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nobiosenso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Nanowell Array based Sensor and Its Packaging

  • Lee, JuKyung;Akira, Tsuda;Jeong, Myung Yung;Lee, Hea Yeon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24
    • /
    • 2014
  • This article reviews the recent progress in nanowell array biosensors that use the label-free detection protocol, and are detected in their natural forms. These nanowell array biosensors are fabricated by nanofabrication technologies that sh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also reproducible biosensors. Moreover, electrochemical method was selected as analysis method that has high sensitivity compared with other analysis. Finally, highly sensitive nanobiosensor was achieved by combining nanofabrication technologies and classical electrochemical method. Many examples are mentioned about the sensing performance of nanowell array biosensors will be evaluated in terms of sensitivity and detection limit compared with other micro-sized electrode without nanowell array.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위한 전기화학 바이오센서 (Electrochemical Biosensors for U-Healthcare)

  • 김상규;정봉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37-342
    • /
    • 2008
  • To date, many researchers have developed a variety of biosensors to detect the biomolecular interactions. Recently, electrochemical biosensors have been attracting great interest as one of key technologies in a ubiquitous healthcare (U-healthcare) system since they are highly sensitive and feasible to miniaturize. Here we overview the current electrochemical biosensors based on strip-type, nanowire/nanotub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and nanogap electrode.

나노포어 기반 나노바이어센서 기술 (Introduction to research and current trend about nanopore-based nanobiosensor)

  • 김주형;윤여안;이충만;유경화
    • 진공이야기
    • /
    • 제2권1호
    • /
    • pp.4-9
    • /
    • 2015
  • A nanopore is a very small hole that can be used as single-molecule detector. The detection principle is based on monitoring the ionic current reduced by passage of a molecule through the nanopore as a voltage is applied across the nanopore. Here, we introduce biological nanopores and solid-state nanopores. Then, research and current trend about nanopore-based DNA biosensor and protein analysis are reviewed.

시료용액의 특성에 따른 고정화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전기적 거동 (Electrical Property of Immobilized SWNTs Bundle as Bridge between Electrodes in Nanobiosensor Depending on Solvent Characteristics)

  • 이진영;조재훈;박철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1호
    • /
    • pp.115-120
    • /
    • 2017
  • 현재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나노과학과 기술은 탄소나노튜브(CNTs)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센서 성능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CNTs는 높은 안정성과 바이오 수용체와 같은 생체물질과의 높은 적합성으로 이를 이용한 바이오 전극 기술에 힘입어 의학, 식품 및 환경에서 이슈가 되는 물질들을 검출하기 위한 산업적 응용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CNTs를 이용한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에 있어서 시료가 액체 상태로 검출이 예상되는데 그 시료의 화학적 특성에 따른 금 전극 사이에 고정화된 CNTs의 전자전달현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시료가 극성인 경우와 무극성인 경우 고정화된 CNTs의 전자전달 현상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극성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전자의 이동에 방해를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CNTs의 양끝에 존재하는 극성 작용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서 센서 디바이스 전체를 시료 용액에 침투시켜 전자이동을 관찰한 결과와 달리 안정적으로 저항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민감도가 높은 CNTs 기반 나노바이오센서 개발 시 시료의 효과적인 전처리 공정에서 이러한 용매의 극성을 고려한 최적화 연구가 필요하다.

나노바이오 테크놀로지 (Nanobiotechnology)

  • 박현규;정봉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10-15
    • /
    • 2006
  • 나노바이오 테크놀로지는 최근 10년 동안 그 관심이 고조되어 왔다. 특히 의약, 약물전달 및 약리학 부분에서 분석 및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가 되었다. 나노바이오 테크놀로지는 전형적인 융합연구로서 생물학, 화학, 물리학, 공학 및 의학 연구자들의 협력을 그 기본으로 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나노바이오 생체분석, 나노 바이오칩/센서와 나노바이오소재를 내포하고 있는 최근 연구와 나노바이오 테크놀로지의 개발에 대한 설명 및 제시를 하고 있다.

Direct Electrical Probing of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on Surface by Aligned-Carbon Nanotube Field Effect Transistor

  • Lee, Nam Hee;Ko, Minsu;Choi, Insung S.;Yun, Wan S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4호
    • /
    • pp.1035-1038
    • /
    • 2013
  •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RCA) of DNA on an aligned-carbon nanotube (a-CNT) surface was electrically interfaced by the a-CNT based filed effect transistor (FET). Since the electric conductance of the a-CNT will be dependent upon its local electric environment, the electric conductance of the FET is expected to give a very distinctive signature of the surface reaction along with this isothermal DNA amplification of the RCA. The a-CNT was initially grown on the quartz wafer with the patterned catalyst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transferred onto a flexible substrate after the formation of electrodes. After immobilization of a primer DNA, the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was induced on chip with the a-CNT based FET device. The electric conductance showed a quite rapid increase at the early stage of the surface reaction and then the rate of increase was attenuated to reach a saturated stage of conductance change. It took about an hour to get the conductance saturation from the start of the conductance change. Atomic force microscopy was used as a complementary tool to support the successful amplification of DNA on the device surface. We hope that our results contribute to the efforts in the realization of a reliable nanodevice-based measurement of biologically or clinically important molecules.

해양 생물 유래 독소의 나노 기술 기반 신속 진단법 개발 동향 (Trends in Rapid Detection Methods for Marine Organism-derived Toxins)

  • 박찬영;권소연;문선희;김민우;하상도;박종필;박태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1-303
    • /
    • 2020
  • 해양 생물 유래 독소는 그 치명적인 유독성으로 인해 비단 인류의 건강 뿐만 아니라 양식, 어업, 해양 생태계 전반에 걸쳐 경제적 손실을 비롯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종래에 사용되던 해양 독소 검출법만으로는 이를 다 파악하여 위협을 미연에 방지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산물의 해양 독소 잔존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종래에 사용되었던 시험법들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각종 나노 재료 및 신규 기술들이 도입된 신속 검출법들에 대해 조사했으며, 대표적인 연구 결과들을 선정하여 사용한 나노 입자 및 전략에 대해 서술하였다. 특히 이러한 생물 유래 독소의 검출 기술을 대중화시키고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이를 생성하는 생물군으로부터 독소를 추출하는 전처리 과정을 간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연구에서 표적 독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고정화한 자성 나노 입자 기반의 전처리법을 보고했으며, 더 나아가 자성 나노 입자의 촉매 특성까지 활용해 검출 감도를 높이는 다양한 연구들도 발표되었다. 또한, 기존 효소 기반의 비색법의 검출 한계를 낮추고 검출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양자점과 같은 형광 나노 입자를 도입하는 보고들도 있었다. 이 외에도 압타머와 나노 입자 복합체 기반의 전기화학 측정법 및 신규 기술들을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들도 보고되었다. 하지만 해양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생성된 신종 독소에 대한 대처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므로, 해양 독소 유도체 또한 아울러 진단 가능한 검출 기술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