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_4

Search Result 39,242,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자기기록용 $Fe_4N$ 분말의 합성 및 자기특성 (Synthesis of $Fe_4N$ Powder and Its Magnetic Properties for Magnetic Recording)

  • 변태봉;오재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3-100
    • /
    • 1991
  • For determination the optimum manufacturing condition Fe4N powder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we have studied the following important conditions :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f metal powder on the nitridation, the condition of nitridation on the formation and magnetic properties of Fe4N, and stability of Fe4N powder against temperature and change on standing.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 1) Single phase Fe4N is formed at 50v/o of ammonia concentration during the nitridation reaction, 2) Single phase Fe4N is formed above 40$0^{\circ}C$, 15min regardless of the metal powder sizes, 3) Coercivity and saturation magnetization of Fe4N powder almost constant value until 20 day-passing from preparation date.

  • PDF

SELF-RECIPROCAL POLYNOMIALS WITH RELATED MAXIMAL ZEROS

  • Bae, Jaegug;Kim, Seon-Ho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0권3호
    • /
    • pp.983-991
    • /
    • 2013
  • For each real number $n$ > 6, we prove that there is a sequence $\{pk(n,z)\}^{\infty}_{k=1}$ of fourth degree self-reciprocal polynomials such that the zeros of $p_k(n,z)$ are all simple and real, and every $p_{k+1}(n,z)$ has the largest (in modulus) zero ${\alpha}{\beta}$ where ${\alpha}$ and ${\beta}$ are the first and the second largest (in modulus) zeros of $p_k(n,z)$, respectively. One such sequence is given by $p_k(n,z)$ so that $$p_k(n,z)=z^4-q_{k-1}(n)z^3+(q_k(n)+2)z^2-q_{k-1}(n)z+1$$, where $q_0(n)=1$ and other $q_k(n)^{\prime}s$ are polynomials in n defined by the severely nonlinear recurrence $$4q_{2m-1}(n)=q^2_{2m-2}(n)-(4n+1)\prod_{j=0}^{m-2}\;q^2_{2j}(n),\\4q_{2m}(n)=q^2_{2m-1}(n)-(n-2)(n-6)\prod_{j=0}^{m-2}\;q^2_{2j+1}(n)$$ for $m{\geq}1$, with the usual empty product conventions, i.e., ${\prod}_{j=0}^{-1}\;b_j=1$.

왕겨 바이오차의 암모늄태 질소(NH4-N)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queous Ammonium Using Rice hull-Derived Biochar)

  • 최용수;신중두;이선일;김성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5-160
    • /
    • 2015
  • 왕겨 바이오차의 $N_2O$의 배출을 감소하기 위한 $NH_4-N$의 흡착제로서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NH_4-N$ 용액을 이용하여 왕겨 바이오차의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NH_4-N$ 제거율은 왕겨 바이오차를 많이 첨가할수록 $NH_4-N$ 제거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에, 바이오차 무게(g) 당 $NH_4-N$ 흡착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왕겨 바이오차를 이용한 흡착실험 결과를 Langmuir 흡착등온식에 적용하여 최대 단분자층 흡착량($q_m$), 흡착 친화도(b), 무차원 상수 $R_L$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무차원 상수 $R_L$값이 0-1사이에 있어 Langmuir 흡착등온식을 잘 표현하였다. 따라서 왕겨를 소재로 제조한 바이오차는 흡착에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온실가스를 제어하기 위해 왕겨를 소재로 한 바이오차를 토양에 시용하였을 시 $N_2O$ 배출 감소를 위한 $NH_4-N$ 흡착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은 장식 이종접합 질화탄소를 이용한 가시광선 조건에서의 항생제 분해 연구 (Degradation of Antibiotics Using Silver Decorated Heterojunction Carbon Nitride under Visible Light)

  • 이태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3-27
    • /
    • 2023
  • 흑연질화탄소(g-C3N4)는 가시광선 조사 하에서 항생제 분해에 효과적인 광촉매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정공-전자쌍의 빠른 재결합은 광분해 효율을 제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g를 마이크로파 보조 분해 방법에 의해 g-C3N4/g-C3N4 iso-type 이종 접합 광촉매에 결합시켰다. X선 회절분석, UV-DRS, FT-IR, PL 분석을 통해 이종접합의 구조와 물성을 규명하였고, Ag 장식 g-C3N4/g-C3N4 이종접합 광촉매는 g-C3N4/g-C3N4 iso-type 이종접합 및 벌크 g-C3N4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Ag 장식 이종 접합 광촉매는 210분 이내에 가시광선 조사 하에서 설파메톡사졸 분해를 하여 우수한 광촉매 활성을 나타냈다. g-C3N4에 Ag의 첨가는 가시광선 흡수 범위를 넓히고 표면 플라즈몬 공명으로 인해 정공-전자쌍의 재결합을 제한하여 광촉매 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Cl_4$속에서 Thioacetamide의 N-C(S) 부자유회전에 미치는 몇가지 Amide의 영향 (Effect of Some Amides on the Hindered Rotation of N-C(S) Bond of Thioacetamide in $CCl_4$)

  • 노성구;최영상;윤창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86-490
    • /
    • 1987
  • $CCl_4$속에서 티오아세트산아미드(TA)와 몇가지 아미드(N,N-dimethylformamide (DMF), N,N-dimethylacetamide (DMA) and N,N-dimethylpropionamide (DMP)) 사이의 수소결합이 TA의 N-C(S) 결합 주위의 부자유 회전에 미치는 영향을 nmr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CCl_4$분율이 증가할 때 TA의 $NH_2$기의 양성자 nmr 스펙트럼은 이중선으로 뚜렷하게 분리되었으며, 그 정도는 DMF < DMA < DMP순으로 증가하였다. 이런 현상을 TA와 아미드사이의 분자간 수소결합으로 설명하였다.

  • PDF

중금속이온과 포단드와의 착물형성에 관한 연구

  • 최규성;강동현;김용성;이심성;허황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1-137
    • /
    • 2001
  • 황을 포함하는 포단드 리간드인 tri(phenylthio-2-ethy1) amine (Podand $N_1S_3$)과 tetra(phenylthio-2-ethyl)ethylenediamine (Podand $N_2S_4$) 그리고 tris(1-benzylaminoethyl)amine (Podand $N_4$)의 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의 양성자 첨가 반응에 의한 평형상수(protonation constant) 와 Zn(II), Cd(II), Pb(II), Hg(II) 이온과의 착물형성에 따르는 안정도 상수를, 양성자를 첨가한 95% MeOH 용액에서 전위차 적정법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리간드에 대한 양성자 첨가 반응의 평형 상수는 Podand $N_2S_4$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양성자 첨가 반응에 따른 평형 상수 뿐만 아니라, Zn(II), Cd(II), Pb(II), Hg(II) 이온과의 착물 형성에 따르는 안정도 상수의 크기, 엔타피, 엔트로피의 값 역시 Podand $N_1S_3$< Podand $N_2S_4$$N_4$ 순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 PDF

SOME NEW IDENTITIES CONCERNING THE HORADAM SEQUENCE AND ITS COMPANION SEQUENCE

  • Keskin, Refik;Siar, Zafer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16
    • /
    • 2019
  • Let a, b, P, and Q be real numbers with $PQ{\neq}0$ and $(a,b){\neq}(0,0)$. The Horadam sequence $\{W_n\}$ is defined by $W_0=a$, $W_1=b$ and $W_n=PW_{n-1}+QW_{n-2}$ for $n{\geq}2$. Let the sequence $\{X_n\}$ be defined by $X_n=W_{n+1}+QW_{n-1}$. In this study, we obtain some new identities between the Horadam sequence $\{W_n\}$ and the sequence $\{X_n\}$. By the help of these identities, we show that Diophantine equations such as $$x^2-Pxy-y^2={\pm}(b^2-Pab-a^2)(P^2+4),\\x^2-Pxy+y^2=-(b^2-Pab+a^2)(P^2-4),\\x^2-(P^2+4)y^2={\pm}4(b^2-Pab-a^2),$$ and $$x^2-(P^2-4)y^2=4(b^2-Pab+a^2)$$ have infinitely many integer solutions x and y, where a, b, and P are integers. Lastly, we make an application of the sequences $\{W_n\}$ and $\{X_n\}$ to trigonometric functions and get some new angle addition formulas such as $${\sin}\;r{\theta}\;{\sin}(m+n+r){\theta}={\sin}(m+r){\theta}\;{\sin}(n+r){\theta}-{\sin}\;m{\theta}\;{\sin}\;n{\theta},\\{\cos}\;r{\theta}\;{\cos}(m+n+r){\theta}={\cos}(m+r){\theta}\;{\cos}(n+r){\theta}-{\sin}\;m{\theta}\;{\sin}\;n{\theta},$$ and $${\cos}\;r{\theta}\;{\sin}(m+n){\theta}={\cos}(n+r){\theta}\;{\sin}\;m{\theta}+{\cos}(m-r){\theta}\;{\sin}\;n{\theta}$$.

니트로벤젠溶液 및 1,2,4-트리클로로벤젠溶液內에서의 브롬화갈륨과 n-브롬화프로필과의 相互作用 (The Interaction of Gallium Bromide with n-Propyl Bromide in Nitrobenzene and 1,2,4-Trichlorobenzene)

  • 권오천;김영철;이동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2-309
    • /
    • 1980
  • 니트로벤젠 및 1,2,4-트리클로로벤젠에서의 n-브롬화프로필의 溶解度를 19, 25, 40^{\circ}C$에서 브롬화갈륨이 있을 때와 없을 때에 각각 측정하여 보았다. 브롬화갈륨이 존재하지 않을때에 니트로벤젠에서의 n-브롬화프로필의 溶解度가 1,2,4-트리클로로벤젠에서보다 더 큰 점은 n-브롬화프로필과 니트로벤젠과의 상호작용이 1,2,4-트리클로로벤젠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브롬화갈륨이 존재할 때에는 溶液內에서 n-브롬화프로필과 브롬화갈륨의 1:1 complex, $n-C_3H_7Br\cdotGaBr_3$가 형성된다. 이 complex의 instability constant K를 계산하였다. $$n-C_3H_7Br\cdotGaBr_3 \rightleftarrows n-C_3H_7Br + \frac{1}{2Ga_2Br_6 }$$또한 이 complex의 解離에 대한 엔탈피, 자유에너지 및 엔트로피도 산출하였다. 브롬화갈륨과 브롬화알킨간의 complex의 안정도는 이들 알킬이온의 안정도와 상대적인 관계가 있다고 본다.

  • PDF

석탄회의 탄소가 첨가된 질화반응과 AlN, SiC 그리고 Si₃N₄의 생성분포 (Nitrogenation of Coal Ash in the Presence of Carbon and Product Distributions of AlN, SiC and Si₃N₄)

  • 양현수;홍원표;노재성;서동수;손응권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56-956
    • /
    • 1990
  • 석탄회의 탄소가 첨가된 질화반응시에 생성된 AIN, SiC 그리고 Si3N4 등의 생성물 분포를 반응온도, 시간 그리고 탄소의 첨가량에 따라 검토하였다. AIN의 조성은 시료입자가 작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반응온도 14500~1500℃와 약 2시간의 반응시간 그리고 약 30%의 탄소 첨가량 (시료무게 기준) 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SiC와 Si3N4 조성변화는 서로 상반된 경향을 보였으며 반응온도가 낮고 반응시간이 작으며 그리고 탄소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SiC의 조성은 Si3N4 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한국에서 이매패류 5종의 이성생식세포 발현 (Intersexuality of Five Bivalves Species in Korea)

  • 김혜진;전미애;주선미;강승완;김재원;이연규;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7-2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연안의 생태학적 건강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매패류 5종 (굴, 지중해담치, 바지락, 대복, 둥글레조개) 에서 발견된 이성생식세포 발현현상을 보고한다. 암컷에서 이성생식세포 발현 현상은 반대 성의 생식세포들이 난자형성소낭 내부와 소낭 사이에서 단독 또는 무리지어 나타나는 형태였다. 이성생식세포 발현 현상이 관찰된 정소에서 난모세포들은 대부분 난황형성전기 또는 난황형성개시기 단계였다. 이들은 단독으로 산재되어 있거나 또는 정자형성소낭의 내부와 소낭 사이에 무리지어 존재하고 있었다. 굴에서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약 10.4% (n = 19/183) 로 수컷 (9.7%, n = 13/134) 보다 암컷 (12.2%, n = 6/49) 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중해담치에서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약 31.7% (n = 19/60) 였으며, 수컷 (25.9%, n = 7/27) 보다 암컷 (36.4%, n = 12/33)에서 높게 나타났다. 바지락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11.2% (n = 11/98) 였는데, 암컷 (7.1%, n = 4/56) 보다 수컷 (16.7%, n = 7/42) 에서 높았다. 대복의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약 28% (n = 30/107) 로 암컷 (24.5%, n = 13/53) 보다 수컷 (31.5%, n = 17/54) 에서 높았다. 둥글레조개에서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약 18.4% (n = 7/38) 였는데, 수컷 (8.3%, n = 2/24) 에 비해 암컷 (35.7%, n = 5/14) 에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