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Cl treatment

검색결과 843건 처리시간 0.021초

Jasmonic Acid 및 NaCl 처리가 스피아민트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asmonic Acid and NaCl on the Growth of Spearmint(Mentha spicata L.))

  • 최영;장매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3-139
    • /
    • 2017
  • 본 연구는 NaCl 및 jasmonic acid(JA) 처리 시 스피아민트(Mentha spicata)의 생육 및 생리적 반응 변화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조구, JA($20{\mu}M$ JA 전처리), JA+NaCl($20{\mu}M$ JA 전처리+ 50mM NaCl), NaCl(50mM NaCl) 처리 등 4처리구로 구분하여 0.5배 Hoagland 용액에서 3주간 수경 재배한 후 생장반응과 엽록소, 비타민 C, 프롤린, 무기물, DPPH 라디칼 소거 항산화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스피아민트의 초장, 엽장, 엽폭 및 생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NaCl 처리구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반면에 건물중은 JA+NaCl 혼용처리구를 비롯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엽록소 a와 b 함량은 JA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 비타민 C와 항산화 활성 및 지상부의 프롤린 함량은 염 스트레스로 생육이 가장 낮았던 NaCl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온 흡수의 균형 정도를 알 수 있는 K/Na 비율은 JA 단독 처리 시 증가하였고, NaCl처리 및 JA+NaCl 혼용 처리구에서는 $Na^+$ 흡수 증가로 인하여 K/Na 비율이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염 스트레스나 JA처리 같은 적절한 스트레스 처리가 항산화 활성과 정유를 포함하는 이차대사물질의 축적을 유도함으로써 스피아민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

Effect of NaCl Concentration on Photosynthesis and Mineral Content of Barley Seedlings under Solution Culture

  • Cho, Jin-Woong;Kim, Choong-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52-156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changes of photosynthetic ability and cation content in barley cultivar seedlings cultured for 10 and 30 days with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containing 1/4 Hoagland solutions. At the highest NaCl concentration, the weight of dry matter and the shoot/root ratio (S/R ratio) were decreased. Thus, shoots were affected more than roots by NaCl treatment. The S/R ratio decreased more in 'Neulssalbori' than in 'Bunong' by the NaCl treatment. The. internal $Na^+$ concentration increased greatly with the highest NaCl concentration, but $K^+$ concentration in plants decreased with the highest NaCl treatment. The $Ca^{2+}$ concentration had a small change with NaCl concentrations. Thus $Na^+$/$K^+$and $Na^+$/$Ca^{2+}$ratios increased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The chlorophyll content (%/dry weight) of seedlings decreased at higher NaCl levels except for Bunong in 30 day old seedlings. The photosynthetic ability decreased only for Neulssalbori in the 10 days NaCl treatment. The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had decreased in the 10 day old seedlings, but not with 30 day old seedlings.

  • PDF

The effect on photosynthesis and osmotic regulation in Beta vulgaris L. var. Flavescens DC. by salt stress

  • Choi, Deok-Gyun;Hwang, Jeong-Sook;Choi, Sung-Chul;Lim, Sung-Hwan;Kim, Jong-Guk;Choo, Yeon-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9권1호
    • /
    • pp.81-90
    • /
    • 2016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t stress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growth, photosynthesis, solutes related to osmoregulation of Beta vulgaris. A significant increase of dry weight was observed in 50 mM and 100 mM NaCl. The contents of Chl a, b and carotenoid were lower in NaCl treatments than the control. On 14 day after NaCl treatment, photosynthetic rate (PN), the transpiration rate (E) and stomatal conductance of CO2 (gs) were reduced by NaCl treatment. On 28 day after NaCl treatment, the significant reduction in gs and E was shown in NaCl 200 mM. However, PN and water use efficiency (WUE) in all NaCl treatments showed higher value than that of control. Total ion contents (TIC) and osmolality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On 14 day after treatment, the contents of proline (Pro)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0 mM and 300 mM NaCl concentration compared with control, whereas on 28 day in all treatments it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contents of glycine betaine (GB)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 The contents of Na+, Cl-, GB, osmolality and TIC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nder severe NaCl stress conditions, NaCl treatment did not induce photochemical inhibition on fluorescence in the leaves of B. vulgaris, but the reduction of chlorophyll contents was related in a decrease in leaf production. Furthermore, increased GB as well as Na+ and Cl- contents resulted in a increase of osmolality, which can help to overcome NaCl stress.

Effect of NaCl Stress on Inorganic Ion, L-Proline, Sugar and Starch Content of Soybean Seedlings

  • Cho, Jin-Woong;Kim, Choong-Soo;Jung D. S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75-79
    • /
    • 2002
  • This study conducted to elucidate the change of the cation content (Na$^{+}$, $K^{+}$, and $Ca^{2+}$), the L-proline content, and the sugar and starch content in the stems, roots, and leaves of three cultivars of the 30 days old seedling soybeans (Glycine max L. cv. Danwonkong, Hwang-keumkong, and Kwangankong) after 100 mM NaCl stress containing 1/2 Hoaglands nutrient solution in the sand culture. The reduction of the dry matter weight after 100 mM NaCl treatment among cultivars was higher in the order of Kwangankong, Danwonkong, and Hwang-keumkong. The highest reduction of the dry matter weight was occurred at the roots among three parts of plant. The Na$^{+}$ content increased with NaCl treatment in overall and specially greatly increased in roots and stems. The $K^{+}$ and $Ca^{2+}$ content decreased with NaCl treatment at the roots and stems. The $K^{+}$ content, however, at the leaves increased in all three cultivars with the NaCl treatment. The L-proline content with NaCl stress increased greatly. The increment of the L-proline content at the stems and roots of Hwangkeumkong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two cultivars, K wangankong and Danwonkong. The sugar content decreased with NaCl treatment at the stems and leaves. The starch content also decreased at the stems and leaves with NaCl treatment.aCl treatment.

양상추 유묘의 생육, 항산화물질 및 무기이온의 함량에 미치는 NaCl 스트레스의 영향 (Effect of NaCl Stress on the Growth, Antioxidant Materials, and Inorganic Ion Content in Head Lettuce Seedlings)

  • 김주성;현태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433-440
    • /
    • 2011
  • 본 실험은 수경재배 방식으로 본엽 2매까지 키운 양상추를 이용하여 NaCl 스트레스(0, 50 및 100mM NaCl)에 의한 생체중과 건물중, 항산화 물질 및 무기이온 함량 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양상추 유묘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NaCl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50mM NaCl 처리시 가장 높았다. Chl a, total Chl 함량과 Chl a/b는 100mM NaCI 처리 후 6일째 증가하였으나, Chl b 함량은 감소하였다. 100mM NaCl 처리 후, 총글루타치온 함량은 양상추 유묘의 뿌리에서 증가하였으나, 총아스코르빈산은 뿌리와 줄기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또한, NaCl 스트레스에 의한 spermidine 감소 현상과 spermine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뿌리 및 줄기에서 $N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K^+$, $Ca^{2+}$$Mg^{2+}$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K^+/Na^+$, $Ca^{2+}/Na^+$$Mg^{2+}/Na^+$ ratio 역시 감소하였다. 종합해보면, 이들 결과는 양상추 유묘에서 NaCl 처리에 의해 산화 스트레스가 유도되고, 그 결과 산화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한 대사과정의 변화로 판단된다.

벼 유묘에서 NaCl처리에 따른 식물 호르몬의 변동 (Phytohormones Responses to NaCl Treatment in Rice Seedling)

  • 민경수;황태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2-48
    • /
    • 1997
  • 벼의 10일된 유묘에 0, 50, 100, 150m㏖의 NaCl을 처리하여 수분 흡수와 생육 그리고 GA$_3$와 ABA, IAA, zeatin의 내생 호르몬 수준을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한 ELISA에 의해서 분석하였다. 1. 수분 함량은 50mM NaCl 처리에 의해서 동진벼, 삼강벼, 안나프르나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처리 5일째 수분함량은 동진(71%), 삼강(75%) 안나프르나(79%)순으로 높았다. 2. 염분처리에 의해서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은 모두 억제되었다. 지하부가 지상부보다 억제되었다. 지상부와 지하부는 안나프르나 <삼강벼<동진벼 순으로 생육이 억제되었다. 3. GA$_3$와 IAA는 염분처리에 의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감소되었으며 zeatin도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4. ABA는 염분 농도와 시간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염분처리 24시간에 크게 증가되었다. 특히 동진벼는 2n㏖에서 31n㏖ 까지 증가되었으나 안나프르나는 4.5n㏖에서 15n㏖까지만 증가되었다. 5. 수분 함량의 증감에 따라 식물호르몬의 함량이 변동됨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NaCl stress에 의한 몇가지 보리 품종들의 생육시기별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Barley cultivars grown on NaCl stress)

  • 조진웅;박기선;이석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
    • /
    • 2000
  • 본 연구는 몇 가지 보리 품종들을 공시하여 염해에 대처할 재배법 개선과 내염성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분얼기와 유수형성기에 NaCl stress를 처리하고 보리의 생육특성과 품종간 염해 반응을 조사하였다. 초장, 근장, 분얼수, 잎 수 등은 NaCl 처리로 감소하였으며 그 중 분얼수가 염해를 가장 많아 받았고, 염해를 받은 후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그 피해는 증대되었다. 그리고 분얼기에 처리한 것이 유수형성기에 처리한 것보다 NaCl stress를 더 받는 것을 보였다. 잎, 뿌리, 줄기로 구분한 생체중과 건물중 변화는 두 시기 모두 뿌리가 NaCl stress를 가장 심하게 받았다. 수량 구성요소 중 NaCl stress를 가장 많이 받는 것은 분얼기에 처리한 것이 100립중으로 무처리의 64.1% 였으며, 유수형성기에 처리한 것은 이삭 수로 무처리의 81.8% 였다. 수량구성요소로 살펴 본 NaCl sterss에 의한 품종간 차이는 분얼기에 처리한 경우 부농이 가장 약하였으며, 다음이 찰쌀보리, 동보리1호, 늘쌀보리 순이었으며, 유수형성기에 처리한 것은 늘쌀보리가 가장 약하였고 다음이 동보리1호, 부농, 찰쌀보리 순이었다.

  • PDF

NaCl 농도별 토양 처리에 대한 4수종의 생장 반응 (Growth Responses of 4 Species to NaCl Concentration in Artificial Soil)

  • 박우진;서병수;박종민;최충호;최수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35-743
    • /
    • 2010
  • NaCl 처리에 대한 물푸레나무, 모감주나무, 상수리나무, 참느릅나무의 생장반응을 살펴보기 위하여 NaCl 용액을 0, 25, 50, 100, 200mM 농도로 4개월간 처리하고 생존율, 상대생장율 변화, 생체중 및 건물중, 잎의 색소함량을 분석하였다. NaCl 처리에 따라 토양의 pH와 EC가 증하였으며,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4수종의 생장율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최종 생존율이 가장 높은 수종은 참느릅나무로서 200mM 처리구에서 15%의 생존율을 보였고, 나머지 3수종은 200mM 처리구에서 모두 고사하였다. 상대생장율, 생체중 및 건물중은 NaCl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총 엽록소 함량은 60일 후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감소하였으며, 모든 수종에서 NaCl 처리에 따른 총 엽록소 함량과 카로테노이드 함량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NaCl 처리 시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4수종의 생장반응을 종합한 결과 참느릅나무, 모감주나무, 물푸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내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NaCl 농도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I Concentration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L.))

  • 이강수;최선영;최철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40-350
    • /
    • 1995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염해반응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NaCl의 8개 농도에서 14개 품종(2배체:7 4배체:7)의 발아율과 유묘건물중, 엽록소 및 유리 proline함량을 조사하였다. 1. 발아율은 NaCl 300mM 이상에서 크게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에 대한 50%의 발아감소 NaCl농도는 344mM이었다. 2배체품종은 4배체품종보다 감소 정도가 컸으며 NaCl의 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에 대한 품종들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2. 지상부 건물중은 NaCl 166mM에서 대조구에 대한 50%의 감소율을 보여 발아기보다 유묘기에 NaCl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컸는데, 품종들의 발아율과 지상부 건물중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지하부 건물중은 NaCl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 정도가 커서 NaCl 148mM에서 50%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품종들의 지상부 건물중과 지하부 건물중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지상부 건물중과 지하부 건물중은 NaCl의 각 농도에서 2배체가 4배체보다 높았다. 5. Total 엽록소 함량은 NaCl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는다 엽록소 a가 엽록소 b보다 함량이 더욱 증가하였으며, 엽록소 a는 4배체가 2배체보다 높았으나 엽록소 b는 2배체가 4배체보다 높았다. 품종들의 엽록소 a함량과 지상부 건물중과는 NaCl 150mM 이상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6. 유리 proline함량은 NaCl처리에 의하여 현저히 축적되었는데 2배체와 4배체 사이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들의 지상부 건물중과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NaCl 처리와 감마선조사가 자주달개비 수술털 세포의 분홍돌연변이 유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Treatment and Gamma Ray Irradiation on the Induction Pink Mutations in Hairs of Tradescantia Stamen)

  • 김진규;김원록;김재성;김기남;홍광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47
    • /
    • 1999
  • NaCl과 방사선이 자주달개비 수술털 세포 분홍돌연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포트에서 생육된 Tradescantia 4430 식물체에 코발트 선원으로부터 0.3, 0.5, 1.0 및 2.0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NaCl 용액(170mM)의 분무처리는 방사선 조사 24시간전 및 후에 이루어졌다. CT 실험군, NaCl+${\gamma}$실험군 및 ${\gamma}$+NaCl 실험군에 있어서의 돌연변이 빈도가 증가한 고조기간은 방사선 조사 후 6∼12일로 나타났으며 돌연변이 빈도는 방사선량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반응관계를 보였다. CT 실험군에서의 선량반응식 기울기(증가계수)는 5.99($r^2$=0.99)이었으나, NaCl+${\gamma}$실험군의 증가계수는 4.55($r^2$=0.98), ${\gamma}$+NaCl 실험군은 4.33($r^2$=0.99)으로 CT실험군의 값에 비해 낮았다. 즉, 방사선 조사 전후에 NaCl을 처리한 실험군들이 방사선만 조사한 CT 조사군에 비하여 방사선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증가율이 24% 이상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NaCl 자체가 방사선에 의한 DNA 손상에 대하여 방어효과를 갖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