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sh model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25초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Nash 모형과 Diskin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 (Parameter Estimation for Nash Model and Diskin Model by Optimization Techniques)

  • 최민하;안재현;김중훈;윤용남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73-8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선형모형인 Nash 모형(1957)과 비 선형모형인 Diskin 모형(1964)의 매개변수를 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여 구하고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최적화 기법 중에서 최근 들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과 비선형 계획법(Non-linear Programming)을 사용하여 Nash 모형과 Diskin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이를 소양강댐 유역의 호우사상에 적용하여 보았다. Nash 모형과 Diskin 모형에서 각각 유전자 알고리즘과 비 선형 계획법으로 구한 매개변수는 다소의 차이를 나타내며, 유전자 알고리즘과 비선형 계획법을 이용하여 Diskin 모형의 매개변수를 구하여 모의된 유출 수문곡선이 유전자 알고리즘과 비선형 계획법을 이용하여 Nash 모형의 매개변수를 구하여 모의된 유출수문곡선에 비해 실제 유출수문곡선에 더 근접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첨두치를 더 정확히 모의하였다.

  • PDF

도매전력시장에서 N-발전사업자의 보수행렬을 이용한 꾸르노 모델의 내쉬균형점 도출을 위한 방법론 (Approach for Evaluating the Nash Equilibrium of Cournot Game Model for N-Gencos by Using Payoff Matrix in Wholesale Electricity Market)

  • 박종배;임정열;이기송;신중린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4권2호
    • /
    • pp.97-106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evaluating the nash equilibrium of the Cournot model for N-Gencos in wholesale electricity market. In wholesale electricity market, the strategies of N-Gencos can be applied to the game model under the conditions, which the Gencos determine their strategies to maximize their benefit. Generally, the Lemke algorithm has known as the approach to evaluate the mixed nash equilibrium in the only two-player game model.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the necessary condition for obtaining the mixed nash equilibrium of N-player by using the Lemke algorithm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mixed nash equilibrium of two more players by using the analytic method since those have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 we have formulated the object function satisfied with the proposed necessary conditions for N-player nash equilibrium and applied the modifie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 method to obtain the equilibrium for N-player. To present the effectiveness the proposed necessary condition and the evaluation approach, this paper has shown the results of equilibrium of sample system and the cournot game model for 3-players.

유역의 수문학적 상사성을 이용한 Nash 모형의 불확실성 평가 (Assessment of Uncertainty for Applying Nash's Model Using the Hydrologic Similarity of Basins)

  • 성기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99-411
    • /
    • 2003
  • Nash의 관측평균순간단위도의 신뢰구간을 결정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두 매개변수를 Box-Cox 변환과 유역의 상사성관계식을 이용하여 이변수정규분포의 확률변수화하고 이들의 선형 상관관계를 이용한 통계적 추정과정과 더불어 parametric bootstrap 방법을 이용한 단위도의 신뢰구간 산정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방법은 미계측유역에 대한 단위도 추정에도 이용이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다. 위천유역에 대하여 제안된 방법을 적용한 결과 제시된 방법론은 단위도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그리고 미계측 유역에 대한 매개변수 추정에 있어서 적절한 대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Nash 모형의 구조를 이용한 관측유역의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 결정 (Decision of Storage Coefficient and Concentration Time of Observed Basin Using Nash Model's Structure)

  • 유철상;신정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559-56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단위도 이론인 Nash 순간단위도의 구조를 이용하여 유역의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을 추정하는 경험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Nash 모형을 이론적으로 해석하여 구한 집중시간 및 저류상수에 기초하고 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반복적인 계산을 통해 유역을 대표하는 선형저수지의 개수 및 저류상수의 수렴된 값을 찾아내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는 HEC-HMS 등에서 채택하고 있는 최적화기법 적용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안된 방법론은 평창강 유역의 방림지점에 적용하였으며, 또한 물리적으로 타당한 값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형학적 분산을 고려한 특성유속이 순간단위도 형상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haracteristic Velocities Considering Geomorphological Dispersion on Shape of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 최용준;김주철;황만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4호
    • /
    • pp.399-40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형학적 분산을 고려한 특성유속에 따른 Nash 모형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특성유속의 변동에 따른 순간단위도의 형상의 변화를 수치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유역은 보청천 유역 중 본류에 위치하고 있는 4개의 소유역을 선정하였다. 각 대상유역에 대해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하여 지표면과 하천의 배수경로길이에 대한 평균과 분산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배수경로길이와 특성유속에 의한 Nash 모형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매개변수에 의해 순간단위도를 유도하여 형상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Nash 모형 매개변수는 지표면 특성유속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순간단위도의 감수부의 형상과 첨두유량은 지표면 특성유속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으며, 순간단위도의 상승부의 형상과 첨두시간은 하천 특성유속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Nash 모형과 Diskin 모형을 이용한 순간단위도의 유도 및 비교 연구 (Derivation and Comparison of Nash and Diskin Models for IUH)

  • 박진욱;유철상;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123-13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선형인 Nash 모형(1957)과 비선형인 Diskin 모형(1964)을 이용하여 소양강댐 유역에 대해 대표단위를 유도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 유역의 14개 호우사상을 이용하였고, 각각에 대해 유출수문곡선의 종거를 가중치로 하는 매개변수의 최적화 방법을 이용 Nash 모형과 Diskin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유역의 대표단위도는 이러한 방법으로 추정된 단위도들의 평균적인 형태가 되도록 결정하였다. 각 단위도의 비교에서는 선형인 Nash 모형에 비해 비선형인 Diskin 모형의 경우가 유출을 모의하는데 더욱 적합함을 발견할 수 있었고, 특히 첨두유량의 재현에 Diskin 모형이 우수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Diskin 모형의 경우에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두 저수지의 수를 서로 같게 하는 경우와 다르게 하는 경우 유도된 단위도의 형태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수문지형특성 및 시간응답특성의 상사성을 이용한 Nash 모형 해석 (Analysis of the Nash Model Using the Similarities of Hydrogeomorphologic and Time Response Characteristics)

  • 성기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97-106
    • /
    • 1997
  • Nash 모형의 매개변수를 유역의 수문지형특성과 시간응답의 상사성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미계측 유역에 대한 추정방법으로 적용하여 보았다. 유역의 수문지형특성의 상사성은 유역의 지형학적 동질성에 대한 검증방법인 자기상사성을 통해 파악하였으며 시간응답의 상사성은 Nash 모형의 매개변수들과 지체시간 및 도달시간과의 관계를 수립하여 이용하였다. 위천유역의 경우 이러한 상사성에 대한 주목할만한 특징이 발견되었는데 이를 미계측 유역에 대한 매개변수 측정에 이용한 결과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하천유출예측을 위한 강우-유출 모델 (Rainfall-Runoff Model for River Runoff Prediction)

  • 지홍기;남선우;이순택
    • 물과 미래
    • /
    • 제19권4호
    • /
    • pp.347-354
    • /
    • 1986
  • 강우와 유역특성으로부터 홍수유출을 예측하기 위해서 Nash 모델의 매개변수 N, K가 결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순간단위도의 매개변수 N,K가 적율법에 의해서 유도되어야 한다. 강우특성으로부터 유도되는 Nash 모델의 매개변수는 낙동강에 위치한 위천유역에 적용하였다. 선형이론에 의한 순간단위도의 유도에 있어서 강우특성으로서 저장상수 K는 매우 높은 상관계수 0.97을 가진 K=1.327 $·$·$·$·$·$을 채택하였다. 이와 같은 강우특성으로서 Gamma 함수 N는 매우 높은 상관계수인 0.97로서 N=0.032$·$·$·$·$·$으로 나타났다. 검정결과 Nash 모델의 순간단위도와 이로 인한 홍수유출은 강우특성으로부터 예측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