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phthalene acid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7초

시판 미역 및 쌀엿의 이취성분(異臭成分) 규명 (Identification of Off-Flavor in Sea Mustard and Rice Syrup Sold in the Markets)

  • 김현위;이윤경;심건섭;장윤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28-732
    • /
    • 1998
  • 시판되고 있는 가공식품 중 이취(異臭) 미역 및 이취(異臭) 쌀엿의 냄새성분을 규명하고, 이의 발생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취 미역에서는 naphthalene,2-methylnaphthalene, 1-methylnaphthalene, 2,6-dimethylnaphthalene, 1,5-dimethylnaphthalene, 1,8-dimethylnaphthalene, 2,7-dimethylnaphthalene, 1,4,6-trimethylnaphthalene, 2,3,6-trimethylnaphthalene 등 나프탈렌계화합물들이 검출되었으며, 이취 쌀엿에서는 butanoic acid, hexanoic acid, heptanoic acid, octanoic acid, nonanoic acid, decanoic acid, dodecanoic acid,tetradecanoic acid 등 유리지방산 및 2-furanmethanol, 2-furancarboxaldehyde 이 검출되었다. 미역의 이취 생성원인은 채취선박의 페인트 오염으로부터, 쌀엿은 변패된 쌀을 당화의 원료로 사용한데 기인한 것으로 본다.

  • PDF

산성토양에서 내산성 종속영양세균과 나프탈렌분해세균의 분포 및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Acidotolerant Heterotrophic and Naphthalene­Degrading Bacteria in Acidic Soils)

  • 문용석;주광일;김종설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13-319
    • /
    • 2004
  • 울산석유화학공단과 인접한 지역(선암)및 농촌지역(대암)의 산림토양에서 내산성 종속영양세균 및 나프탈렌분해세균의 분포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 pH의 평균은 선암과 대암에서 각각 3.8과 4.6으로 측정되었다. 종속영양세균과 나프탈렌분해세균을 최확수치(MPN)법으로 계수하였으며, 선암의 경우 pH 7.0과 pH 4.0에서 생장하는 종속영양세균 수의 중앙간은 각각 $5.3{\times}10^7\;3.3{\times}10^7$ MPN/dried Soil g이었고, 나프탈렌분해세균 수의 중앙간은 pH 7.0과 4.0에서 각각 $5.6{\times}10^4$$4.0{\times}10^5$ MPN/dried soil g이었다. 대암에서 측정한 종속영양세균수의 중앙간은 두 pH 모두 선암에서보다 많았으나 나프탈렌분해세균의 농도는 선암이 대암보다 높았다. MPN시험관과 농화배양으로부터 17개의 나프탈렌분해세균을 분리하였으며, 이들은 Sphingomonas paucimobilis, Brevundimonas vesicularis, Burkholderia cepacia, Ralstonia pickettii, Pseudomonas fluorescens, Chryseomonas luteola 등으로 동정되었다. 분리한 17개 균주 중 6개는, 최소배지에서의 나프탈렌분해 활성이 PH 7.0에 비해 PH 4.0에서 더 높았으나 영양배지에 접종하였을 때의 생장정도는 pH 4.0이 pH 7.0보다 더 크지 않았다. 배지의 pH가 분리한 세균의 세포막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나프탈렌분해 활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Interaction of ${\alpha}$-Ketoglutarate Dehydrogenase Complex with Allosteric Regulators Detected by a Fluorescence Probe, 1,1'-bi(4-aniline)naphthalene-5,5'-disulfonic acid, an Inhibitor of Catalytic Activity

  • Hong, Sung-Youl;Bak, Choong-Il;Ryu, Jae-Ha;Song, Byoung-J.;Huh, Jae-Wook
    • BMB Reports
    • /
    • 제29권3호
    • /
    • pp.230-235
    • /
    • 1996
  • The interaction of ${\alpha}-ketoglutarate$ dehydrogenase complex (${\alpha}-KGDC$) with a hydrophobic fluorescent probe [1,1'-bi(4-aniline)naphthalene-5,5'-disulfonic acid] (bis-ANS) was studied. The punfied ${\alpha}-KGDC$ was potently inhibited by bis-ANS with an apparent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of 9.8 ${\mu}m$ at pH 8.0. The catalytic activities of both the E1o and E2o subunits were predominantly inhibited while that of the E3 component was hardly affected. The binding of bis-ANS to the enzyme caused a marked enhancement and blue shift from 523 nm to 482 nm in the fluorescence emission spectrum. The dissociation constant ($K_d$) and the number of binding sites (n) were calculated to be 0.87 mM and 158, respectively. Allosteric regulators such as purine nucleotides and divalent cations further increased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bis-ANS-{\alpha}-KGDC$ binary complex. These data suggest that the binding of these allosteric regulators to ${\alpha}-KGDC$ may cause the conformational changes in the enzyme and that bis-ANS could be used as a valuable probe to study the interaction of the multi-enzyme complex and its allosteric regulators.

  • PDF

시멘트페이스트 수화 반응에 미치는 고유동화제의 영향성에 관한 연구 (Effect of Various Superplasticizers on the Hydration of Cement Paste)

  • 신진용;김재영;홍지숙;서정권;이영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019-1024
    • /
    • 2005
  • 4종의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리그노 술폰산, 나프탈렌 술폰산 축합물, 멜라민 술폰산 축합물, 폴리카복실레이트계)가 시멘트 수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성을 평가하고자, 각각의 고유동화제들이 적용된 시멘트페이스트 경화 시편을 활용해 X-선 회절분석(XRD), 주사전자현미경(SEM), 그리고 열분석(DSC)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유동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plain과 비교해 고유동화제를 첨가한 시편의 경우, 고유동화제의 종류 및 사용량에 관계없이 3일까지 수화 반응은 지연되었으나, 이후 재령에서는 고유동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plain과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특히 고유동화제 사용량이 높아질 경우 수화 지연성은 커졌고, 리그노 술폰산, 폴리카복실레이트, 멜라민, 나프탈렌 술폰산 축합물 순으로 시멘트페이스트 초기 수화를 지연시켰다. 그러나, 이들 고유동화제를 사용할 경우, 시멘트의 분산성을 개선시켜 수화 생성물이 보다 치밀하고 균일했다.

박제 표본의 보존환경에 따른 유해가스 방출 특성 연구 (Study on Poisonous Gas Emission Characteristic of Taxidermied Specimen for Conservation Environment)

  • 이희정;강대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9-394
    • /
    • 2013
  • 박제 표본이란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어류를 표본화한 것으로 국내 주요 자연사 박물관에서 전시 및 교육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기관에서의 연구는 표본의 생태학적 연구에 집중되어 있어 박제 표본에 대한 보존과학적 연구는 거의 없으며, 박제 표본 제작에 사용되는 독성 화학약품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유해가스 분석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박제의 손상에 따라 발생하는 유해가스에 대해 SPME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외선 열화 실험 결과, 4종, 습도 및 포름알데히드 열화 실험 결과 7종의 주요 화학물질이 검출되었다. SPME 측정 결과, Naphthalene이 방부제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열화 요인에 따라 Acetic acid와 같은 VOCs(휘발성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다. 또한, 열화 및 고습의 환경에 노출될수록 Naphthalene의 농도가 감소하였다.

Fluorescence of Styrene and Acrylic Acid Copolymers Containing Eu$^{3+}$ in Tetrahydrofuran Solution

  • Lee, Jong-Gyu;Kim, Kang-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6권3호
    • /
    • pp.164-168
    • /
    • 1985
  • The fluorescence emission of polystyrene-acrylic acid copolymers containing $Eu^{3+}$ in tetrahydrofuran solution was investigated by spectrofluorimetry. The excimer emission increased linearly with the polymer concentration up to approximately $5{\times}10^{-3}$M. Benzene and toluene collisionally quenched the excimer fluorescence and thier rate constants of quenching were determined. Quenching efficiencies decreased in the order: naphthalene > toluene > benzene. Analyses of Rayleigh scattering and europium emission showed no measurable structural changes observed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luctuation of Solid-Liquid Interface of Faceted Phase and Nonfaceted Phase by Periodic Temperature Variation

  • Oh, Sung-Tag;Kim, Young Do;Song, Young-Jun;Suk, Myung-Jin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644-648
    • /
    • 2016
  • In order to examine how the solid-liquid interface responds to temperature variation depending on the materials characteristics, i.e. faceted phase or nonfaceted phase, the moving solid-liquid interface of transparent organic material, as a model substance for metallic materials (pivalic acid, camphene, salol, and camphor-50wt% naphthalene) was observed in-situ. Plots of the interface movement distance against time were obtained. The solid-liquid interface of the nonfaceted phase is atomically rough; it migrates in continuous mode, giving smooth curves of the distance-time plot. This is the case for pivalic acid and camphene. It was expected that the faceted phases would show different types of curves of the distance-time plot because of the atomically smooth solid-liquid interface. However, salol (faceted phase) shows a curve of the distance-time plot as smooth as that of the nonfaceted phases. This indicates that the solid-liquid interface of salol migrates as continuously as that of the nonfaceted phases. This is in contrast with the case of naphthalene, one of the faceted phases, for which the solid-liquid interface migrates in "stop and go" mode, giving a stepwise curve of the distance-time p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