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Tide

검색결과 718건 처리시간 0.025초

적조기상정보 : 기상인자를 활용한 연안 적조예측기술 개발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Red Tide : Technical Development of Red Tide Prediction in the Korean Coastal Areas by Meteorological Factors)

  • 윤홍주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08
    • /
    • 2006
  • 본 연구는 연안기상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사전에 적조를 예찰하고 실용화하여 적조로부터의 재해를 저감하는데 있다. 이러한 적조예찰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적조발생에 관여하는 기상 및 해양인자들의 환경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성으로부터 적조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공공의 활용에 쉽게 이용될 수 있게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이 분야에 관련되는 학계, 공공기관, 업계의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그리고 매년 연례행사처럼 국가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적조피해를 줄이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 PDF

적조기상정보 : 기상인자를 활용한 연안 적조예측기술 개발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Red Tide : Technical Development of Red Tide Prediction in the Korean Coastal Areas by eteorological Factors)

  • 윤홍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44-853
    • /
    • 2005
  • 본 연구는 연안기상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사전에 적조를 예찰하고 실용화하여 적조로부터의 재해를 저감하는데 있다. 이러한 적조예찰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적조발생에 관여하는 기상 및 해양인자들의 환경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성으로부터 적조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공공의 활용에 쉽게 이용될 수 있게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이 분야에 관련되는 학계, 공공기관, 업계의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그리고 매년 연례행사처럼 국가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적조피해를 줄이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신경망과 SVM을 이용한 적조 발생 예측 (Red Tide Prediction using Neural Network and SVM)

  • 박선;김경준;이진석;이성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5호
    • /
    • pp.39-45
    • /
    • 2011
  • 적조에 의한 양식어업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서 적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적조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화학적 특성이나 생물학적 원인 규명에 초점이 맞춰 연구되고 있다. 적조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면 적조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적조 현상 예측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적조발생 판별에 그치는 등 미흡한 실정에 있다. 본 논문은 신경망과 SVM을 이용한 새로운 적조발생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서·남해안 조석-해일 비선형성 발생양상 (Appearance of Tide-surge Interaction along the West/South Coasts)

  • 강주환;김양선;윤영관;심재설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352-358
    • /
    • 2014
  • 국내 서해안과 남해안의 조위자료로부터 조석-해일 비선형효과에 대한 발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부산을 제외한 모든 해역에서 비선형성이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목포 및 완도를 중심으로 한 서남해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대규모 해일이 드물기 때문에 창조집중에 대한 사례는 흔치 않은 반면 저조시 조위편차가 커지는 조석변조해일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낙조우세가 심한 목포해역의 경우 새로운 형태의 조석-해일 비선형성에 의해 낙조시 해일고가 크게 나타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조위편차 산정과정에서 비선형성과 관련된 오류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편기해일고 산정방법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Feasibility of Red Tide Detection around Korean Waters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 Suh, Young-sang;Lee, Na-kyung;Lee, hyun-Jang;Kim, Hak-gyoon;Kim, Bok-kee;Hwang, Jae-dong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29-131
    • /
    • 2003
  • Korea has experienced a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10 out of the last 10 years (1993-2002). This species of red tide has been experienced at least once by all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and has been transported up the southeastern coast all the way to the northeastern coast since 1995. The impression is that red tide is spending and becoming more common not only in the nearest coastal water, but also in the offshore. (omitted)

  • PDF

조류가 강한 서해 하구에서 수동어구를 이용한 하구역 유영생물의 효율적 채집 (Effective sampling of estuarine fauna by a passive net in theWest Sea of Korea occurring strong tide)

  • 황선도;임양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7권4호
    • /
    • pp.338-343
    • /
    • 2011
  • To obtain the effective sampling estuarine fauna by a passive net in the West Sea of Korea occurring strong tide, catch were collected by bag nets with various sampling trials off Ganghwa Island in November 2009.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community structures (on spring tide vs. neap tide, total sample vs. subsample and 4 nets vs. 1 net) with each species composition as a sampling unit by the Pearson chi-square test. Number of individual at the spring tide was more abundant than that at the neap tide (p<0.0001) although number of species at the spring tid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at at the neap tide (p=0.174). Both number of species (p=0.138) and number of individual (p=0.096)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otal sample and random subsample. Number of speci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ubsample by 1 net and the subsample by 4 nets (p=0.515), but number of individual was a little different on both samples (p=0.024). In conclusion, we suggest the subsample by 1 net at spring tide as the effective sampling estuarine fauna by a passive net in the West Sea occurring strong tide.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적조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d Tide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허민;임재홍;김병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3-269
    • /
    • 2007
  • 적조는 1994년 이전에는 남해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했으나, 1995년 이후로는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발생지역 또한 남해와 동해 전역으로 넓게 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적조의 연구 분야도 다양한 변화를 격고 있으며, 적조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원격지 센싱, GIS, 퍼지 모델 시스템 등의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적조와 해양 생물학적 인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실현시키기 위한 핵심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지역의 센서들로부터 기상관측과 환경 탐색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사용된다. 본 논문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적조 데이터 베이스를 효율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적조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와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조위차 극복형 잠제의 파랑제어 (Wave Control by Tide-Adapting Submerged Breakwater)

  • 이우동;정연명;허동수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73-580
    • /
    • 2019
  • A submerged breakwater is a coastal structure built under water with excellent landscape. The depth of the crest of the breakwater should be maintained at more than a certain level in order for the submerged breakwater to control waves properly. This means that the effect of blocking waves deceases sharply at high tide in coastal areas with large tidal differenc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Tide-Adapting Submerged Breakwater (TA-SB) to overcome this problem, and then we conducted hydraulic model experiment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TA-SB for controlling wav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tapered wings attached to the crest of the TA-SB helped induce forced breaking waves. In particular, they were very effective in blocking waves and attenuating wave energy at high tide. In addition, the wave contro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A-SB was far superior to the Tide-Adapting Low-Crested Structure (TA-LCS) of the previous study.

Effect of the Freshwater Discharge on Seawater and Sediment Environment in a Coastal Area in Goheung County, South Korea

  • Nguyen, Hoang Lam;Jang, Min-Seok;Cho, Hyeon-Seo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0-276
    • /
    • 2014
  • Seas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sediment qualities and potential effects of the freshwater discharge from a small tide embankment interior in a coastal area in Goheung county were investigated from May to September in 2012. Chemical oxygen demand values (COD) were mostly higher than 2 mg/L in summer ebb tide, which exceed the standard value of water quality criteria II of acceptable level for aquaculture activities.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found as the limiting nutrients for algae growth in summer and fall and in spring, respectively. Nitrogen was the limiting nutrient for diatom growth in the whole studied period. The sudden high values of COD, ammonia,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were found in water sample collected from station 5 which located in front of the tide embankment sluice gate during spring ebb tide. The freshwater discharge form the tide embankment interior maybe affected the survey areas during a short time interval. Mean values of eutrophication index of the surveyed coastal region in spring, summer and fall were all bigger than 1. Water quality was mostly considered at level II which acceptable for aquaculture activities. Sediment quality in this study was generally in the range of standard for fisheries environment.

천리안 위성 GOCI 영상을 이용한 남해안의 시공간적 적조변화 분석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Red Tide Change in the South Sea of Korea Using the GOCI Images of COMS)

  • 김동규;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9-13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세계 최초 정지궤도 해색위성인 GOCI 영상을 이용하여 최근 가장 심각한 적조피해가 발생한 남해안 해역을 대상으로 적조지역을 탐지하였다. 적조출현부터 소멸될 때까지의 구름이 없는 맑은 날의 GOCI 영상을 선정하여 적조지역을 탐지하였고, 시간적 변화에 따른 적조발생해역의 공간적 분석으로 적조 우심해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남해안 해역에서 통영시 한산 욕지해역 일대가 적조 우심해역으로 나타났으며, 적조 우심해역에서 연안 해역인 통영시 산양읍 해역 일대로 적조 확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시간적 경과에 따른 적조발생면적과 경상남도의 방제활동 및 적조피해 발생액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상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조활동은 다양한 인자에 의하여 이루어지기에 본 연구결과로 단정키는 어려우며 보다 많은 자료분석을 통하여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