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ed Entity Link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6초

Classifying Articles in Chinese Wikipedia with Fine-Grained Named Entity Types

  • Zhou, Jie;Li, Bicheng;Tang, Yongwang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8권3호
    • /
    • pp.137-148
    • /
    • 2014
  • Named entity classification of Wikipedia articles is a fundamental research area that can be used to automatically build large-scale corpora of named entity recognition or to support other entity processing, such as entity linking, as auxiliary tasks.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of classifying named entities in Chinese Wikipedia with fine-grained types. We considered multi-faceted information in Chinese Wikipedia to construct four feature sets, designed different feature selection methods for each feature, and fused different features with a vector space using different strategi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explored feature sets and their combination can effective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named entity classification.

위키피디아 기반의 효과적인 개체 링킹을 위한 NIL 개체 인식과 개체 연결 중의성 해소 방법 (A Method to Solve the Entity Linking Ambiguity and NIL Entity Recognition for efficient Entity Linking based on Wikipedia)

  • 이호경;안재현;윤정민;배경만;고영중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8호
    • /
    • pp.813-821
    • /
    • 2017
  • 개체 링킹은 입력된 질의에 존재하는 개체를 표현한 개체 표현(entity mention)을 지식베이스에 존재하는 개체와 연결하여 의미를 파악하는 연구이다. 개체 링킹에 관한 연구는 지식 베이스 구축 문제, 다중 표현 문제, 개체 연결 중의성 문제, NIL 개체 인식 문제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 베이스 구축 문제와 다중 표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키피디아를 기반으로 개체 이름 사전을 구축한다, 또한, 문맥 유사도, 의미적 관련성, 단서 단어 점수, 개체 표현의 개체명 타입 유사도, 개체 이름 매칭 점수, 개체인기도 점수 자질들을 기반으로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학습하여, NIL 개체를 인식하는 문제와 개체 연결 중의성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축한 지식 베이스를 기반으로 제안한 두 방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였을 때 좋은 개체 링킹 성능을 얻었다. 개체 링킹 시스템의 성능은 NIL 개체 인식 성능이 83.66%, 중의성 해소 성능이 90.81%의 F1 점수를 보였다.

OryzaGP 2021 update: a rice gene and protein dataset for named-entity recognition

  • Larmande, Pierre;Liu, Yusha;Yao, Xinzhi;Xia, Jingbo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9권3호
    • /
    • pp.27.1-27.4
    • /
    • 2021
  • Due to the rapid evolution of high-throughput technologies, a tremendous amount of data is being produced in the biological domain, which poses a challenging task for information extraction and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Biological named entity recognition (NER) and named entity normalisation (NEN) are two common tasks aiming at identifying and linking biologically important entities such as genes or gene products mentioned in the literature to biological databases. In this paper, we present an updated version of OryzaGP, a gene and protein dataset for rice species created to he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tools in processing NER and NEN tasks. To create the dataset, we selected more than 15,000 abstracts associated with articles previously curated for rice genes. We developed four dictionaries of gene and protein names associated with database identifiers. We used these dictionaries to annotate the dataset. We also annotated the dataset using pretrained NLP models. Finally, we analysed the annotation results and discussed how to improve OryzaGP.

유저 모델과 실시간 뉴스 스트림을 사용한 트윗 개체 링킹 (Entity Linking For Tweets Using User Model and Real-time News Stream)

  • 정소윤;박영민;강상우;서정연
    • 인지과학
    • /
    • 제26권4호
    • /
    • pp.435-452
    • /
    • 2015
  • 최근 개체 링킹에 대한 연구들은 지식 베이스를 외부 자원으로 사용하여 실세계의 지식과 의미적인 관련도를 통해 중의성을 해소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지식 베이스를 사용한 개체 링킹은 신문기사나 블로그 포스트 등에서는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마이크로블로그에서는 짧은 텍스트 길이와 지식 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주제를 다루는 특성 때문에 비교적 낮은 성능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140자가 되지 않는 짧은 텍스트 내에서 실시간으로 빠르게 정보를 공유하는 특성을 가지는 마이크로블로그에서 나타나는 개체명의 중의성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지식 베이스만 사용하는 개체 링킹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마이크로블로그 사용자 기록과 뉴스 기사를 이용하고, 지식 베이스에 존재하는 특정 엔트리로 개체 링킹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체명을 포함하는 한국어 트윗을 추출하여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성능 평가는 정확도 지표(시스템이 정답으로 판정한 데이터 개수/전체 데이터 개수)를 사용하였으며, 제안하는 시스템은 구축한 데이터에서 기존 지식 베이스만 사용한 개체 링킹 시스템보다 높은 67.7%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링크확률과 개체명 인식을 이용한 영-한 교차언어 링크 탐색 (English-Korean Cross-lingual Link Discovery Using Link Probability and Named Entity Recognition)

  • 강신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91-19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방대한 웹 자원의 연결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영어 위키피디아 문서로부터 한국어 위키피디아 문서로의 교차언어 링크를 자동으로 탐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어구의 링크확률을 대략 추정하여 사용하던 기존의 방법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위키피디아 문서 집합으로부터 추출한 제목 목록과 링크 확률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과 개체명 인식 결과를 함께 사용하여 링크가 걸릴 앵커 후보를 선택한다. 앵커 후보를 한국어 대역어로 번역한 후, 대역어에 가장 적합한 한국어 웹문서를 찾아 교차언어 링크로 설정하게 된다. 실험한 결과 MAP 수치로 0.375를 얻었다.

위키피디아 링크 데이터를 이용한 Neural Network Model 기반 한국어 개체명 연결 (Neural Network Model for Named Entitiy Linking using Wikipedia Link Data)

  • 이영훈;나승훈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8년도 제3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63-166
    • /
    • 2018
  • 개체명 연결이란 주어진 문장에 출현한 단어를 위키피디아와 같은 지식 기반 상의 하나의 개체와 연결하여 특정 개체가 무엇인지 식별하여 모호성을 해결하는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키피디아의 링크를 이용하여 개체 표현(Entity mention)과 학습 데이터, 지식 기반을 구축한다. 또한, Mention/Context 쌍의 표현과 Entity 표현의 코사인 유사도를 이용하여 Score를 구하고, 이를 통해 개체명 연결 문제를 랭킹 문제로 변환한다. 개체의 이름과 분류뿐만 아니라 개체의 설명, 개체 임베딩 등의 자질을 이용하여 모델을 확장하고 결과를 비교한다. 확장된 모델의 개체 링킹 성능은 89.63%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딥러닝 모형 기반 한국어 개체명 연결 (Named Entity Linking Based on Deep Learning Model)

  • 손대능;이동주;이용훈;정유진;강인호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정보학회 2016년도 제28회 한글및한국어정보처리학술대회
    • /
    • pp.90-95
    • /
    • 2016
  • 개체명 연결이란 문장 내 어떤 단어를 특정 사물이나 사람, 장소, 개념 등으로 연결하는 작업이다. 과거에는 주로 연결 대상 단어 주변 문맥에서 자질 공학을 거쳐 입력을 만들고, 이를 이용해 SVM이나 Logistic Regression 혹은 유사도 계산, 그래프 기반 방법론 등으로 지도/비지도 학습하여 문제를 풀어왔다. 보통 개체명 연결 문제의 출력 부류(class)가 사물이나 사람 수만큼이나 매우 커서, 자질 희소성 문제를 겪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에 구조적으로 더 적합하며 모형화 능력이 더 뛰어나다 여겨지는 딥러닝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다양한 딥러닝 모형을 이용한 실험 결과 LSTM과 Attention기법을 같이 사용했을 때 가장 좋은 품질을 보였다.

  • PDF

딥러닝 모형 기반 한국어 개체명 연결 (Named Entity Linking Based on Deep Learning Model)

  • 손대능;이동주;이용훈;정유진;강인호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6년도 제28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90-95
    • /
    • 2016
  • 개체명 연결이란 문장 내 어떤 단어를 특정 사물이나 사람, 장소, 개념 등으로 연결하는 작업이다. 과거에는 주로 연결 대상 단어 주변 문맥에서 자질 공학을 거쳐 입력을 만들고, 이를 이용해 SVM이나 Logistic Regression 혹은 유사도 계산, 그래프 기반 방법론 등으로 지도/비지도 학습하여 문제를 풀어왔다. 보통 개체명 연결 문제의 출력 부류(class)가 사물이나 사람 수만큼이나 매우 커서, 자질 희소성 문제를 겪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에 구조적으로 더 적합하며 모형화 능력이 더 뛰어나다 여겨지는 딥러닝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다양한 딥러닝 모형을 이용한 실험 결과 LSTM과 Attention기법을 같이 사용했을 때 가장 좋은 품질을 보였다.

  • PD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bioinformatics

  • Tsujii, Jun-ichi
    • 한국생물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3년도 제2차 연례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3-3
    • /
    • 2003
  • With biomedical literature expanding so rapid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iscover and organize knowledge extracted from texts. Although factual databases contain crucial information the overwhelming amount of new knowledge remains in textual form (e.g. MEDLINE). In addition, new terms are constantly coined as the relationships linking new genes, drugs, proteins etc. As the size of biomedical literature is expanding, more systems are applying a variety of methods to automate the process of knowledge acquisition and management. In my talk, I focus on the project, GENIA, of our group at the University of Tokyo, the objective of which is to construct an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of protein - protein interaction from abstracts of MEDLINE. The talk includes (1) Techniques we use fDr named entity recognition (1-a) SOHMM (Self-organized HMM) (1-b) Maximum Entropy Model (1-c) Lexicon-based Recognizer (2) Treatment of term variants and acronym finders (3) Event extraction using a full parser (4) Linguistic resources for text mining (GENIA corpus) (4-a) Semantic Tags (4-b) Structural Annotations (4-c) Co-reference tags (4-d) GENIA ontology I will also talk about possible extension of our work that links the findings of molecular biology with clinical findings, and claim that textual based or conceptual based biology would be a viable alternative to system biology that tends to emphasize the role of simulation models in bioinforma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