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Archive of Korea

검색결과 818건 처리시간 0.027초

제초제(除草劑)의 사용법(使用법法) 개발(開發)을 위한 연구(硏究) - 제7보(弟7報) 맥후작(麥後作) 대두(大豆)(Glycine max L.)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한 수종제초제(數種除草劑)의 체계처리(體系處理)에 관한 연구(硏究) (Improvement of Herbicide Use in Crop Production VII. Weeding Effects in Systemic Use of Some Herbicides on Soybean(Glycine max L.) Cropped after Barley)

  • 구자옥;이관섭;김동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4-203
    • /
    • 1984
  • 남부지방(南部地方) 맥후작대두단포장(麥後作大豆團場)의 잡초(雜草)를 방제(防除)하기 위하여 발생전토양처리제(發生前處理土壤處理劑)인 Alachlor와 metribuzin, 발생후경엽처리제(發生後莖葉處理劑)인 Acifluorfen과 Bentazon의 4약제(藥劑)를 4조합(組合)의 체계처리(體系處理)로 공시(供試)하여 적용가능성(適用可能性)을 검토(檢討)하였다. 시험(試驗)은 피와 바랭이가 우점(優占)하는 조건하(條件下)에서 수행(遂行)되었으며, 약제처리(藥劑處理)에 따른 작물약해(作物藥害)는 Metribuzin과 Acifluorfen에서 경미(輕微)한 정도(程度) 나타났으며 입묘(立苗) 및 생장(生長)에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各) 조합(組合)의 약제처리(藥劑處理)가 0.5~0.75kg/ha인 곳에서는 파종후(播種後) 60일(日)에 어느 체계(體系)에서도 만족스런 방제효과(防除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제초효과면(除草效果面)(60 DAS) 에서의 체계처리(體系處理)된 약제간(藥劑間)의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은 Metribuzin보다 Alachlor 체계(體系)에서 뚜렷하였으며, 대체로 각(各) 약제(藥劑) 0.25~0.5kg/ha 범위(範圍)에서 협력적(協力的)인 효과(效果)를 나타내는 경향9傾向)이었다. 그러나 대두성숙기(大豆成熟期)의 작물생장량(作物生長量)과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로는 각(各) 약제(藥劑)의 0.75kg/ha 수준(水準)에서 처리효과(處理效果)가 향상(向上)되고 있었으며 Bentazon 보다는 Acifluorfen의 발생후경엽처리(發生後莖葉處理)에서 유의적(有意的)인 경향(傾向)이 있다. 이는 파종후(播種後) 60일(日) 이후(以後)의 토양잔유성제초효과(土壤殘留性除草效果) 및 이에 따른 잡초경합해(雜草競合害)의 차이(差異)에 따른 결과(結果)로 해석(解析)이 되었다.

  • PDF

Alachlor 처리후(處理後) 귀리 근단(根端)에 존재(存在)하는 동위과산화효소(同位過酸化酵素) 정제(精製) 및 효소(酵素)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Purification and P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Isoperoxidase from Oat Root Treated with Alachlor)

  • 권성환;한광수;김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6-61
    • /
    • 1994
  • 귀리의 근단(根端) 조직(組織)에 alachlor $1{\times}10^{-4}$ M 처리후(處理後) 음(陽)이온의 과산화(過酸化) 효소(酵素)를 유출(抽出)하여 에탄올과 이온 교환 수지인 DEAE-celluose 및 CM-sephadex를 이용하여 정제(精製)한 결과(結果), 약 30배의 정제율(精製率)을 얻었으며, 3개의 음(陽)이온을 띤 동위(同位) 효소(酵素)가 존재(存在)하였다. 귀리 근단(根端)에 존재(存在)하는 주(主)된 과산화(過酸化) 효소(酵素)(B fraction)는 최종(最終) 정제후(精製後) 전체(全體) 동위과산화(同位過酸化) 효소중(酵素中) 65%를 차지하였으며, 37배로 정제(精製)되었다. SDS-PAGE를 이용하여 B부분을 전개(展開)한 결과(結果), 단일(單一) band를 얻었으며, 이 때 분자량(分子量)은 약 42,500으로 추산(推算)되었다. 기내에서 동위(同位) 과산화(過酸化)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은 IAA에 의하여 감소(減少)되었다. 50unit 동위(同位) 과산화(過酸化) 효소(酵素)를 귀리에 처리시(처리處理時)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하여 근단(根端)의 세포분제(細胞分製)은 70.2%, 초엽의 세포신장(細胞伸長)은 54.2% 억제(抑制)되는 현상을 보였다.

  • PDF

Bensulfuron-methyl처리(處理) 후 올방개 생육억제기간(生育抑制期間) 중의 생리적(生理的) 변화(變化) (Physiological Changes of Eleocharis Kuroguwai During Period of Growth Inhibition Caused by Bensulfuron-methyl)

  • 전재철;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1-175
    • /
    • 1994
  •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 후 올방개 생육(生育) 억제(抑制)로 부터 재생(再生)에 이르는 기간(期間) 중의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 괴경(塊莖) 탄수화물(炭水化物) 함량(含量)의 소장(消長), 각(各) 기관별(器官別) 호흡(呼吸), 광합성율(光合成率) 등을 조사(調査)하였다.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이후 생장(生長) 억제(柳制) 기간(期間)에는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의 증가(增加)가 전혀 없다가, 39g/ha 처리(處理)에서는 처리(處理) 후 25-30일부터, 51g/ha 처리(處理)에서는 30-35일부터 증가(增加)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시기가 재생(再生)의 시점(時點)이었다. 괴경(塊莖) 탄수화물(炭水化物)은 무처리(無處理)에서는 처리(處理) 직후 부터 급속히 감소되어 40일 후에는 거의 소진(消盡)되었던 반면에, bensulfuron-methyl이 처리(處理)된 경우에는 재생(再生) 직전까지 거의 변화(變化)가 없다가 재생(再生)과 함께 급격히 소모(消耗)되었다. 또한 괴경(塊莖)의 생존력(生存力)은 무처리(無處理)에서는 30일, 39g 및 5lg/ha 처리시(處理時)에는 각각 처리(處理) 후 60일 및 70일까지 지속(持續)되었다.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 후 생육(生育) 억제(柳制)된 올방개는 이 기간(期間)중에도 최소한(最小限)의 호흡(乎吸)과 광합성(光合成)을 행하였으며, 재생(再生)과 함께 호흡(呼吸)과 광합성율(光合成率)이 크게 증가되기 시작하였다.

  • PDF

Primisulfuron, Imazethapyr와 Piperonyl Butoxide의 혼합처리(混合處理)가 옥수수의 생장(生長) 및 ALS산소(酸素)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rimisulfuron and Imazethapyr Treated with Piperonyl Butoxide on Growth and Acetolactate Synthase Activity in Several Corn Cultivars)

  • 박인철;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3-340
    • /
    • 1998
  • Primisulfuron 또는 Imazethapyr와 Cytochrome P-450 저해제인 PBO의 혼합처리가 옥수수의 생장 및 ALS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ioneer 3751 IR은 Primisulfuron과 Imazethapyr에 Imazethapyr에 높은 내성을 보인 반면, Pioneer 3751과 찰옥 2호는 감수성을 보였다. 2. Pioneer 3751 IR은 Primisulfuron과 PBO혼합처리에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어 PBO혼합처리에 따른 영향은 적었으나 Pioneer 3751,수원 118호와 찰옥 2호는 PBO혼합처리에 따라 생장 저해가 PBO무처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3. Pioneer 3751 IR의 생장은 Imazethapyr와 PBO 혼합처리에 따른 영향은 적었으며 Pioneer 3751과 수원 118호, 찰옥 2호는 생장저해가 심하였으나 PBO혼합처리 에 따른 약해 상승작용은 크지 않았다. 4. ALS효소 활성은 Prirnisulfuron은 $0.01{\mu}M$에서부터, 그리고 Imazethapyr는 $1{\mu}M$에서부터 Pioneer 3751 IR 품종을 제외한 3품종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Primisulfuron과 PBO혼합처리에 의하여 Pioneer 3751 IR과 Pioneer 3751에서는 활성저해가 더 크게 나타났고 수원 118호와 찰옥 2호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Imazethapyr와 PBO의 혼합처리에서는 4품종에서 모두 약간 억제되었다.

  • PDF

토양중 fenoxaprop-P-ethyl의 흡착성 및 이동성 (Adsorption and Movement of Fenoxaprop-P-ethyl in Soils)

  • 한수곤;안병구;문영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2
    • /
    • 1998
  • 미사질식토와 사양토 중 fenoxaprop-P-ethyl의 흡착성과 이동성에 대하여 연구 검토하였다. 두 토양 중 fenoxaprop-P-ethyl은 진탕 30분 후에 약 15%가 흡착되었으며 8~14시간 후에는 의사평형에 도달하였고 50%가 흡착되는 시간은 미사질식토에서 15.8시간, 사양토에서 19.3시간이었다. 본 제초제의 흡착은 Freundlich식에 따랐으며 흡착분배계수(Kd)값은 미사질식토에서 3.86, 사양토에서 2.32이었다. 두 토양의 컬럼에서 fenoxaprop-P-ethyl은 처리 7일 후에는 6cm, 21일 후에는 8cm까지 이동되었으나, 이동성은 누수량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되었다. 포장조건의 두토양 중 fenoxaprop-P-ethyl은 처리 14일 후에는 6cm층위까지, 56일 후에는 8cm 층위까지 이동되었다. 그러나 어느 경우이든 처리된 fenoxaprop-P-ethyl의 대부분은 0-2cm 층위에 존재하였다. Fenoxaprop-P-ethyl의 반감기는 1주 이내이었으며 처리 4주 후에는 처리량의 약 90%정도까지 분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토양 중 fenoxaprop-P-ethyl은 비교적 이동성이 작고 분해가 빠른 편인 바 주변환경에 대한 위해성이 낮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제초제(除草劑)의 사용법(使用법法) 개발(開發)을 위한 연구(硏究) - 제9보(弟9報) 맥후작(麥後作) 대두(大豆)(Glycine max L.) 잡초(雜草) 방제(防除)를 위한 Acifluorfen 과 Haloxyfop - methyl 의 혼용가능성(混用可能性) 연구(硏究) (Improvement of Herbicide Use in Crop Production IX. Tank-mix Use of Acifluorfen and Haloxyfop-methyl for Weeding on Soybeans (Glycine max L.) Cropped after Barley)

  • 구자옥;이관섭;김동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4-210
    • /
    • 1984
  • 남부(南部) 맥후작지대(麥後作地帶)의 대두포장(大豆圃場)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하여 경엽처리용제초제(莖葉處理用除草劑) Halozyfop-methyl과 Acifluorfen의 혼합가능성(混合可能性)을 검토(檢討)하였다. 시험지(試驗紙)는 작물시험장(作物試驗場) 본포지장(本浦支場), 공시작물(供試作物)은 대두(大豆) "단엽(短葉)"이었으며, 재식(裁植)은 $60cm{\times}15cm$로 3립(粒) 점파(點播)하였다. 약제(藥劑)는 파종후(播種後) 18일(日)에 처리(處理)하였으며, 약량(藥量)은 Haloxyfop-methyl의 경우 0, 0.05, 0.1, 0.15, 0.2kg ae/ha, Acifluorfen의 경우 0, 0.082, 0.163, 0.245, 0.326kg ai/ha의 25조합(組合)으로 하였고, 구당면적(區當面積)은 $6.84m^2$로서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配置)하였다.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포장(圃場)의 잡초발생조건(雜草發生條件)은 비교적(比較的) 혼생군(混生群)을 형성(形成)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Haloxyfop-methyl 보다는 Acifluorfen에 의한 처리직후(處理直後)의 일반적(一般的) 작물약해(作物藥害)가 인정(認定)되었다. 3. 각 약제(藥劑)가 단위처리(單位處理)될 경우에는 잡초(雜草)의 천이(遷移)에 의한 단위군(單位群)의 집중발생현상(集中發生現想)이 초래(招來)되었다. 4. 두 약제조합(藥劑組合)으로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에는 결항적방제가(結抗的防除價)를, 광엽잡율(廣葉雜率)에는 상가적방제가(相加的防除價)를 보이는 경향(傾向)이었다. 5. 대두(大豆)의 종실생산(種實生産)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육후기(生育後期)까지의 제초효과(除草效果)를 유지(維持)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Acifluorfen을 0.245kg ai/ha, Haloxyfop-methyl을 0.15kg ae/ha 이상으로 혼용(混用)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 PDF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서 해독제(解毒劑) Fenclorim이 벼에 대한 제초제(除草劑)의 약해경감(藥害輕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enelorim on Reducing Herbicide Injury of Rice Plaints in Vinyl-covered Subirrigated Seedbed)

  • 이현룡;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37-243
    • /
    • 1988
  • 벼의 보온절쇠(保溫折衰)못자리에서 약해(藥害)가 발생(發生)되기 쉬운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약해경감(藥害輕減) 가능성을 검토하기 의하여 해독제(解毒劑) fenclorim을 공시(供試)하여 benthiocarb, butachlor 및 pretilachlor에 대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를 보온절쇠(保溫折衰)못자리 조건(條件)에서 조사(調査)하였다. 1. Benthiocarb 210, 315g ai/10a, pretilachlor 60, 90g ai/10a와 fenclorim 10g ai/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그리고 butachlor 180, 270 g ai/10a와 fenclorim 20g ai/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서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입묘율(立苗率)이 증가되었다. 2. Benthiocarb 210g ai/10a에 fenclorim 10 g ai/10a 이상을 혼합처리(混合處理)함에 따라, 그리고 benthiocarb 315g ai/10a, butachlor 180, 270 g ai/10a 혹은 pretilachlor 60, 90g ai/10a에 fenclorim 30g ai/10a 를 혼합처리(混合處理)함에 따라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분벽수(分蘗數가 증가되었다. 3. Benthiocarb 210g ai/10a, butachlor 180, 270g ai/10a에 fenclorim 20g ai/10a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그리고 benthiocarb 315g ai/10a, pretilachlor 60, 90g ai/10a와 fenclorim 30g ai/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서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초장(草長)이 증가 되었다. 4. Benthiocarb 210, 315g ai/10a, butachlor 180, 270g ai/10a와 fenclorim 10g ai/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서, 그리고 pretilachlor 60, 90 g ai/10와 fenclorim 30g ai/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서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건물중(乾物重)이 증가되었다. 5. 본(本) 실험(實驗)의 결과(結果), benthiocarb, butachlor 및 pretilachlor에 대한 해독제(解毒劑) fenclorim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가 안정됨에 따라 fenclorim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는 보온절쇠(保溫折衰)못자리에서 실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Trichoderma 종 미생물비료 시비에 따른 Creeping bentgrass 생육 및 품질 향상 (Growth and Quality Improvement of Creeping Bentgrass by Two Fertilizers Containing Trichoderma Species)

  • 이종진;김영선;함선규;이창은;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49-255
    • /
    • 2015
  • Trichoderma spp.는 골프장에서 잔디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미생물이다. 본 연구는 두 종류의 Trichoderma spp. 미생물비료의 잔디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비료의 종류에 따라 무처리구(non-fertilizer; NF), 대조구(control fertilizer; CF), Trichoderma harzianum처리구(TH) 및 T. atroviride처리구(TA)로 설정하여 처리한 후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 잔디뿌리길이, 잔디밀도, 잔디 예지물 및 잔디 중 양분함량 등을 측정하여 잔디생육과 품질을 평가하였다. TH와 TA에서 엽록소지수와 잔디뿌리길이가 CF보다 증가하였고, TA는 CF보다 잔디밀도와 질소함량 및 질소 흡수량이 증가하였다. 잔디 생육인자 별 상관관계에서 잔디 중 질소함량은 잔디밀도와 잔디뿌리길이 및 질소 흡수량에서 정의상관성을 보였으며, 잔디밀도는 엽록소지수와 정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할 때, Trichoderma harzianum 및 T. troviride의 미생물비료 처리는 잔디의 질소흡수를 촉진하여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 증가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오용이 사과나무의 품종별 생육반응 및 수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ple Tree Growth and Apple Yield from the Misuse of Non Selective Herbicide, Glufosinate-ammonium)

  • 이인용;박용석;김성민;강철아;전병철;박재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4-459
    • /
    • 2010
  • 비선택성 제초제인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액제를 농작업자의 오판에 의한 오용으로 사과나무에 직접 살포된 경우 품종별, 수령별로 나타나는 약해반응과 수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과나무 품종에 따라 약해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약제살포 당해연도에는 산사 > 쓰가루 > 홍로 > 후지 순으로, 약제살포 다음해에는 후지 > 쓰가루 > 홍로 > 산사 순으로 피해가 나타났으나, 그 피해정도는 당년에 비해 경미하였다. 이듬해, 후지에서는 꽃과 착과정도에서만 30%정도 감소하였으나 쓰가루, 홍로, 산사에서는 개화상태, 착과율 등에서 전혀 피해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약해를 받은 당년에 조생종 쓰가루와 중만생종후지 대상으로 각각 수확기 10일전에 사과 중 잔류량을 검사한 결과, 잔류량은 검출한계(0.04ppm) 미만이었다. 그리고 오용 2년 후(2009년)에는 후지, 쓰가루, 홍로, 산사 모두에서 약해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벼 수확전 청보리 파종 재배시 친환경적 뚝새풀 관리 (Eco-Friendly Control of Water Foxtail (Alopecurus aequalis) on Cultivation Fields of Forage Barley Sowed before Rice Harvest)

  •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장준형;오영진;장윤우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3-18
    • /
    • 2014
  • 본 연구는 벼 수확 전에 사료맥류를 파종 재배할 경우 뚝새풀의 친환경적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해수를 뚝새풀 발생전, 1엽 그리고 2엽기에 30, 50, 100% 농도로 처리한 결과, 뚝새풀은 1엽기에 100% 처리에서 50% 정도 억제되었다. 또한 무기염류 처리에 의한 보리생육과 뚝새풀의 방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보리의 출현율은 sodium chloride 처리에서는 영향이 없으나, ferrous sulfate의 처리에서는 35~50% 정도 낮았으며, 뚝새풀은 sodium chloride 처리에서 36~44%, ferrous sulfate의 처리에서 47.5~78.8% 정도 억제되었다. 작물 파종량 증가에 의한 뚝새풀의 발생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 보리의 파종량이 많을수록 입모수가 많고, 뚝새풀의 발생량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조사료 수량은 $300kg\;ha^{-1}$ 파종에서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벼 수확전 입모중 사료맥류 재배시 뚝새풀의 친환경적인 방제는 50% 정도의 수준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