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Archive of Korea

검색결과 818건 처리시간 0.026초

수수 줄기에 함유(含有)된 타감물질(他感物質)의 용매(溶媒)와 pH에 따른 특성구명(特性究明) (Partial Characterization of Allelopathic Substances in Sorghum Stem by Different Organic Solvents and pH)

  • 김상열;에스 케이 디다타;알 피이 로블레스;김길웅;이상철;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2-48
    • /
    • 1994
  • 수수 줄기에 함유된 타감물질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서 극성, 비극성 용매로 분획한 결과 사용한 용매에 따라 억제 효과가 달리 나타났는데 ethyl ehter 분획에서 억제작용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또 methylene chloride와 ethyl acetate 분획에서도 8mg/ml과 16mg/ml 농도에서 상당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나 hexane과 남은 수용층 분획에서는 거의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Ethyl ether 분획을 pH에 따라 알칼리성, 중성 및 산성으로 다시 분획한 결과 산성 분획에서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수수 줄기와 함유하고 있는 타감물질은 비극성이며 산성 특성을 가진 물질이라 추측된다.

  • PDF

광독립영양세포(光獨立營養細胞)를 이용(利用)한 새로운 제초제(除草劑) 선발법(選拔法) 확립(確立) II. 담배의 녹화(綠化) 배양(培養) 세포의 Paraquat 및 Diuron 에 대한 반응(反應) (Establishment of a New Herbicides Screening Method Using Photoautotrophic Cultured Cell II. The Responses of Chlorophyllous Cells to Paraquat and Diuron in Tabacco)

  • 서수경;김길웅;권순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1
    • /
    • 1991
  • 녹화된 cal1us의 제초제 paraquat와 diuron에 대한 반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S 기본(基本) 배지(培地)에 sucrose 농도(濃度) 1.0%, NAA $10^{-5}$ M, BA $10^{-6}$ M을 첨가(添加)하여 paraquat를 처리(處理) 하였을때 농도(濃度)가 $10^{-6}$ M에 서 $10^{-4}$ M으로 증가(增加) 할수록 calli의 증식(增殖)이 억제(抑制)되고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이 감소(減少)되었다. $10^{-4}$ M에서는 완전(完全) 고사(枯死)하였으며 $CO_2$가 공급(供給)되는 조건(條件)에서 억제(抑制) 정도가 높았다. 제초제(除草劑) diuron 처리(處理) 시(時)에도 $10^{-6}$ M에서 $10^{-3}$M으로 농도(濃度)가 증가(增加) 할수록 callus 증식(增殖)이 억제(抑制)되었으며 sucrose농도(濃度) 2.0% 때 보다 1.0%에서 훨씬 높은 억제(抑制)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IAA의 종자침지처리(種子浸漬處理)가 CNP와 Butachlor에 의한 수도약해(水稻藥害)의 경감(輕減)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AA Seed Pretreatment on Reduction of CNP and Butachlor Injury to Rice)

  • 변종영;권용웅;이은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1-145
    • /
    • 1982
  • IAA의 종자침지처리(種子浸漬處理)에 의하여 수도(水稻)에 대한 CNP와 Butachlor의 약해(藥害)를 경감(輕減)시킬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담수직파(湛水直播)와 건답직파조건(乾畓直播條件)에서 기초실험(基礎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1. 담수직파조건(湛水直播條件)에서 IAA 0.1, 1.0, 10.0ppm 에 수도종자(水稻種子)를 침지처리(浸漬處理)하므로써 CNP와 Butachlor에 의한 수도피해(水稻被害)의 경감효과(輕減効果)가 나타남에 따라 수도(水稻)의 초장(草長) 및 건물중(乾物重)은 IAA 무처리(無處理)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增加)되었다. 2. 건답직파조건(乾畓直播條件)에서는 IAA 0.1, 1.0ppm에 수도종자(水稻種子)를 침지처리(浸漬處理)하므로써 수도(水稻)에 대한 CNP와 Butachlor의 피해(被害)는 크게 경감(輕減)되었다. 3.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Butachlor를 처리(處理)하거나 건답직파조건(乾畓直播條件)에서 CNP를 처리(處理)한 경우에 IAA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効果)는 더욱 현저한 경향(傾向)이었다.

  • PDF

생장억제제 Prohexadione-calcium의 처리에 따른 클로버의 생육억제 효과 (Effect of Growth Restraint of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as Affected by Prohexadione-calcium Application)

  • 최의주;최봉수;우선희;이철원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9-143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잔디로 조성된 잔디밭에서 예초 직후에 prohexadione-calcium을 엽면 처리하여 잔디와 경합하는 클로버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구명하기위하여 수행되었다. 클로버의 엽병장과 엽면적은 prohexadione-calcium의 처리로 7주에도 무처리에 비하여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클로버의 생엽중도 무처리에 비하여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색도는 무처리에 비하여 prohexadione-calcium 처리구가 높아졌고,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엽색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잔디밭에서 클로버를 방임할 때보다 prohexadione-calcium의 처리는 클로버의 피복율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었다.

Molinate 혼합입제(混合粒劑)의 제형별(劑型別) 살초효과(殺草效果) 및 벼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Molinate Granular Formulations on Weed Control Efficacy and Growth of Rice Plants)

  • 변종영;김만호;옥환석;박승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16-320
    • /
    • 1987
  • Molinate 혼합립제(混合粒劑)의 제형(劑型)에 따른 용출속도(溶出速度), 살초효과(殺草效果) 및 벼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하고자 습식형(濕式型), zeolite 흡착형(吸着型) 및 모래피복형(被覆型) 입제(粒劑)를 공시(供試)하여 제형(劑型)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내 및 폿트실험을 수행하였다. 1. Molinate와 simetryn의 용출속도(溶出速度)는 습식형(濕式型) 및 zeolite 흡착형(吸着型) 입제(粒劑)에 비하여 모래피복형(被覆型) 입제(粒劑)에서 현저히 빨랐다. 2. 살초효과는 molinate 단제(單劑)에서는 다소 불량하였으나 molinate/simetryn 합제(合劑) 및 molinate/simetryn/MCPB 합제(合劑)에서는 다소 낮은 수준에서도 높았으며 모래피복형(被覆型)과 습식법(濕式法)으로 제조된 입제(粒劑)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3. 벼의 생장(生長)은 zeolite 흡착형(吸着型)이나 습식법(濕式法)으로 제조된 입제(粒劑) 보다 모래피복형(被覆型)에서 다소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 PDF

재배조건(栽培條件)의 차이(差異)가 수도(水稻)어린묘(苗)의 제초제(除草劑) 약해발생(藥害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 I. 유망제초제(有望除草劑) 선발(選拔) (Herbicidal Phytotoxicity of Early Rice Seedlings as Affected by Cultural Practices - I. Screening of Promising Herbicides)

  • 한성욱;구자옥;천상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5-260
    • /
    • 1990
  • 8일간(日間) 육묘(育苗)된 수도(水稻) 어린(苗)를 이앙(移秧)한 다음 17종(種)의 수도용(水稻用) 제초제(除草劑)를 추천량의 2배(倍) 수준(水準)으로 처리(處理)하고 약해정도(藥害程度)를 비교(比較)하였다. 약해평가(藥害評價)는 달관조사(達觀調査), 이앙후(移秧後) 20 및 40일(日)의 초장(草長), 40일(日)의 주당분얼수(株當分蘖數)와 건물중(乾物重) 변이(變異)를 비교(比較)하는 방법(方法)으로 수행(遂行)하였으며,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처리후(處理後) 30일(日)까지의 약해(藥害)를 달관평가(達觀評價)하면 diphenyl-ether계(系)의 oxyfluorfen과 oxadiazol계(系)의 oxadiazone은 전반적(全般的)으로 접촉부위(接觸部位)의 갈변고사현상이 나타나서 유의적(有意的)인 약해(藥害가 수발(受發)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quinoline계(系)의 quinclorac, carbamate계(系)의 mefenacet와 pretilachlor, 그리고 미지(未知)의 개발중(開發中)인 약제(藥劑) KC-7079와 함께 해독제(解毒劑)가 혼합(混合)된 pretilachlor+fenclorim, mefenacet+bensulfurron-methyl+dymuron 등(等)의 해제(解除)는 어린묘(苗)에 비교적(比較的) 안전성(安全性)이 높은 것으로 평가(評價)되었다.

  • PDF

Glyphosate와 2,4-D의 주사처리(注射處理)가 아카시아 나무의 방제(防除)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Glyphosate and 2,4-D Injection on Selective Control of Robinia pseudo-acacia)

  • 권오원;변종영;이재창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0-133
    • /
    • 1986
  • 아카시아 나무의 방제를 위하여 제초제의 처리약량을 줄이며 다른 수목(樹木)에는 피해를 주지 않는 선택적 방제법을 강구하고자 glyphosate와 2, 4-D를 아카시아 나무에 주사처리(注射處理)하여 경엽처리방법과 비교하여 그 방제효과(防除效果)를 검토하였다. 1. Glyphosate 1000~2000 ppm 단용(單用) 또는 2, 4-D 400ppm을 가용(加用)하여 경엽처리하였을 때 모든 처리농도에서 100% 방제되었으나 약제비산으로 인하여 아카시아나무 이외의 나무에도 피해가 발생하였다. 2. Glyphosate 3050ppm 3 ml, 6 ml 주사구(注射區)에서는 100% 방제되었고 2,4-D 1000ppm 3 ml 주사구(注射區)에서는 95%, 6ml 주사구(注射區)에서 100 % 방제되었다. 3. Glyphosate 1525ppm에 2,4-D 500ppm을 가용(加用)하여 주사(注射)했을 때는 아카시아 나무는 100% 방제되었다. 따라서 glyphosate와 2,4-D를 가용(加用)하여 주사처리(注射處理)하면 glyphosate 경엽처리에 비하여 1/64 정도의 약량, glyphosate 단독처리에 비해서는 1/16 정도의 약량으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4. 이상의 결과(結果)로 glyphosate를 주사처리(注射處理)하므로서 불필요한 아카시아 나무를 선택적으로 방제할 수 있었고 특히 glyphosate에 2,4-D를 가용(加用)하므로써 glyphosate의 약량을 더욱 감소시 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주사처리(朱射處理)에 의한 방제를 위해서는 수목(樹木)의 주간직경(注幹直徑)과 수령(樹齡)에 기초하여 약량(樂量) 및 주사량(注射量)을 결정한마면 소량의 약량(藥量)으로도 효과적(效果的)으로 수목(樹木)을 방제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Evaluation of Herbicidal Potential of Essential Oils and their Components under In vitro and Greenhouse Experiments

  • Choi, Hae-Jin;Sowndhararajan, Kandhasamy;Cho, Nam-Gyu;Hwang, Ki-Hwan;Koo, Suk-Jin;Kim, Songmun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4호
    • /
    • pp.321-329
    • /
    • 2015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hytotoxic potential of essential oils. For this purpose, 18 essential oil samples extracted from Korean plants and 64 commercial essential oils were screened for their phytotoxic potential against the seedling growth of Brassica napus L. (rapeseed). Among the 82 samples, 11 commercial oils (cinnamon, citronella, clove, cumin seed, geranium, jasmine, lemongrass, palmarosa, pimento, rose otto and spearmint) strongly inhibited the seedling growth with $GR_{50}$ value < $150{\mu}g\;mL^{-1}$. Major components from these effective essential oils were identified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ME/GC-MS). GC-MS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ive samples mainly consist of benzyl benzoate, carvone, citral, citronellol, eugenol, geraniol, D-limonene and terpinene. Subsequently, bioactivity of these individual components was evaluated against the seedling growth of B. napus, Echinochloa crus-galli and Aeschynomene indica. The components from different chemical groups exhibited different potency in inhibiting the seedling growth with varied $GR_{50}$ values ranged from $29{\mu}g\;mL^{-1}$ to > $1000{\mu}g\;mL^{-1}$. In the greenhouse experiment, citral and geraniol completely suppressed the growth of all the tested 10 plants at $100kg\;ha^{-1}$. In conclusion, the individual essential oil components geraniol and citral could be used as natural herbicides for weed management.

식물세포 배양 및 융합을 통한 유용물질 개발(I) (Development of Useful Secondary Product Through Plant Cell Culture(I))

  • 김길웅;박용구;곽성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4-159
    • /
    • 1995
  • 야생식물인 마디풀과 버드나무의 수용 추출액에는 상치 및 벼종자의 발아를 강하게 억제하는 물질이 존재하여 이들 품질을 GLC로 검정했다. 마디폴에 페놀물질로는 salicylic + vanillic, tannic - gallic, sinapic, p-coumaric, p-cresol 및 catech이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이들은 강한 활성을 나타냈다. 배양세포에도 유사한 페놀류가 동정되어 2차 대사물질이 세포배양에도 생성됨이 검정되었다. 지방산 가운데는 linolenic산(3.7 mg/g)과 유기산 가운데는 oxalic산(14.288 mg/g)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도 생리활성을 지닌 물질로 간주된다. 그 밖에 마디풀에는 석유 에테르 추출물도 1.65% 검정되어 생리활성을 발휘하리라 사료되어 계속 연구중이나 알카로이드 함량은 아주 낮았다. 마디풀과 버드나무로부터 MS기본배지에 2,4-D(1.0 mg/l)과 BAP(0.1-0.2 mg/l)조합 처리하면 캘루스의 유기가 잘 되었으며 대량생산을 위한 세포현탁배양에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된다고 사료된다.

  • PDF

Perfluidone과 Bifenox의 혼합효과(混合效果) 제1보(第1報 제초제(除草劑) Perfluidone과 Bifenox의 상호작용(相互作用) (Effect of Perfluidone - Bifenox Mixture I. Interaction of Perfluidone and Bifenox Mixture)

  • 양환승;장익선;마상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7-193
    • /
    • 1985
  • 일년생잡초(一年生雜草) 피와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너도방동산이 및 올미에 대한 perfluidone과 bifenox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한 상호작용(相互作用)을 colby법(法) 또는 등효과선법(等效果線法)(Isobole)에 의(依)하여 평가(評價)하였다. 1. 피(1.0~1.5엽(葉))에 대(對)한 두 제초제(除草劑)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은 상승효과(相乘效果)를 나타내었으며 상호작용지수(相互作用指數) 1의 최대(最大) 치(値)는 perfluidone과 bifenox의 조합비(組合費) 10:24.9ga.i./10a 일 때로 나타났다. 2. 너도방동산이(1.0~1.5 엽(葉))에 대해서도 두 제초제(除草劑)의 혼합처리시(混合處理時)에 상승효과(相乘效果)를 나타냈으며, perfluidone과 bifenox의 혼합비(混合比)가 10:33.3 ga.i./10a 일 때 상호작용지수(相互作用指數) I의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냈다. 3. 올미(0.5~1.0 엽(葉))에 대해서는 각(各) 단제처리시(單劑處理詩)의 효과(效果)가 매우 우수하였던 관계로 혼합처리시(混合處理時)의 그 상호작용(相互作用)은 검정(檢定)키 어려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