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Tide

검색결과 721건 처리시간 0.029초

2006년~2009년 새만금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환경요인의 변화 (Changes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aemangeum Artificial Lake, South Korea between 2006 and 2009)

  • 최충현;정승원;윤석민;김성현;박종규
    • 환경생물
    • /
    • 제31권3호
    • /
    • pp.213-224
    • /
    • 2013
  • 새만금호는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유입되는 담수를 통해 영양염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아 부영양이 가속화되고 있었다. 또한 담수 유입에 따라 구역별로 환경요인들이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의 차이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양상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었다. 새만금호의 부영양화된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개체수가 증가하고 종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었으며, 와편모조류 등의 일부 종이 대발생을 일으키고 있었다. 특히 2009년에는 기존에 크게 출현하지 않았던 Heterocapsa triquetra, Karlodinium veneficum, Heterocapsa rotundata가 우점하여 새만금호 내부의 부영양화에 따른 수환경변화로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변화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새만금호의 서식환경의 변화는 와편모조류의 적조발생 등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환경 적응력과 연관하여 파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Feeding of Juvenile Purple Washington Clam, Saxidomus purpuratus (Sowerby): Effects of Algal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 Lee, Chang-Hoon;Choi, Yong-Suk;Bang, Jong-Deuk;Jo, Soo-Gun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3-260
    • /
    • 2002
  • To find the optimal rearing conditions for Saxidomus purpuratus juvenile, filtering activity was estimated as functions of algal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by measuring the rates of clearance (CR) and ingestion (IR), when S. purpuratus was feeding. The clams were fed on unialgal diet of Isochrysis galbana at 6 algal concentrations (4.6$\times$$10^4$~2.6$\times$$10^6$ cells/ml) and at 6 temperatures (5, 10, 15, 20, 25, and 30^{\circ}C ). Algal concentr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CR and the IR at all temperatures. At lower algal concentrations, CR increased, but decreased beyond a particular concentration. The maximum CR ($CR_{max}$) at 5, 10, 15, 20, 25, and 30^{\circ}C were 0.30, 1.73, 5.95, 15.17, 21.12, and 0.33 $l/g/h$, respectively. Below the level of 5.6$\times$10$^{5}$ cells/ml, IR increased as algal concentration increased, but was saturated at higher concentrations. To maintain high growth rate of S. purpuratus, I. galbana should be supplied with more than 5.6$\times$10$^{5}$ cells/ml. The maximum IR ($IR_{max}$) at 5, 10, 15, 20, 25 and30^{\circ}C were $2.2$\times$10^8, $1.5\times$10^9, 3.4$\times$10^9, 4.9$\times$10^9, 5.3$\times$10^9, and 1.0$\times$10^8$ cells/g/h, respectively. As for temperature, both $CR_max$ and $IR_max$ increased remarkably with raising temperature from 5 to 25^{\circ}C, but rapidly decreased at 30^{\circ}C. Between 15 and 25^{\circ}C $CR_{max} and IR_{max}$ were higher and most stable, At this temperature range, the $Q_{10}/s for CR_{max} and IR_{max}$ were 3.5 and 1.6, respectively. Therefore the optimal thermal range for the juvenile is 15~$25^{\circ}C$. The annual variation in IR$_{max}$ predicted by natural seawater temperature shows that inactive period (with lower $IR_max$) lasts for 5 months (from December to April). To ensure higher growth of juvenile during this inactive period at hatcheries, rearing temperature should be elevated to $15^{\circ}C$.>.

낙동강 물금구취수장 상수도원수의 염화이온 칼슘 마그네슘 농도의 연간변동에 대하여(1974년-1975년) (SEASONAL VARIATIONS OF CHLORIDE, CALCIUM AND MAGNESIUM ION CONCENTRATIONS IN NAGDONG RIVER WATER AT MUL GEUM INTAKE STATION OF BUSAN CITY WATER FROM MARCH 1974 TO MARCH 1975)

  • 원종훈;양한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3-109
    • /
    • 1978
  • 1. 1974년 3월에서 1975년 3월사이 매월 대조일과 소조일에 낙동강 물금 부산시 상수도 구취수장 원수의 염화이온, 칼슘, 마그네슘의 량을 매시간 측정하였다. 2. 1974년 3월에서 1975년 1월사이의 염화이온 농도는 5.12-39.4 ppm에 평균값이 11.9pm, 총 경도는 27.8-70.8 ppm에 평균값이 49.5ppm였고, 1975년 2월 9일에서 3월 7일까지의 조차가 큰 기간에는 염화이온농도 10.8-876 ppm에 평균값이 89.8 ppm, 총경도는 48.0-407 ppm에 평균값이 89.9 ppm였다. 3. 계절적으로는 동계에 농도가 높고 조차가 큰 2월과 5월초 사이가 가장 높다. 염화이온농도 150 ppm를 넘은 날이 모두 2월에 들어있다. 4. 총경도 역시 염화이온농도와 비슷한 변동을 한다. 수도법의 허용한계인 300ppm를 넘는날이 2월 9일에서 3월 7일 사이에 약 4 일 정도 나타난다. 5. 수위는 하천수량과 조위로써 정해지는 까닭에 수위만으로는 염화이온 농도를 알 수가 어렵지만 염화이온농도와 수위의 시간적 변동관계는 수위가 높을 때 농도가 높으며, 2월 및 3월에서 더욱 그러하다. 6. 조위와 수위와는 약간의 시차를 두고 거의 같은 모양의 변동을 하며 최고조위에서 최고수위까지 대조일에는 약 2시간 30분, 소조일에는 약 3시간의 차가 나타난다. 끝으로 수위와 조위자료를 제공해 주신 부산시수도사업소와 부산수로국에 감사드립니다.

  • PDF

적조생물 살조세균 탐색 II. 적조생물 Prorocentrum micans 살조세균 Pseudomonas sp. LG-2의 분리와 살조특성 (Isolation of Marine Bacteria Killing Red Tide Microalgae II. Isolation and Algicidal Properties of Pseudomonas sp. LG-2 Possessing Killing Activity for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cans)

  • 이원재;박영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52-858
    • /
    • 1998
  • 1996년 7월 마산만의 해수를 0.8 $\mu$m filter에 여과한 여과액과 f/2배지에서 배양한 P. micans와의 혼합배양액에서 P. micans를 사멸시키는 해양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의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검사와 균체지방산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속으로 동정되어 Pseudomonas sp. LG-2로 명명하였으며, 그 살조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Pseudomonas sp. LG-2의 개체수와 배양여과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P. micans의 사멸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1.3\times10^5,\;1.3\times10^6$ cells/ml의 농도로 접종한 시험관의 P. micans는 급격히 감소하여 배양 7일 후에는 $10^2$ cells/ml 이하로 사멸되었다. 또한, 배양석과액의 최종농도가 $30\%$일 경우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배양 3일 후 거의 사멸하였다. Pseudomonas sp. LG-2의 성장시기에 따른 배양여과액의 사멸효과는 잠복기의 경우 P. micans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대수증식기 중기의 배양여과액은 접종 5일 후 P. micans의 개체수를 1/2로 감소시켰으며, 정상기의 배양여과액은 접종 후 급격히 감소시켜 배양 3일 후 대부분 사멸시켰다. Alexandrium tamarense, Prorocentrum micans, Scrippsiella trochoidea, Gymnodinium sanguineum, 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5종의 적조원인 편모조류에 대한 Pseudomonas sp. LG-2의 살조특이성은 P. micans와 S. trochoidea에 살조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드론 관측을 통한 순천만 갯벌과 갈대밭 상부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 분포 연구 (Research for Carbon Dioxide Fluctuation using Drone above the Mud Flat and Reed Beds in the Suncheon Bay)

  • 강동환;조원기;윤연수;유훈선;장선웅;김동립;박정환;송영철;최용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03-713
    • /
    • 2020
  • In this stud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at different elevations were observed and analyzed in the upper atmosphere of mud flat and reed beds at low tide in Suncheon Bay.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sensors were mounted on the drone,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by altitude (5 m, 10 m, 20 m, 40 m) at five points in the tidal flat and reed beds were observed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tidal flat ranged from 453.0 to 460.2 ppm in the morning and 441.6 to 449.7 ppm in the afterno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reed beds ranged from 448.9 to 452.4 ppm in the morning and 446.0 to 454.4 ppm in the afterno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tidal flat was higher in the morning than in the afternoon,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ecreased as the altitude increase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reed beds was similar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at all altitudes,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ecreased as the altitude increas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observed in the tidal flat in the morning was -0.54 ~ -0.77,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observed in the afternoon was 0.56 ~ 0.80.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bserved in the morning in the reed field was low, below 0.3,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observed in the afternoon was 0.35 ~ 0.77.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tidal flats and reed beds, the linear function was suitable for the change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s a air temperature,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estimated linear function was higher in the afternoon than in the morn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tidal flat and the reed beds was different, and the increase rate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upper atmosphere of the tidal flat and the reed beds was higher in the afternoon than in the morning.

Topex/Poseidon 고도계 자료를 이용한 북동 아시아 해역의 조석 산정 (Computation of Tides in the Northeast Asian Sea by Blending the Topex/Poseidon Altimeter Data)

  • 김창식;;;이종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1호
    • /
    • pp.1-12
    • /
    • 2001
  • Topex/Poseidon(T/P)고도계 자료를 조석 수치 모델에 혼합하여 북동 아시아 해역의 $M_2,\;S_2,\; K_1$, 및 $O_1$ 분조를 $5'{\times}5'$ 분해능으로 계산하여, 북동 아시아의 조석을 산정하였다. Blending 방법에 사용되는 가중 인자 값에 대한 모델반응을 검토하기 위해 $M_2$ 분조만을 고려한 수치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수치 실험을 통해 T/P 자료를 정확히 재현하되 혼합함으로써 발생하는 잡음을 줄이기 위해 가중 인자 값은 수심의 평방근에 반비례하도록 설정하였다. T/P자료에서 구한 $M_2,\;S_2,\; K_1$, 및 $O_1$ 분조를 동시에 혼합한 수치 모델 결과는 연구 해역 내의 모든 T/P궤도 자료와 비교되었다. 진폭 오차와 지각 오차의 평균은 거의 0으로 나타났다. 진폭 오차의 표준 편차는 2 cm 내외였으며, 지각오차의 표준 편차는 $10^{\circ}$보다 작았다. T/P자료를 혼합한 모델 결과는 특히 얕은 수심(h<250m)의 T/P 궤도 자료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P 자료만으로부터 계산된 진폭과 지각은 깊은 수심 해역에 대해서는 불합리한 공간 변화를 보이는 반면, 이들 자료를 동화시킨 모델 결과는 T/P 자료와는 차이를 보이나 합리적인 진폭과 지각의 공간 분포를 보였다. 한편 T/P자료를 혼합한 모델 결과는 자료 동화에 사용하지 않은 연안 관측 자료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 PDF

서해 아산만 당진화력발전소 인근해역 수온 변동 특성 (Variability of Seawater Temperature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Dangjin Power Plant, Asan Bay, Korea)

  • 노영재;전호경;최양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2호
    • /
    • pp.43-50
    • /
    • 2002
  • 당진화력발전소 인근해역에서 관측한 수온자료(1998년 4월${\sim}$1999년\;12월)를 이용하여 수온의 단주기 및 계절적인 변동 양상과 수평 수온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해역에서의 공간평균 수온은 2월(3.3$^{\circ}C$ 최저, 8월(23.6$^{\circ}C$)에 최고로 연교차 $20.3^{\circ}C$을 보였다. 연구해역 내의 공간 수온분포는 계절에 따라 역전이 되는데, 4월에서 10월까지는 외해측에서 만내측으로 증가하고 나머지 기간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수온의 단주기 변동성은 강한 조류의 영향에 따라 일주기 및 반일주기의 성분이 탁월하며, 월별 수온과 조석의 M2 분조의 위상 비교에 의하면 겨울철에는 창조시에, 여름철에는 낙조시에 수온이 상승하며, 변동폭은 반일주기성분의 경우 최대 $0.8^{\circ}C$, 반일주기와 일주기의 합은 약 $1.3^{\circ}C$으로써 본 연구해역에서의 하루 수온 변동폭의 $70{\sim}80$%를 차지하고 있다. 수온의 비조석 주기성분(ms 약 0.25)과 바람과의 Coherency 분석에 의하면 여름철에는 북풍계열, 겨울철에는 남풍계열의 바람과 2.8일 및 2.4일의 주기에서 유의한 Coherency값을 보이며, 각각 0.6일과 0.7일의 위상차를 가치고 있다.

가무락 Cyclina sinensis의 인공수정 및 발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CYCLINA SINENSIS)

  • 최신석;송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76-80
    • /
    • 1973
  • 1970년 6월부터 1971년 9월까지 사이에 Cyclina sinensis의 $NH_{4}OH$ 해수용액 규정농도별 수정율, 초기 발생 과정 및 유생의 변태과정을 조사하였다. 1. C. sinensis의 $NH_{4}OH$ 해수용액에 의한 규정농도별 수정율은 1/1000N $NH_{4}OH$ 해수용액 속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고, 이렇게 처형된 수정란의 발생과정도 정상적임을 확인하였다. 2. C. sinensis의 초기 발생과정에서는 수정후 1시간 30분이 지나면 2구기, 4시간이 지나면 포배기, 6시간이 지나면 Trocophore기에 달함을 볼 수 있었다. 3. C.sinensis의 유생을 사육한 결과, 수정후 1일이 지나면 원패각의 평균 각장이 $110\mu$인 후기 D형기에, 7일이 지나면 평균 각장이 $235\mu$인 각정기에, 20일이 지나면 평균 각장이 $260\mu$인 변태기에 달함을 볼 수 있었다. 4. C. sinensis의 유생을 실험실내 수조 속에서 사육하여 각장 $270\mu$인 치패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무인도서 선갑도의 에머지 환경수용력 평가 (Emergy Carrying Capacity of Sungap-do, An Uninhabited Island in Korea)

  • 강대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0-67
    • /
    • 2010
  • 무인도서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용 개발계획을 수립할 때 무인도서 생태계의 높은 가치를 충분히 고려하고, 이용 개발 행위가 이루어지기 전에 환경수용력을 먼저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에머지 개념과 방법론을 이용하여 무인도서인 인천광역시 옹진군 소재 선갑도의 생태계 가치와 환경수용력을 평가하였다. 선갑도의 에머지 평가경계는 육지부뿐만 아니라 '무인도서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무인도서 관리범위를 따라 만조수위선으로부터 1 km이내의 해역까지 포함하였다. 선갑도 생태계로 유입하는 재생가능 에머지량은 $1.04{\times}10^{20}$ sej/yr로, 해면부의 조석 에머지가 가장 중요하였다. 선갑도의 가치는 연간 299억 Em₩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갑도 육지부와 해면부의 에머지 기여도를 모두 포함하여 환경수용력을 계산한 결과, 우리나라 평균 수준개발 시나리오의 경우 6,586명, 장기적 지속가능성 시나리오의 경우 2,337명이었다. 그러나 선갑도 육지부가 공급하는 에머지만 고려할 경우 환경수용력은 우리나라 평균수준 개발을 가정할 경우 14명,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할 경우 5명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선갑도를 포함한 무인도서의 생태계 가치를 유지하고 무인도서 이용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용 개발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환경수용력을 고려하도록 제도화 할 필요가 있다.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the newly described mixotrophic dinoflagellate Yihiella yeosuensis (Suessiaceae) in Korean coastal waters and its grazing impact on prey populations

  • Jang, Se Hyeon;Jeong, Hae Jin
    • ALGAE
    • /
    • 제35권1호
    • /
    • pp.45-59
    • /
    • 2020
  • To investigat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the mixotrophic dinoflagellate Yihiella yeosuensis in Korean coastal waters and its grazing impact on prey populations, water samples were seasonally collected from 28 stations in the East, West, and South Seas of Korea and Jeju Island from April 2015 to October 2018. The abundances of Y. yeosuensis in the water samples were quantifi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Simultaneously,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water from all sampled stations were determined, and the abundances of the optimal prey species of Y. yeosuensis, the prasinophyte Pyramimonas sp. and the cryptophyte Teleaulax amphioxeia, were quantified using qPCR. Y. yeosuensis has a wide distribution, as is reflected by the detection of Y. yeosuensis cells at 23 sampling stations; however, this distribution has a strong seasonality, which is indicated by its detection at 22 stations in summer but only one station in winter. The abundance of Y. yeosuensis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ose of Pyramimonas sp. and T. amphioxeia, as well as with water temperature. The highest abundance of Y. yeosuensis was 48.5 cells mL-1 in Buan in July 2017, when the abundances of Pyramimonas sp. and T. amphioxeia were 917.6 and 210.4 cells mL-1, respectively. The growth rate of Y. yeosuensis on Pyramimonas sp., calculated by interpolating the growth rates at the same abundance, was 0.49 d-1, which is 37% of the maximum growth rate of Y. yeosuensis on Pyramimonas sp. obtained in the laboratory. Therefore, the field abundance of Pyramimonas sp.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can support a moderate positive growth of Y. yeosuensis. The maximum grazing coefficient for Y. yeosuensis on the co-occurring Pyramimonas sp. was 0.42 d-1, indicating that 35% of the Pyramimonas sp. population were consumed in 1 d. Therefor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Y. yeosuensis in Korean coastal waters may be affected by those of the optimal prey species and water temperature. Moreover, Y. yeosuensis may potentially have considerable grazing impacts on populations of Pyramimonas 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