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HCO3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8초

NaNO3, NaHCO3 농도가 Arthrospira platensis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NO3 and NaHCO3 Concentration on Microglae Arthrospira platensis Growth)

  • 최수정;하종명;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30권6호
    • /
    • pp.319-325
    • /
    • 2015
  • Arthrospira platensis (A. platensis) is one of the most explored cyanobacteria and has been studied for proteins, vitamins, pigment (chlorophyll and carotenoids) and fatty acid.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 of $NaHCO_3$ and $NaNO_3$ on the microalgae growth under photoautothrophic culture in A. platensis. As a result, cell growth and dry cell weight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NaHCO_3$ and $NaNO_3$ concentration. Pigment (chlorophyll and carotenoids) contents of A. platensis were increased with proportion to $NaHCO_3$ concentration. But, the content of pigment (chlorophyll and carotenoids) in 100% $NaNO_3$ medium of A. platensis was the highest, 40%, 140% and 200% $NaNO_3$ medium with pigment content of A. platensis was reduced. In conditions of $NaHCO_3$ (50%) or $NaNO_3$ (40%) limitation, A. platensis could accumulate lipids to high as 1.7-fold and 1.3-fold.

Effect of bicarbonate and progesterone on plasma membrane integrity, acrosome reaction and proportion of fatty acids in boar sperm

  • Park, Choon-Keun;Lee, Sang-Hee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2-208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odium bicarbonate (NaHCO3) and progesterone on acrosome reaction and propor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composition boar sperm. The sperm were diluted with semen extender and incubated with NaHCO3 and progesterone at 38℃, 5% CO2 for 6 h. Plasma membrane integrity and acrosome reaction were analyzed using SYBR14/propidium iodide (PI) and FITC-PNA/PI doubling staining method, and proportion of PUFA was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In results, Plasma membrane integr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50 mM NaHCO3 group and acrosome rea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over the 100 mM NaHCO3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p < 0.05). In addition, progesterone significantly increased decreased plasma membrane integrity at 100 mM progesterone and acrosome reaction at over the 5.0 µM progesterone (p < 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5.0 to 100 µM groups. PUFA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100 mM NaHCO3 and 50 µM progesterone treatments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summary NaHCO3 and progesterone induce acrosome reaction and reduce PUFA composition in boar sperm, therefore, the results maybe help to understand basically knowledge for the acrosome reaction and PUFA composition in boar sperm.

Na2CO3와 NaHCO3로 활성화한 Na-벤토나이트의 팽창특성과 Cd와 Pb의 상대적 등온흡착곡선 (Swelling Indexes and Relevant Removal of Cd and Pb of the Na-bentonite activated with Na2CO3 and NaHCO3)

  • 정덕영;양재의;오택근;이교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4-70
    • /
    • 2007
  • 본 실험은 서로 다른 온도조건하에서 두 가지 Na 화합물을 이용하여 Ca-벤토나이트를 Na-벤토나이트 전환하였다. 두 가지 Na 화합물은 양이온 원으로 Na를 가지고 있는 5가지 화합물 중에서 선택하였다. 전환된 Na-벤토나이트의 팽창능은 Na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반면 온도가 증가할수록 최대 Na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Na_2CO_3 은 조사된 Na-화합물 중에서 최대 팽창능을 보여주었으며 팽창지수는 처리온도가 최대 100 에 도달할 때까지 최고로 증가하였다. 동일 Na 처리농도에서는 팽창지수는 체류시간이 증가하거나 온도가 높아질 때 다소 감소하였다. 전환된 Na-벤토나이트의 흡착은 조사된 Pb나 Cd의 평형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b의 흡착량이 Cd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전환된 Na-벤토나이트에 Pb와 Cd의 흡착은 5 % $Na_2CO_3$. ${\approx}$ 5% $NaHCO_3$ > 3 % $NaHCO_3$ > 3 % $Na_2CO_3$ > 1 % $NaHCO_3$ > 1 % $Na_2CO_3$ > 원형 Na-B > 원형 Ca-B.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CEC에 따른 흡착의 결과와는 다소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Effects of Citrus limon Extract on Oxidative Stress-Induced Nitric Oxide Generation and Bovine Teeth Bleaching

  • Jeong, Soon-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6-103
    • /
    • 2021
  • Background: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trous limon extract (CLE) on oxidative stress-induced cytotoxicity and nitric oxide (NO) generation and the tooth bleaching effect of CLE as a substitute for hydrogen peroxide (H2O2) and determine the feasibility and application of CLE as a safe and effective natural tooth bleaching agent. Methods: The protective effect of CLE on H2O2-induced cytotoxicity in Raw264.7 macrophages was investigated by the MTT assay. The inhibitory effect of CLE on the generation of H2O2-induced NO was confirmed by the NO assay, and the changes i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expression were confirmed by western blotting. Stained bovine teeth were treated with/without 15% and/or 35% CLE and H2O2, 15% sodium bicarbonate (NaHCO3) for 3 hours, and were irradiated with/without bleaching light (BL) for 15 minutes. The color change of the treated bovine tooth surface was measured using a colorimeter. Results: The viability of Raw264.7 cells treated with each concentration of CLE and 500 μM H2O2 significantly increased as CLE increased, and NO generation and iNOS protein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cells treated with 300 ㎍ CLE+/500 μM H2O2+ and 300 ㎍ CLE+/500 μM H2O2+/150 ㎍ NaHCO3+. The bleaching effect of 35% CLE+ was higher than that of 15% CLE+ and 15% NaHCO3+, and the effect was similar to that of 15% H2O2+. The 35% CLE+/15% NaHCO3+ showed the greatest bleaching effect an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s irradiated with the BL. The greatest bleaching effect was observed with 35% CLE+/15% NaHCO3+, followed by 35% H2O2+/BL+. Conclusion: CLE inhibited oxidative stress-induced cytotoxicity and NO generation in Raw264.7 cells and, could replace H2O2, which causes side effects and risks in teeth breaching treatment. It showed greatest teeth bleaching effect when combined with NaHCO3. CLE is an effective and safe natural tooth bleaching substitute.

천연 스틸바이트의 압력전달매개체에 따른 선형압축률 및 체적탄성률 비교 연구 (Changes in the Linear Compressibility and Bulk Modulus of Natural Stilbite Under Pressure with Varying Pressure-Transmitting Media)

  • 황희정;이현승;이수진;정재우;이용문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3호
    • /
    • pp.367-376
    • /
    • 2022
  • 본 연구는 섭입대 환경에서 다양한 액체들과 제올라이트와의 반응을 이해하기 위한 선행단계로, 섭입대 내 대표 제올라이트 중 하나인 스틸바이트(NaCa4(Al9Si27)O72·28(H2O))의 압축거동을 관찰하였다. 물과 NaHCO3 용액을 매개체로 사용하였으며, 상압에서 최대 2.5 GPa까지 가압하였다. 1.0 GPa 이하에서는 두 실험 모두 0.001~0.004 GPa-1 범위의 낮은 선형압축률과 220(1) GPa의 높은 체적탄성률을 보였다. 이는 물분자 또는 양이온이 스틸바이트의 채널 내부로 유입되면서 구조가 매우 치밀해졌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반면, 1.0 GPa 이상에서는 두 실험의 경향이 다르게 관찰되었다. 물의 실험에서는 c축, NaHCO3의 실험에서는 b, c축의 선형압축률이 모두 0.006(1) GPa-1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체적탄성률은 물과 NaHCO3의 실험에서 각각 40(1), 52(7) GPa의 값을 보여, 1.0 GPa 이전과 비교했을 때 압축률이 4배 이상 높아졌다. 이는 1.0 GPa 이상의 압력에서 압력매개체 내 물이 얼기 시작하면서 스틸바이트 내부로 유입이 멈추었고, 단지 채널 내에서 양이온 및 물분자가 이동함에 따라서 생기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특히 NaHCO3의 실험에서는 소듐 양이온이 치환됨에 따라 구조 내부의 분포가 달라졌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는 (001)과 (020)피크의 상대강도 비율이 물의 실험과 다른 경향으로 나타난 것을 근거로 예상해볼 수 있다.

부산 동래 온천수의 수리화학 및 동위원소 특성, 생성모델 연구 (Hydrochemistry, Isotopic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Model Geothermal Waters in Dongrae, Busan, South Korea)

  • 이유진;정찬호;이용천
    • 지질공학
    • /
    • 제34권2호
    • /
    • pp.229-248
    • /
    • 2024
  •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산출되는 온천수와 주변 지하수 및 지표수의 수리화학 및 동위원소 특성의 규명과 동래 온천수에 함유된 염수 성분의 기원에 대한 해석, 그리고 온천수의 열원을 포함한 생성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이다. 동래 온천수의 수리화학적으로 Na-Cl 유형이며, 주변지하수(Na-HCO3, Ca-HCO3(SO4, Cl)), 지표수(Ca-HCO3(SO4, Cl))의 유형과는 다른 형태를 보인다. 이는 지하수에 비해 온천수가 보다 심부의 다른 지화학적 환경에 있음을 지시한다. δ18O와 δD 분석결과 온천수는 지하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핍된 값을 보여주며, 이는 온천수의 함양지역에 대한 고도효과를 반영하고, 온천수의 심부 순환과정을 지시한다. 온천수 내 헬륨과 네온 동위원소비(3He/4He, 4He/20Ne)는 맨틀기원(3He = 3.76~4.01%)과 지각기원(4He = 95.99~96.24%) 범위에서 대기기원 헬륨과의 단일혼합선상에 도시되어 온천의 열원이 암석내 방사성물질의 붕괴에 의한 열임을 간접적으로 지시한다. 실리카-엔탈피 모델, Giggenbach 모델 등으로 계산된 지열저장소 온도는 82~130℃의 범위로 계산되었으며, 지열저장소의 깊이는 지표로부터 약 1.7~2.9 km로 계산되었다. 동래 온천수의 Cl/Na 및 Cl/HCO3의 당량비 상관관계는 해수의 혼합영향을 지시하며, 해수의 유입은 잔류고염수의 용해로 해석된다.

염화아연 수용액과 나트륨계 알칼리 침전제 종류에 따라 합성한 산화아연 결정 분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zinc oxide crystalline powder synthesized by zinc chloride solution and sodium-based alkali precipitants)

  • 김대원;장대환;김보람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21
    • /
    • 2023
  • 산화아연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3종류의 나트륨계 알칼리 침전제인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탄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하여 반응에 따른 열역학적 고찰과 아연 침전생성물로부터 산화아연 분말 제조 공정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나트륨계 알칼리 침전제와의 반응으로 생성된 아연 침전생성물은 각각 히드록시염화아연(Zn5(OH)8Cl2·H2O)과 탄산아연수산화물 (Zn5(OH)6(CO3)2·H2O)임을 XRD를 통해 확인하였다. 나트륨계 알칼리 침전제에 따라 800℃에서 열처리하여 생성된 산화아연 입자 크기를 비교하였다. 혼합된 수산화나트륨 및 탄산수소나트륨의 알칼리 침전제 반응으로 보다 균일한 산화아연 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β-Carotene Production from Dunaliella salina Cultivated with Bicarbonate as Carbon Source

  • Xi, Yimei;Wang, Jinghan;Xue, Song;Chi, Zhanyo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6호
    • /
    • pp.868-877
    • /
    • 2020
  • Bicarbonate has been considered as a better approach for supplying CO2 to microalgae cells microenvironments than gas bubbling owing to cost-effectiveness and easy operation. However, the β-carotene production was too low in Dunaliella salina cultivated with bicarbonate in previous studies. Also, the difference in photosynthetic efficiency between these two carbon sources (bicarbonate and CO2) has seldom been discussed. In this study, the culture conditions, including NaHCO3, Ca2+, Mg2+ and microelement concentrations, were optimized when bicarbonate was used as carbon source. Under optimized condition, a maximum biomass concentration of 0.71 g/l and corresponding β-carotene content of 4.76% were obtained, with β-carotene yield of 32.0 mg/l, much higher than previous studies with NaHCO3. Finally, these optimized conditions with bicarbonate were compared with CO2 bubbling by online monitoring.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in Fv/Fm value between cultivations with bicarbonate and CO2,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v/Fm periodic changing patterns. This indicates that the high concentration of NaHCO3 used in this study served as a stress factor for β-carotene accumulation, although high productivity of biomass was still obtained.

무기탄소원으로서의 NaHCO3가 미세조류 Scenedesmus dimorphus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평가 (Effects of sodium bicarbonate as an inorganic carbon source on the growth of scenedesmus dimorphus)

  • 주성진;장산;최경진;이석민;황선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55-560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odium bicarbonate ($NaHCO_3$) on growth of S.dimorphus. $NaHCO_3$ concentration was varied from 0 to 2 g-C/L. As a result, the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NaHCO_3$ up to 1.5 g-C/L increased dry weight of algae. The highest specific growth rate of S. dimorphus was $0.36day^{-1}$ which was obtained at concentration of 0.5 g-C/L $NaHCO_3$. pH showed a large variation range at the concentrations lower than 0.5 g-C/L $NaHCO_3$ whereas inorganic carbon, nitrate and phosphorus removal rates were almost same at the concentrations higher than 0.5 g-C/L $NaHCO_3$ (0.75, 1, 1.25, 1.5, 2 g-C/L $NaHCO_3$). Their average inorganic carbon, nitrate and phosphorus removal rate were 70 mg-C/L/d, 11.3 mg-N/L/d, and 1.6 mg-P/L/d, respectively. Thus, $NaHCO_3$ didn't effect on inorganic carbon, nitrate and phosphorus removal rate of S. dimorphus.

서천 해안지역 길산천 소유역에서의 고염분 지하수와 씻김 현상 (Fossil Saline Groundwater and Their Flushing Out At Gilsan Stream Catchment in the Western Coastal Area of Seocheon, Korea)

  • 문상호;윤윤열;이진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6호
    • /
    • pp.671-687
    • /
    • 2022
  • 우리나라 서·남해 연안 지대는 해안으로부터 10 km 범위 내 관정의 약 47%가 해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고되었고, 지하수의 염분화 원인이 해수 침투 때문일 것이라 해석되어 왔다. 서천지역의 길산천은 금강하구둑이 건설·운영되어 매립 농지로 이용되기 전까지는 감조하천으로서 유역 내에는 해수에 의한 퇴적물이 생성되고 그 내부에는 염분 공극수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길산천 소유역 내 지하수는 EC 값이 111~21,000 µS/cm 범위로서 매우 높은 염분 지하수가 존재하며, 수질 유형은 Ca(or Na)-HCO3, Ca(or Na)-HCO3(Cl), Na-Cl(HCO3), Na-Cl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수질의 다양성은 강수 및 지표수로부터 유입 생성되는 담수 지하수 수질과 해수 수질의 혼합 현상 때문에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금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질 다양성 및 염분 지하수의 존재가 현재 진행 중인 해수 침투 때문인지 아니면 조간대 퇴적물 내 고(古)염분 공극수가 씻겨나가는 과정에서 잔존하기 때문인지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 내 강수, 지표수, 해수, 지하수에 대하여 수질 특성을 비교하고, 삼중수소 함량, 산소/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87Sr/86Sr 비 등을 비교·검토하였다. 산소/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으로 볼 때, EC 값이 큰 염분 지하수들의 물 성분은 담수 지하수와 지표수 물이 혼합된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중수소 함량에 의해 추정되는 연령이 젊은 지하수들은 NO3 함량이 높은 지표 영향을 많이 받은 것들로 나타나, 연구지역의 지하수 수질 진화 과정에는 담수 지하수 및 지표수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수 지하수/지표수와 해수를 2개의 단성분으로 가정하고 Cl 함량 변화에 따른 Na/Cl ratio와 나트륨흡착도(SAR)의 변화 패턴을 고려하면, 연구지역 지하수들은 해수 침투가 아니라 고염분 지하수의 씻김 현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