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5초

국가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간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전기소자 기술을 중심으로 (Interregional Network Analysis of National Innovation Activities)

  • 유선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2호
    • /
    • pp.93-107
    • /
    • 2006
  • 지역별 특화산업 현황과 이의 육성을 위한 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지역 기술혁신활동을 보다 실제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허통계를 이용하여 지역별, 국가별 혁신능력을 비교하는 연구는 많이 있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주로 출원인(기업)의 본사를 기준으로 행해져 왔으며, 실제 혁신활동이 행해지고 있는 지역을 기준으로 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혁신활동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발명자의 지역분포 현황과 발명자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특정 기술분야의 인력교류가 지역적으로 어떤 관계를 보이는 지를 알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공개특허 H01 분류(기본적 전기소자 기술) 중 내국인이 출원한 특허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발명자 지역 데이터 추출 및 지역 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기술혁신활동의 지역 간 연계구조를 분석하였다.

지휘관들의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AI 군참모 기술동향 (Technical Trends of AI Military Staff to Support Decision-Making of Commanders)

  • 이창은;손진희;박혜숙;이소연;박상준;이용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6권1호
    • /
    • pp.89-98
    • /
    • 2021
  •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ims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ransparent and reasonable defense policies can be implemented in real time by establishing the vision of smart defense innovation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moting innovation in technology-based defense operation systems.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defense technology is at the level of basic research worldwide, includes no domestic tasks, and involves classified military operation data and command control/decision information. Further, it is needed to secure independent technologies specialized for our military. In the army, military power continues to decline due to aging and declining popula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ore than 500,000 units should be managed simultaneously, to recognize the battle situation in real time on the future battlefields. Such a complex battlefield, command decisions will be limited by the experience and expertise of individual commanders. Accordingly, the study of AI core technologies supporting real-time combat command is actively pursued at home and abroa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future defense capabilities by identifying potential threats that commanders are likely to miss, improving the viability of the combat system, ensuring smart commanders always win conflicts and providing reasonable AI digital staff based on data science. This paper describes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AI military staff technology supporting commander decision-making, broken down into five key areas.

신활력사업계획 수립 및 추진과정에 대한 평가와 개선 방안 (A Critical Assesment on the Shin-hwal-ryuk Policy as a New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n Korea)

  • 이종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1-222
    • /
    • 2007
  • 신활력사업은 전국 234개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인구, 재정, 산업 등의 지표를 바탕으로 낙후된 하위 30%에 해당하는 70개 시 군의 혁신역량을 제고하고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취지로 시작된 새로운 낙후지역발전정책이다. 그러나 신활력사업계획의 수립과정은 지역혁신에 기초한 지역발전 논리나 거버넌스 구축 과정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신활력사업은 그 취지 상 지역 스스로 지역의 주도하에 숙의(熟議) 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를 통해 사업을 추진해야만 한다. 그러나 실제 추진 과정에서 진정한 의미의 자율적 지방화의 성격을 띠기보다는, 지역을 믿지 못하고 성과에 집착하는 조급한 중앙정부에 의한 타율적 지방화의 모습이 노정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신활력사업계획 수립 및 추진과정은 능동적으로 지방화를 하기 보다는 수동적으로 지방화를 당하는 측면이 적지 않다고 평가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신활력사업계획의 수립 및 추진과정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PDF

탐험과 활용관점 플랫폼 기술 포트폴리오 전략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나노기술을 중심으로 (Effects of Platform-based Exploratory and Exploitative Technology Strategy on Firm's Performance: Nanotechnology case)

  • 문희성;신준석
    • 기술혁신연구
    • /
    • 제27권1호
    • /
    • pp.45-77
    • /
    • 2019
  • 새로운 가능성의 탐험(Exploration)과 기존 확실성의 활용(Exploitation)간 균형은 조직 학습뿐 아니라 전략, 혁신, 연구개발의 중요한 문제다. 기술의 융복합화 트렌드 속에 기업들은 지속적 경쟁 우위를 위해 기술 지식 자산을 가급적 다양하게 보유하려는 동시에 특정 분야에 깊은 기술 역량을 가지려 한다. 기업들은 기술 포트폴리오 전략 고민하지만, 기술 속성에 대한 고려는 제한적이다. 첨단 기술의 대표인 나노기술은 기존의 제품 및 사업 중심 기술과 달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일반목적기술 또는 플랫폼 기술 속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다국적 기업들이 플랫폼 기술로서 나노기술에 대해 탐험과 활용, 즉 다각화와 특정 기술 우위 관점의 포트폴리오 전략이 혁신 및 재무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패널 데이터 기반으로 다중 회귀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결과는 기존의 제품 기술들과 달리, 플랫폼 기술로서의 나노기술은 다각화와 특정 기술 우위가 증가할수록 혁신 성과와 재무 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노기술의 포트폴리오 형태, 즉 다각화와 전문성 기반의 특정 기술 우위 중에, 다각화된 나노기술 포트폴리오가 특정 기술에 우위를 갖는 경우보다 혁신 성과와 재무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더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기업들이 자원의 제약하에서 일반목적기술의 경우 포트폴리오 전략에 어떻게 추구하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시사한다.

한국 IT융합 신산업 역량강화요인 (Empowering Factor of IT Convergence Industry in Korea)

  • 박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147-154
    • /
    • 2012
  • IT는 한국의 경제성장에 큰 기여를 해왔으며 사회전반의 패러다임 혁신을 통해 생산성, 효율성, 편의성, 소통성을 증진시키고 삶의 양식에 전면적 변화를 가져왔다. 국민경제와 사회문화에서 지대한 의미를 지니는 IT는 다른 기술 또는 산업과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변화와 혁신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IT융합은 IT의 자체 고도화를 바탕으로 다른 분야의 기술개발과 산업발전을 견인하거나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 것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주요국에서는 자원과 역량을 선택적으로 집중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IT 융합 신산업 역량강화요인을 도출하고자 2011년도에 실시한 정책연구의 학계 및 공공기관 전문가 델파이 결과를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한국의 IT 융합역량의 수준 변화를 평가하고 결론적으로 한국의 IT융합 신산업 역량강화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Research on the Content to Develop Instructor's Certification for Software Education

  • Jun, Soo-Jin;Shim, Jae-Kwoun;Kim, Jeong-R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341-347
    • /
    • 2020
  • 본 연구는 기본적인 교수학습 역량과 컴퓨팅 사고력에 기반한 SW교육을 포함한 SW교육 강사 자격 종목을 발굴하고 그 내용체계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사례연구, 델파이 조사, 전문가 회의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SW교육 강사 자격을 3개의 급수로 나누고 자격평가영역을 초중등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교수학습방법'과 '소프트웨어 교육'의 대영역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급수별 하위 영역과 내용요소를 설정하여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SW교육 강사를 양성하고 강사의 질을 유지 및 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할 때 의미있게 사용되어 SW교육의 확산과 보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하이브리드 빗물정원 시스템에서의 비점오염물질 및 강우유출수 이송 특성 (Transpor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and stormwater runoff in a hybrid rain garden system)

  • ;;;;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1-487
    • /
    • 2016
  • 본 연구는 도시 강우유출수 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빗물정원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Pilot scale 모니터링을 통하여 시스템 내의 서로 다른 구성요소간의 효율을 검증하였다. 유입수는 국내 외 도로강우유출수의 농도를 고려한 인공강우유출수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하이브리드 빗물정원은 시설 내 저류 80%, 지하수의 침투 15%로 유입수의 약 95%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T의 저류 및 PB와 IT의 침투 기작이 물순환 효과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산정한 결과, TSS의 경우 평균 87%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은76%, 영양염류는 46%, 중금속은 56%으로 나타났다. 이는 PB와 IT에 포함된 여재의 여과, 침투 및 식생과 토양의 생물학적 흡수 기작 영향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빗물정원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설의 개선 및 설계방안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S&T Collabor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Lessons from Brazilian Collaboration Activities with South Korea

  • Fink, Daniel;Hameed, Tahir;So, Minho;Kwon, Youngsun;Rho, Jae Jeung
    • STI Policy Review
    • /
    • 제3권2호
    • /
    • pp.92-110
    • /
    • 2012
  • An active policy role is suggested for collaboration that will enhance national level Science and Technology (S&T) capabilities. In contrast, some studies see a limited role of policy support for collaborative S&T research at the individual level (including research groups or institutional levels) due to their self-organizing nature. Two views on S&T collaboration look at different levels but existing research largely ignores the context of developing countries. This paper shows how S&T collaborations between Brazil and Korea have developed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paper indicates the gaps between initiation and the actual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research at n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differences in the focus areas of research, differences in resources and project planning, and the nature of collaborations. Collaborative research activities at the national level were initiated before the individual level but activated later than the individual level; in addition, the focus areas of research were laid down earlier at the national level with individual collaborations focused on different areas. Project types remained different at each level (i.e. top-down and bottom-up) or with a slightly changing mix. This study suggests appropriate policy measures (such as the timely and effective information collection of activities at different levels and proactive coordination) that could reduce the gaps in the timing and alignment of research areas. This paper also alludes to an evolutionary model to develop S&T collaboration among developing countries.

구미 중소제조기업 연구개발 속도에 미치는 혁신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Capability for R&D Speed on Small & Medium Manufacturing Enterprises in Gumi)

  • 정구상;조중길;신지욱;김태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249-258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프로세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혁신역량이 연구개발 속도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이러한 영향에 대한 평가는 혁신역량에 관한 요인의 융복합요인을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유형에 따른 발전방향성을 파악할 수 가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혁신역량 및 경영환경에 따라 연구개발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연구의 신뢰성과 유효성 검증을 위해 내부 일관성을 나타내는 크론바흐 알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개발 속도가 R&D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연구이고, 기업의 내부 역량에 관한 자원을 기반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목표로 한 연구로 학술적 가치를 갖는다. 각각의 요인에 대해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기업개발역량 수준 유지를 통해 연구개발, 재무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며 기업의 전략 수립에 미치는 연구개발 역량 개발에 근거가 될 수 있는 실무적 가치가 있는 연구이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 기반의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 실증 분석 (Empirical Analysis of Accelerator Investment Determinants Based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Framework)

  • 정문수;김은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1호
    • /
    • pp.253-270
    • /
    • 2023
  • 스타트업에게 전문보육과 투자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의 생존율을 크게 개선하여 주목을 받고 있는 액셀러레이터의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초기 단계로 투자결정요인 개발 시 이론적 기반을 갖추지 못한 상황으로 유사 투자자인 엔젤투자자나 벤처캐피탈의 투자결정요인을 사용하고 있으며 실증연구를 통해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단계에 머물고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개발된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을 사용하여 투자결정요인의 변별력과 유효성을 국내 최초로 실증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액셀러레이터의 스타트업 투자 성공과 실패의 판단 기준을 스케일업 이론을 기반으로 설정한 후 국내 14개 액셀러레이터의 22명의 투자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액셀러레이터의 스타트업 투자 후 스케일업에 성공한 스타트업 52개사, 스케일업에 실패한 스타트업 45개사 등의 총 97개 스타트업의 유효한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이 두 그룹 간의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별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 21개의 투자결정요인 중 9개(43%) 요인에서 평균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 기반의 액셀러레이터의 투자결정요인이 실무적으로 액셀러레이터가 성공 가능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투자의사결정을 하는데 상당한 변별력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스타트업의 업종별 혁신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 대상 스타트업 표본을 제조업 분야 스타트업과 서비스업 분야 스타트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제조업 분야 스타트업에서는 비즈니스 모델, 전략, 동적역량 요인에서 평균 차이가 발생한 반면 서비스업 분야 스타트업은 동적역량 요인에서만 평균 차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도출한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의 실무적 유효성을 실증연구를 통해 국내 최초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크며, 액셀러레이터에게 투자의사결정을 위한 이론적 근거와 세부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투자를 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가치가 높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