케일업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고분자 막의 기술 동향을 제공할 것이다.

Claims problem을 활용한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분석 (Allocating CO2 Emission by Sector: A Claims Problem Approach)

  • 허윤지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1권4호
    • /
    • pp.733-753
    • /
    • 2022
  • 우리나라는 201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이하 NDC)를 수립한 이래, 2019년 한 차례 수정 후 지난해 말 상향안을 발표하였다. 전환, 산업, 건물 등 각 부문별 탄소배출량은 NDC 목표 달성을 위해 설정된다. 본 연구는 협조적 게임이론의 claims problem 또는 파산문제(bankruptcy problem)를 활용하여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분석한다. Claims problem에서 다루는 대표적인 5개의 분배규칙을 정의하고 각 규칙의 특성을 공리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NDC 목표 달성을 위한 부문별 탄소배출량 분배문제에 각 분배규칙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정부목표와 비교분석하였다. 전환 부문에 책정된 정부목표는 5개 분배규칙에서 할당하는 배출량보다 낮은 반면, 산업 부문의 정부목표 배출량은 5개 분배규칙의 결과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 부문은 정부목표가 클레임 수준에 비례하여 배출량을 할당하는 분배규칙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NDC 이행을 위한 공동감축실적이전 분석 (Analysis of the Joint Crediting Mechanism's Contribution to Japan's NDC)

  • 김영선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97-303
    • /
    • 2017
  • Considering Japan's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duction target for Fiscal Year (FY) 2030, the Joint Crediting Mechanism (JCM) was analyzed in order to estimate it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Japan's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and check its availability as a new mechanism to achieve Korea's 2030 mitigation target of 11.3% using carbon credits from 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s. The total budget for JCM Model Projects (1.2 billion JPY/yr) and JCM REDD+ Model Projects (0.8 billion JPY/yr), which are expected to deliver at least 50% of issued credits to Japan, is estimated about 21.6 billion JPY by the year 2030. This budget is about one third of the purchase of carbon credits from international carbon markets. So far, JCM credits of $378tCO_2-eq$. have been allocated to Japan, which are about 77% of the total issued credit through five-JCM Model Projects implemented from the year 2014. It is expected that Japan will obtain about $0.5MtCO_2-eq$. credits more from 100-ongoing JCM Projects, which are only 1% of Japan's NDC target through JCM credits. With regard to regular issued credits from implemented projects, expected new issued credits from pipeline projects and the less budget for JCM implementation as compared to purchasing carbon credits, JCM credits can be reached a resonable level of Japan's NDC target of $50{\times}100MtCO_2-eq$. through JCM until FY 2030.

Renewable energy deployment policy-instruments for Cameroon: Implications on energy security,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 Enow-Arrey, Frankline
    • 한국태양광발전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6-68
    • /
    • 2020
  • Cameroon is a lower middle-income country with a population of 25.87 million inhabitants distributed over a surface area of 475,442 ㎢. Cameroon has very rich potentials in renewable energy resources such as solar energy, wind energy, small hydropower, geothermal energy and biomass. However, renewable energy constitutes less than 0.1% of energy mix of the country. The energy generation mix of Cameroon is dominated by large hydropower and thermal power. Cameroon ratified the Paris Agreement in July 2016 with an ambitious 20% greenhouse gas (GHG) emission reduction.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some renewable energy deployment policy-instruments that could enable the country enhance renewable energy deployment, gain energy independence, fulfill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and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t begins with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energy sector in Cameroon. It furth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renewable energy in mitigating climate change by decarbonizing the energy mix of the country to fulfill NDC and SDGs. Moreover, this study proposes some renewable energy deployment policy-solutions to the government. Solar energy is the most feasible renewable energy source in Cameroon. Feed-in Tariffs (FiT), is the best renewable energy support policy for Cameroon. Finally, this study concludes with some recommendations such as the necessity of building an Energy Storage System as well a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and statistics infrastructure.

A Study on Strategies of Public R&D to Achieve National Carbon Neutrality: Focusing on the Implica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 Song, Jaeryoung;Kim, Cheolhu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1권1호
    • /
    • pp.1-29
    • /
    • 2022
  • Climate action is at the top of the agend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demonstrated at the 2021 G7 Summit and the 2021 UN Climate Summit. Major developed countries are scrambling to make a transition to a green economy and create a new growth momentum. Following the Paris Climate Agreement in 2016, they focus on "carbon neutrality" as an effective means of tackling climate change. The Republic of Korea, a high-carbon economy, submitted its secon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and announced carbon neutrality as a top policy priority. Accordingly, the country increases government budge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and science and technology (S&T) polici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nalyzed policies on carbon-neutral S&T and R&D in major advanced countries. The analysis was made by identifying globally pending issues in carbon-neutral policies and climate technology. In additio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six times with 10 experts to come up with three R&D strategies and action plans for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To be specific, the following measures were suggested. First, creative and innovative R&D programs are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of carbon emiss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arbon neutrality policies and infrastructure which are sustainable to run and manage. Third, it is crucial to promote cooperation in climate technology based on excellence. In conclusion, the strategi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researchers, and scholars in science and technology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to achieve national carbon neutrality.

온실가스 배출량 시계열 분석과 전망 배출량 및 감축 감재량 추정 - 충북을 중심으로 - (Time-Series Analysis and Estimation of Prospect Emissions and Prospected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Chungbuk)

  • 정옥진;문윤섭;윤대옥;송형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1-59
    • /
    • 2022
  • 2015년 '파리협정' 및 2021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제정에 따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2018년 대비 40% 감축) 달성을 위해서는 지자체별 적절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과 이행 노력이 필수적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1990-2018년 까지 온실가스 배출 현황을 시계열로 분석하였고,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충청북도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제안하였다. 또한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BAU 대비 장래 배출량을 고려한 2030년까지의 감축 잠재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리나라와 충북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 이래 인구 및 경제 성장에 따라 증가해온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8년 국가 대비 충북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3.9%로 매우 낮은 편이였고, 시멘트 및 석회 생산, 제조업 및 건설업, 수송업 등 연료연소에 의한 배출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30년 NDC 및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반영한 2030년 충청북도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18년 대비 40.2%로 설정하였다. 이에 장래 배출량을 고려할 경우 목표 달성을 위한 감축 잠재량은 2018년 대비 46.8%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 결과는 국가 및 지자체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 수단을 통한 감축 잠재량을 충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2030년 NDC 및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달성을 위해 충북을 포함한 국가 및 각 지자체는 온실가스 장래 배출량을 연도별로 추정하여 매년 감축 목표와 감축 잠재량을 구하고 이를 삭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감축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시뮬레이터(EQPS)를 이용한 탄소발자국 최소화 운전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to find the operation conditions to minimize carbon footprint using a simulator(EQPS))

  • 한지수;이제승;이병희
    • 유기물자원화
    • /
    • 제32권2호
    • /
    • pp.37-48
    • /
    • 2024
  • 하수처리장은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 관리제 대상 시설로 탄소 배출량 감축이 시급하다. 하지만 최근 하수도 통계에 의하면 하수처리량에 대한 CO2 배출량은 2020년 대비 3.03 % 감소하였으며 이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충족하기에는 상당히 부족한 수치이다. 생물반응조에서 발생하는 직접 배출 온실가스와 하수처리과정에서 이용되는 에너지로 인한 간접배출 온실가스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한 총 CFP (Carbon Footprint)를 최소화하는 생물반응조 운전 조건을 찾기 위해 EQPS라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4-stage BNR 공법 하수처리장 생물반응조 내부반송율을 유입 수량의 100 %로 설정했을 때 총 CFP가 설계 운전 조건 대비 약 10.97 %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상 처리장의 N2O EF(Emission Factor)를 계산한 결과 0.138~0.199 %로 IPCC에서 제시한 기본값 1.6 %보다 낮은 값임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생물반응조 운전 조건 최적화를 통해 하수처리시설의 총 CFP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N2O 배출 감소를 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