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HCO3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3초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의 부지 감시 현황 (Hydrogeological Site Monitoring in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 이충모;옥순일;정성연;김시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17
    • /
    • 2023
  • 국내의 부지특성 및 감시 관련 규정은 원자력 안전위원회 고시 제2021-16호 제4조(세부지침)와 원자력 안전위원회 고시 제2021-17호 제16조에 의거하고, 국외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에서 안전기준을 제시하고 있다(IAEA, 2011). 따라서 국내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은 2006년부터 광역 지질을 포함한 부지 지질/지형, 기상, 수문, 수리지질, 인문사회 등을 망라한 조사를 시행하여 부지 현황에 대한 분석 및 안정성 평가를 수행한다. 부지감시의 수문·지구화학 분야에서는 현장 수질 측정 6항목과 실내 분석 26항목을 감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는 이 중 9개 항목(EC, Na, K, Ca, Mg, SiO2, Cl, SO4, HCO3)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은 물시료 분석자료의 주성분-다중선형회귀-군집 분석과 Piper Diagram 분석결과로부터 해수와 담수(지하수)와의 특성분석 및 해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장 부지내 지하수 7개 관정(GM-1, 2, 4, 5, 6, 7, 8)과 해수 2개 지점(Sea-1, 2)을 대상으로 통계학적 주성분 분석결과, 대부분의 지하수는2개~4개의 요인으로 구분되고, 해수와의 유사성을 해석하기 위해 확인한 관정은 GM-5, GM-6, GM-1 지점으로 분류되었다. 상기와 같이 해수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해수 2개 지점과 동일한 군집으로 분류되는 지하수는 GM-5 관정으로 확인되었고, 해안선에서 가까운 GM-5 관정과 같이 유사한 거리에 분포한 지하수 GM-1, 2, 4 관정은 2개 혹은 3개의 최적 군집으로 분류하였을 때도 GM-5와는 다른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해안과 인접하더라도 수질은 다른 지질학적 특성(지형, 기상, 단열대 등)에 따라 영향받았음을 지시한다.

  • PDF

지하공간건설 시 해안인근 담수-해수 혼합대의 지화학적 진화 (Geochemical Evolution of Mixing Zone with Freshwater and Seawater near the Coast Area during Underground Space Construction)

  • 김지연;김병우;권장순;고용권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7호
    • /
    • pp.90-102
    • /
    • 2015
  • To understand the hyrogeochemical variation of bedrock aquifer during underground space construction, various graphical methods including multiple-component plots and chemical trends were used to estimate the mixing rate between seawater and freshwater and to investigate the evolution of water quality. The water chemistry and mixing rate between fresh and sea waters, which are generally localized in the construction area (MW-7, in land), shows typical characteristics of freshwater that doesn’t affect its validity as seawater intrusion. Especially, the water chemistry of a MW-4 (coastline) was classified as Na-Cl type, Na-HCO3 type, and Ca-Cl typ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eawater intrusion. And hydrogeochemical and isotopic data show that local freshwater is subjected to geochemical processes, such as reverse ion-exchange. Throughout the Chadha’s diagrams, four different case histories with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groundwaters in the study area were proposed, which is recommended to interpret the hydrogeochemical reactions effectively.

고비표면적 탈황용 석회소재 제조 (Manufacturing of Lime Materials with High Specific Surface Area for Desulfurization)

  • 권석제;김영진;김양수;서준형;조진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3권1호
    • /
    • pp.69-76
    • /
    • 2024
  •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으로 세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의 단계적 폐지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화력발전을 통한 전력 생산과 황산화물(SOx)의 배출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에서는 황산화물 처리를 위해 중조(NaHCO3)와 석회소재를 사용하며 중조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대표적인 부존자원인 석회석을 이용하여 석회소재의 물성 향상을 통해 중조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석회석은 박스형 전기로와 수직형 전기로를 통해 열처리했으며, 수직형 전기로가 가진 구조적 특징에 의해 비표면적 22.33 m2/g, 세공용적 0.14 cc/g의 생석회를 제조하여 석회소재의 물성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수경재배 시설원예단지 작물 유형별 배액 특성 및 부하량 평가 연구 (A study on drainage characteristics and load amount evaluation by crop type in a hydroponic cultivation facility of horticultural complex)

  • 진유정;강태경;임류갑;김현우;강동현;박민정;손진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2-363
    • /
    • 2021
  • 본 연구는 시설원예단지에서 배출되는 배액 내 포함된 영양물질의 부하량을 평가하여 양액 재이용방안 및 수처리장 도입 설계 등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수경재배 대표 재배 작물을 토마토, 파프리카, 오이, 딸기로 선정하여 총 80 샘플을 수질분석하였다. 분석결과 N, P, K+, Na+, Mg2+, Ca2+, Si4+, HCO3-, Cl-, S2-, Fe, Mn, Cu, Zn, Mo, B 등의 각종 비료성분은 배액 내 매우 높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어 수처리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해 딸기의 배액농도가 토마토, 파프리카, 오이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마토의 경우 이러한 필수이온 농도가 가장 높으므로 비료의 재이용 측면에서는 가치 있는 자원의 대상임을 확인하였다. 시설원예단지 1m2에서 배출되는 배액의 N과 P의 부하량을 분석하였다. N은 1ha 기준 일간 토마토는 4.0kg, 파프리카 3.3kg, 오이 3.0kg, 딸기 1.5kg의 처리용량이 계산되었다. P농도는 일간 토마토 0.5kg, 파프리카 0.6kg, 오이 0.4kg, 딸기 0.2kg을 일간 처리할 수 있는 규모와 용량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작물별 시설온실에서 배출되는 배액에 포함된 질소와 인의 양을 평가하여 배액에서의 양분적 가치산정을 통한 경제성 분석과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시설원예단지의 수처리 시설 도입 시 반영해야 할 처리용량 산정 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하였다.

광주천 인근 천부 지하수의 수리화학 및 안정동위원소 특성 (The Hydrochemical and Stable Isotope Characteristics of Shallow Groundwater Near the Gwangju Stream)

  • 윤욱;지세정;소칠섭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6호
    • /
    • pp.441-455
    • /
    • 2003
  • 광주지역의 지하수는 주로 Ca-$HCO_3$, Ca-Na-$HCO_3$, Ca-Na-$HCO_3$-Cl 유형의 다양한 수질을 보여준다 그러나 광주천인근 지하수는 50mg/L 이상의 비교적 높은 $Cl^-$농도를 보이고, EC는 400${\mu}s$/cm 이상의 값을 나타내며, Ca-Cl 유형의 수질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하천과 인근 지하수 관정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Cl^-$, $HCO_3^-$/의 농도, EC와 ${\gamma}^{18}O$ 값이 체계적으로 변화하여 하천수의 지하유입이 확인되고 있다. 안정동위원소 연구결과, 광주지역 전체 지하수의 ${\gamma}^{18}O$ 값의 범위는 -9.2∼-5.5${\textperthansand}$ 이나 광주 동남부 고지대에서는 비교적 가벼운 값(>-8${\textperthansand}$)을 나타내나, 저지대 층적층이 분포된 하천 인근 지하수에서는 -6${\textperthansand}$ 보다 무거운 ${\gamma}^{18}O$ 값이 분포 경향을 보인다. 하천 인근에서 채취된 14개 지하수 시료 사이에는 ${\gamma}$D 및 ${\gamma}^{18}D$ 값이 ${\gamma}D{=}7.1{\times}{\gamma}^{18}O$-1의 관계를 보여 증발작용에 의한 동위원소 비평형을 나타내나, 하천수와 인근 지하수의 ${\gamma}^{18}O$값은 일부 지역에서 하천수 유입에 의한 체계적인 분별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하천 인근 지하수의 DIC(용존무기탄산염)에 대한 ${\gamma}^{13}C$ 값은 -17.6∼15.2${\textperthansand}$로써 매우 가벼운 값을 나타내며, 토양 유기물 기원의 $CO_2$실 영향이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NO_3^-$에 대한 ${\gamma}^{15}N$${\gamma}^{18}O$ 값은 각 0∼17.0${\textperthansand}$ 및 6.6∼17.4${\textperthansand}$로써 토양의 질산염, 생활하수 및 분뇨 기원의 질소가 혼합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부분 시료는 탈질 화작용이 약 40∼60%까지 진행되면서 ${\gamma}^{15}N$${\gamma}^{18}O$ 값의 체계적인 분별효과가 야기되었다.

미스트중 6가 크롬 측정을 위한 IC/Visible Spectrophotometry 방법 (Shin & Paik′s Method)의 현장 평가 (Field Validation of an IC/Visible Spectrophotometry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r(VI) in Mist)

  • 신용철;백남원;김상우;김선자;이유미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2년도 춘계 국제 학술대회
    • /
    • pp.40.1-4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new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hexavalent chromium, Cr(VI) in mist from field plating operation. The Procedures of this new method (Shin & Paik's Method) are as the following: Airborne hexavalent chromium is collected on polyvinyl chloride (PVC) filter according to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Method 7600, and the filter sample is placed in a screw-capped vial and soaked with 2% NaOH/3% Na₂CO₃ solution immediately after sampling. The Cr(VI) sample is analyzed by ion chromatography/visible spectrophotometry (IC/VS) according to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Method 218.6. The airborne Cr(VI) concentrations measured by this method were compared with those determined by three reference methods: One (NIOSH/EPA Method) consisted of sampling airborne Cr(VI) on PVC filters and storing the sample filters in screw-capped vials according to the NIOSH method, and analyzing Cr(VI) in samples using IC/VS according to the EPA method. The second method (Impinger Method/NaHCO₃) consisted of absorbing airborne Cr(VI) into 0.02 MN/sub a/Hco₃ solution in midget impinger, and analyzing the Cr(VI) in samples using IC/VS. The third method was the OSHA Method Id-215. Using these four different methods, four replicates of air samples were collected at an electroplating process and analyzed simultaneously. Two-way ANOVA and Paired t-test were used to test difference among values determined by the metho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a strong correlation (r/sup 2/=0.99) between Cr(VI) concentrations measured by the shin & Paik's Method and an impinger method (p>0.05). However, Cr(VI) concentrations determined by Shin & Paik's Meth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m those by the NIOSH/EPA Method (p<0.05) or the OSHA method (p<0.05). The Cr(VI) concentrations of Shin & Paik's Metho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IOSH/EPA Method or the OSHA method. We concluded that the Shin & Paik's Method could prevent Cr(VI) losses caused by reduction and give more reliable results of airborne Cr(VI) concentrations in work environments.

  • PDF

낙동강 하류 소유역의 지하수와 하천수의 수리지질학적 특성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Small Watershed of the Nakdong River Basin)

  • 김시은;정성연;김문수;김연태;차용훈;이충모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2-84
    • /
    • 2024
  • 기후변화에 따라 수자원의 취약성이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해 지하수 자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낙동강권역이 자리 잡은 한반도 남부는 매년 봄 가뭄과 같은 물 부족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물 부족의 대안으로 지하수 자원 이용이 대두되고 있으나, 지하수 자원의 활용에는 수질 안정성이 반드시 요구된다. 이 연구는 2023년 8월과 10월, 2회에 걸쳐 낙동강 하류 광려천 유역을 대상으로 지하수 관정 총 54개소와 하천수 총 5개의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현장 수질 및 실내 수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현장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의 값은 지하수와 하천수 모두 연구 지역 수계 하류로 갈수록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준다. 이는 하류의 농업 활동이 하천수에 직접적으로 유입됨을 지시한다. 실내 수질 분석 결과 연구 지역의 수질 유형은 주로 [Ca-HCO3] 유형이 가장 많고, [Ca-SO4] 유형이 그 뒤를 이었다. 8월과 10월 시간에 따른 수질 유형의 변화를 확인하면, Ca 함량이 우세한 지역이 Na 함량이 우세한 지역으로 변화하고, 이러한 지하수 관정은 주로 하류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연구 지역 하류의 하천수·지하수의 농도 변화는 공장단지, 폐수 처리시설, 농경지의 분포 현황 및 낙동강 하류의 유입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를 통해 인위적인 오염이 발생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Characterization of Cooked Meat Models using Grasshopper (Sphenarium purpurascens) Soluble Protein Extracted by Alkalisation and Ultrasound as Meat-Extender

  • Cruz-Lopez, Salvador Osvaldo;Escalona-Buendia, Hector Bernardo;Roman-Guerrero, Angelica;Dominguez-Soberanes, Julieta;Alvarez-Cisneros, Yenizey Merit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536-555
    • /
    • 2022
  • The most abundant Orthoptera in Mexico is a small grasshopper (Sphenarium purpurascens) which is considered a food source with increased nutritional value due to its high protein content. Insect proteins have gained relevance because of their high potential as gelling, texturing, and extender agents in the food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bstituting meat with a soluble protein extract from grasshopper obtained by alkalisation or alkalisation-piezoelectric ultrasound, on the techno-function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meat models (sausages). The soluble protein was extracted in NaHCO3 pH 8 and a piezoelectric ultrasound 5-mm sonotrode at 20 kHz with 99% amplitude. Different formulations with meat substitution: 0%, 5%, 10%, and 15% were prepared and characterised for their rheological behaviour, emulsion stability, weight loss by cooking, total protein content, colour, and texture.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consumers using a test involving check-all-that-apply and overall liking. The alkalisation-piezoelectric ultrasound method improved the solubility and the techno-functional properties of the soluble grasshopper protein when applied in sausages at maximum levels of 10% meat substitution. The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formulation with 5% meat substitution exhibited the same acceptability as the control sample. Given these results, the soluble protein treated with alkalisation and piezoelectric ultrasound could be used as an extender in meat products.

고분자필름과 금속막 의료소재에 대한 생체적합성 및 독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세포배양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Novel Mammalian Cell Culture System for the Biocompatibility and Toxicity of Polymer Films and Metal Plate Biomaterials)

  • 곽문화;윤우빈;김지은;성지은;이현아;서은지;남국일;정영진;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33-639
    • /
    • 2016
  • 고분자(polymer), 금속(metal), 세라믹(ceramic), 합성물(composite) 등과 같은 바이오소소재(Biomaterials)는 그들의 물리화학적 성질 때문에 의료용섬유(medical fibers), 인공혈관(artificial blood vessels), 인공관절(artificial joints), 임플란트(implants), 연조직(soft tissue), 인공성형물(plastic surgery materials) 등 의료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개발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필름(film)이나 판(plate)형태의 바이오소재에 대한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이나 독성(toxicity)을 포유동물세포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은 적절한 평가용 장치가 없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필름이나 금속판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리콘링, 상판(top panel), 하판(bottom panel)으로 구성된 새로운 포유동물배양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적용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평가하고자 하는 시료를 상판과 하판사이에 조립하는 샌드위치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세포배양장치의 조립 후, SK-MEL-2세포를 3가지 시료; Styela Clava Tunic (SCT)- PF, NaHCO3-added SCT (SCTN)-PF, magnesium MP (MMP)에 적용하고 37℃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4시간과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TT분석결과에서,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은 24시간과 48시간 동안 SCT-PF배양그룹에서 정상적으로 유지되었지만 48시간 동안 SCTN-PF배양그룹에서는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더불어, MMP배양그룹에서 세포생존율은 24시간과 48시간 배양 후에 대조군과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샌드위치형태의 포유동물세포배양장치는 고분자필름이나 금속판형태의 바이오소재에 대한 독성이나 생체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우수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Buffered articaine infiltration for primary maxillary molar extraction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 Dhake, Parag;Nagpal, Devendra;Chaudhari, Purva;Lamba, Gagandeep;Hotwani, Kavita;Singh, Prabhat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5호
    • /
    • pp.387-394
    • /
    • 2022
  • Background: Dental pain management is an important aspect of patient management in pediatric dentistry. Articaine is considered the most successful anesthetic agent for infiltration anesthesia. Buffered articaine has been observed to have faster onset and longer duration of action with less pain on inje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pain on injection, onset of action, and pain during extraction using buffered (using Sodium bicarbonate (NaHCO3)) and non-buffered 4% articaine (with 1:100000 adrenaline) infiltrations for primary maxillary molar extractions in 4-10-year-old children. Methods: Seventy children who required extraction of maxillary primary molars were enrolled in this triple-blind randomized study. Children undergoing extraction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35 in each group. The study group was the buffered articaine group; the control group was the non-buffered articaine group. Buccal and palatal infiltrations were administered with either buffered or non-buffered articaine. Subjective evaluation was done for pain on injection, pain during extraction using Wong-Baker Faces Pain Rating Scale (WBFPR) and onset of anesthesia in seconds. Pain on injection, pain during extraction were objectively evaluated using Sound Eye Motor (SEM) scale and onset of anesthesia was also evaluated objectively by pricking with sharp dental probe. Results: The outcome was, significantly less pain on injection and significantly faster onset of anesthesia with significantly less pain during extraction for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s in the buffered articaine group. Subgroup analysis was also performed and it showed variable results, with on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WBFPR scores in age subgroup 4-7 years for palatal infiltration. Conclusion: Less pain on injection, faster onset of anesthesia, and less pain during extraction were observed when buffered articaine was used for maxillary primary molar ext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