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Q-Y15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8초

2-[(4- Cyanophenyl)amino] -3-chloro-1, 4- naphthalenedione (NQ-Y15)의 돌연 변이원성 (Mutagenicity of 2-[(4- Cyanophenyl)amino] -3-chloro-1, 4- naphthalenedione (NQ-Y15))

  • 김봉희;정기화;유충규;창동신;이기선;전선덕;소동수;채상호;문창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5권4호
    • /
    • pp.157-163
    • /
    • 2000
  • 2- [(4- Cyanophenyl)amino] -3-chloro-1, 4- naphthalenedione (NQ-Y15) was asssayed for its genotoxic potential by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and in vitro chromosome aberration test on Chinese hamster lung cells. In the Ames test, NQ-Y15 induced his + revertants of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and TA1537, reaching levels twice the negative control values. But, NQ-Y15 induced only his+ revertants of Salmonella typhimurium TA1537 more than twice the control values under the condition with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n the cytogenetic test on chinese hamster lung cells. NQ -Y15 showed significant chromosomal aberrations, but the incidenc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resence of metabolic activation.

  • PDF

정상 및 허혈/재관류 흰쥐 심장에 대한 2-클로로-3-(4-시아노페닐아미노 )-1,4-나프토퀴논 ( NQ-Y15 )의 작용 (Effects of 2-Chloro-3-( 4-cyanophenylamino )-1,4-naphthoquinone( NQ-Y15 ) on Normal and Ischemical/reperfused Rat Hearts)

  • 문창현;김지영;백은주;이수환;류충규
    • 약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829-836
    • /
    • 1997
  • Studies on the effect of quinones on cardiac function has been conducted with normal hearts. But not with injured hearts, I.e. ischemia/reperfusion-injured heart. Quinone compounds are known to produce oxygen free radicals during metabolism, and for this reason, quinones are implicated in the aggravation of ischemia/reperfusion injury or cardioprotection, as in the case of ischemic preconditioning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2-chloro-3-(4-cyanophenylamino)-1.4-naphthoquinone (NQ-Y15) on cardiac function of ischemic/reperfused and normal rat hearts. In isolated perfused hearts, various functional parameters such as left ventricular developed pressure (LVDP),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pressure (EDP) and maximum positive and negative dP/dt ($[\pm}dP/dt_{max}$), time to contracture, heart rate (HR) and coronary flow rate (CFR) were measured before and 30 min after dosing and following 25 min ischemia/30min reperfusion. NQ-Y15 increased LVDP, +dP/$d_{max}$and -dP/$dt_{min}$ by 18%. 30%, and 40%,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other haemodynamic parameters. After ischemia/reperfusion injury, pretreatment with NQ-Y15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VDP and $[\pm}dP/dt_{max}$, but an increase in EDP. LDH-release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Q-Y15 may augment the ventricular contractility but it makes hearts more vulnerable to ischemia/reperfusion injury.

  • PDF

유해 남조류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에 대하여 선택적 제어가 가능한 생물유래 살조물질 (Naphthoquinone 계열) (Novel Algicidal Substance (Naphthoquinone Group) from Bio-derived Synthetic Materials against Harmful Cyanobacteria, Microcystis and Dolichospermum)

  • 주재형;조훈;한명수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1호
    • /
    • pp.22-34
    • /
    • 2016
  • 유해 남조류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의 친환경적인 제어를 위해 생물유래 물질을 기반으로 한 Naphthoquinone(NQ) 계열의 녹조제어 물질을 개발하였다. NQ의 기본구조를 바탕으로 치환기 ($R_n$)를 변화시켜 총 92종의 NQ 유도체를 합성 확보하였고, 대상 남조류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에 대하여 농도별 살조효과를 평가하여 $1{\mu}M$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제어가 가능한 NQ 화합물을 각각 22종을 선정하였다. 그 중에서, NQ 40 물질은 최적 적용 농도인 $1{\mu}M$에서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 종에 각각 99.6%과 100%의 높은 제어효과가 관찰되었다. NQ 40 물질 ($1{\mu}M$)은 규조류 Stephanodiscus, Cyclotella와 와편모조류 Peridinium에는 살조효과가 없었으며, 대상 유해 남조류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NQ 40 물질의 급성독성을 평가 결과, Selenastrum capricornutum, Daphnia magna 및 Danio rario 종에 대하여 $EC_{50}$/$LC_{50}$ 값이 각각 3.2, 14.5 및 $15.7{\mu}M$로 측정되었다. 더불어, D. magna를 이용한 만성독성 평가 결과, NQ 40 물질 $1{\mu}M$에서 생존, 성장, 번식에 대한 영향은 없었다. 따라서, 최종 선정된 NQ 40 물질을 현장에서 $1{\mu}M$로 적용한다면, 다른 수생생물에 미치는 영향 없이 대상 조류인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 종만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친환경적인 살조물질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유해 남조류 제어를 위한 생물유래 살조물질 Naphthoquinone 유도체 (NQ 2-0)의 현장 적용 가능성 (A Field Application Feasibility of Biologically Derived Substances (Naphthoquinone Derivate: NQ 2-0) for the Mitigation of Harmful Cyanobacterial Blooms)

  • 주재형;박종성;최혜정;이헌우;한명수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3호
    • /
    • pp.130-141
    • /
    • 2017
  • 유해 남조류를 친환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개발된 생물유래 물질인 naphthoquinone (NQ) 유도체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흥 저수지 수변에 30 ton 규모의 mesocosm을 설치하여 현장 조건에서의 살조효과와 비생물학적, 생물학적 요인을 모니터링하였다. NQ 2-0 물질을 처리한 결과, 대조구에서는 대상 조류인 Microcystis sp.의 세포밀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처리구에서는 실험 초기 $7.9{\times}10^4cells\;mL^{-1}$에서 접종 후 점진적으로 세포수가 감소하여 10일차 $9.7{\times}10^2cells\;mL^{-1}$으로 대조구 대비 99.4% 감소하였다. 실험 종료시인 15일차에는 Microcystis sp. 세포수가 100% 제거되었다. 대상 조류인 Microcystis sp. 종만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과 식물플랑크톤 종 다양성 지수도 증진되었다. 또한, 식물플랑크톤을 제외하고 NQ 2-0 물질에 의하여 물리 화학적요인 (수온, 용존 산소, pH, 전기전도도, 영양염)과 생물요인 (박테리아, HNFs, 섬모충, 동물플랑크톤)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대조구와 처리구에서 유사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어린이 영양지수(NQ-C)를 이용한 중국 일부 어린이의 식행동 실태 평가 (Assessment of dietary behavior of Chinese children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 황예순;김혜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5호
    • /
    • pp.342-350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영양학회 한국암웨이에서 2012년에 개발한 어린이 영양지수 (NQ-C,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설문지를 이용하여 중국 산동성과 강수성 지역 초등학교 5, 6학년어린이 336명 (남학생: 166명, 여학생: 170명)의 식 행동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어린이의 평균 영양 지수 (NQ) 점수는 백점 만점에 69.5점으로 양호한 수준이었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개별영역별로는 균형점수 58.8점, 절제점수 84.9점, 다양점수 63.6점, 규칙점수 76.1점, 실천점수 73.6점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진단기준치와 비교해볼 때, 어린이들의 평균균형, 절제, 규칙, 실천 점수는 기준치에 비해 양호한 편이었으나, 다양 점수는 진단기준치에 미치지 못하였다. 2) 어린이 영양지수의 최상위 등급은 13.7%, 상위등급은 23.5%, 중위 등급은 50.3%, 하위는 9.5%, 최하위 등급은 3.0%로 나타나서 최상위와 상위 등급의 비율이 기대치인 10%와 15%를 넘었고, 반면 하위와 최하위 등급의 비율은 기대치보다 더 적어서 바람직한 모습을 보였으며, 남녀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3) 아버지의 학력은 어린이의 균형 점수, 규칙 점수와 상관성이 있었고, NQ 점수와도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어머니의 학력도 아버지와 비슷하게 균형 점수, 규칙 점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어머니가 취업을 한 경우 어린이의 규칙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조사대상자의 1일 운동 시간이 증가할수록 NQ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하루에 1시간 이상 운동을 하는 학생들은 운동을 하지 않는 학생들보다 균형, 다양, 규칙, 실천 영역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국 중소도시 어린이의 영양지수 평균 점수는 69.5점으로 양호하였고, 균형, 절제, 규칙, 실천 점수는 양호하지만, 다양성 점수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개발된 어린이 영양지수(NQ-C) 설문지는 비슷한 생활 패턴을 가진 중국 초등학생 의 식행동 실태 평가에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며, 조사대상 지역에 따라 영양지수 점수와 영역별 점수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NQ-C를 활용한 영양상태 평가 후에 각 지역에 맞는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djuvant 유발 관절염 랫트에 대한 삼기음의 효과 (Effects of Samki-eum ($s\bar{a}nq\grave{i}-y\check{i}n$ ) on Freund's Complete Adjuvant-induced Arthritic Rats)

  • 최은실;장홍규;권오곤;우창훈;안희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4
    • /
    • 2013
  •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favorable anti-arthritic effects of Samki-eum ($s\bar{a}nq\grave{i}-y\check{i}n$) on Freund's complete adjuvant (FCA)-induced arthritic Wistar rats. Methods Rheumatoid arthritis was induced by intradermal injection of FCA, and 300, 150 or 750 mg/kg of Samki-eum ($s\bar{a}nq\grave{i}-y\check{i}n$) were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14 days from 14 days after FCA treatments, and 15 mg/kg of dexamethasone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as reference drug in this experiment. All rats were sacrificed at 14 days after continuous oral treatment of Samki-eum ($s\bar{a}nq\grave{i}-y\check{i}n$) or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dexamethasone, and changes on the body weight, knee circumferences, gross arthritis score, inflammatory tissue prostaglandin (PG) $E_2$ levels were monitored with cartilage collagen components and glucosaminoglycans compositions - chondroitin sulphate, heparan sulphate and hyaluronic acid in the present study. Results As results of FCA treatment, classic rheumatoid arthritis featuring dramatical decreases on the body weights, cartilage collagen contents and bone glucosaminoglycans-chondroitin sulphate, heparan sulphate and hyaluronic acid contents, with increases on the knee circumferences, gross arthritis scores and inflammatory tissue $PGE_2$ levels. However, these changes from FCA-induced rheumatoid arthritis were clearly reduced by treatment of dexamethasone and both two different dosages of Samki-eum ($s\bar{a}nq\grave{i}-y\check{i}n$) 300 and 150 mg/kg in the present study. Although FCA-induced arthritis were more favorably inhibited by treatment of dexamethasone 15 mg/kg as compared with Samki-eum ($s\bar{a}nq\grave{i}-y\check{i}n$) 300 mg/kg, marked decreases of body weights were detected in dexamethasone 15 mg/kg treated rats, and Samki-eum ($s\bar{a}nq\grave{i}-y\check{i}n$) 300 mg/kg showed similar preserve effects on the cartilage glucosaminoglycan compositions in this study. Conclusion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over 300 and 150 mg/kg of Samki-eum ($s\bar{a}nq\grave{i}-y\check{i}n$) showed favorable anti-arthritic effects on the FCA-induced arthritis mediated by suppression of $PGE_2$, a inflammatory mediator. However, detail mechanism studies should be conduced in future with the screening of the biological active compounds in this herb. Although overall anti-inflammatory effects Samki-eum ($s\bar{a}nq\grave{i}-y\check{i}n$) 300 mg/kg were lowered than those of dexamethasone 15 mg/kg treated rats, Samki-eum ($s\bar{a}nq\grave{i}-y\check{i}n$) 300 mg/kg treated rats showed similar preserve effects on the cartilage glucosaminoglycan compositions in this experiment.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NQ-A,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 to assess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

  • 김혜영;이정숙;황지윤;권세혁;정해랑;곽동경;강명희;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2호
    • /
    • pp.142-157
    • /
    • 2017
  •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영양지수 중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Q-A) 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영양지수 평가항목 선정을 위해 식품섭취영역에서 20개 문항, 식행동 식습관 영역에서 21개 문항의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청소년 213명을 대상으로 1일의 식사섭취실태 조사를 포함한 파일럿 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항목 점수와 식사섭취실태 관련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24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시도별 집락별로 층화추출된 중고등학생 1,547명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청소년 영양지수의 평가 항목을 19개 항목의 5개요인으로 분류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평가 항목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추정된 경로계수를 가중치로 적용하였다. 청소년 영양지수를 위한 5개의 요인과 가중치는 각각 균형 0.25, 다양 0.15, 절제 0.25, 환경 0.15, 실천 0.20이었다. 균형 영역에는 과일 섭취 빈도, 흰 우유 섭취 빈도, 콩류 섭취 빈도, 생선 섭취 빈도의 4개 항목이 포함되었고, 다양 영역은 채소 반찬 섭취 빈도, 반찬 골고루 먹는 정도, 편식 정도의 3개 항목, 절제 영역은 과자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섭취 빈도, 가공 음료 섭취 빈도, 라면 섭취 빈도, 카페인 음료 섭취 빈도, 야식 섭취 빈도, 길거리 음식 섭취 빈도의 6개 항목, 환경 영역은 아침식사 빈도, 식탁에 앉아서 식사하는 정도, TV 핸드폰 컴퓨터 사용 시간의 3개 항목, 그리고 실천 영역은 영양 표시 확인 정도, 음식 먹기 전 손 씻는 정도, 운동 빈도의 3개 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수 (NQ-A) 평균 점수는 56.0점이었고, 세부 영역별로는 균형 58.6점, 다양 55.6점, 절제 48.1점, 환경 70.6점, 실천 52.1점이었다. 영양지수 점수와 각 영역별 등급은 전국 조사 결과의 백분위수 분포를 기준으로 75~100 백분위의 경우 '상' 등급, 25 ~ <75 백분위의 경우 '중' 등급, 0 ~ <25 백분위는 '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영양지수의 경우 63.1~100점은 '상' 등급, 49.0~63점은 '중' 등급, 0~48.9점은 '하'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는 19개 항목으로 구성된 식행동 체크리스트를 통해 영양지수 점수와 균형, 다양, 절제, 환경, 실천 영역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대적인 NQ 등급 부여를 통해 식사의 질과 식행동이 양호한 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용 영양지수 (NQ-A)가 청소년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 평가 및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등에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아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식행동 유형 분석 : 어린이 식행동 검사 (DBT)와 어린이 영양지수 (NQ) 활용 (Analysis of the types of eating behavior affecting the nutrition of preschool children: using the Dietary Behavior Test (DBT) and the Nutrition Quotient (NQ))

  • 심현미;한영신;이경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6호
    • /
    • pp.604-617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행동적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어린이 식행동 검사 (DBT)와 어린이영양지수 (NQ)를 활용하여 경산시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만 2~6세 유아의 부모 1,103명을 대상으로 식행동과 식품섭취상태를 평가하였다. 아이의 식행동을 접근회피성, 감각예민성, 과활동성 그리고 불규칙성의 4가지로 분류하고, 식행동 유형별 위험군을 분류하였다. 4가지 식행동 유형별 위험군 어린이들의 식습관과 영양섭취 수준을 파악하고자 양호군과 비교분석하여 유아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식행동 요인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조사대상자의 NQ점수는 절제요인 (80.5점), 규칙요인 (63.9점), 실천요인 (63.2점), 균형요인 (56.2점), 다양요인 (45.5점) 순으로 나타나 절제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영양불량으로 판정되었으며, 5개 등급을 구분한 결과 하위등급 (22.2%)과 최하위등급 (12.6%)이 전체 조사대상자의 1/3에 달하였다. 둘째, 4가지 식행동 유형별 위험군을 판정한 결과, 감각예민성은 28.7%, 접근회피성은 26.4%, 불규칙성은 25.7%, 과활동성은 22.2%으로 나타났다. 셋째, 4가지 식행동 유형별 위험군 어린이들의 식습관과 영양섭취수준을 파악하고자 양호군 어린이들의 어린이 영양지수 (NQ)와 비교분석 한 결과, 각 식행동 유형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접근회피성과 감각예민성 유형에서는 양호군에 비해 위험군이 균형과 다양요인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균형요인의 세부항목 중 잡곡밥, 과일, 콩 또는 콩제품, 달걀 섭취와 다양요인의 세부항목 중 반찬을 골고루 섭취하는지, 채소반찬의 섭취 가짓수, 김치섭취에서 유의하게 낮은 섭취빈도를 나타냈다. 과활동성 유형에서는 양호군에 비해 위험군이 절제요인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세부항목 중 단 음식 섭취에서 유의하게 높은 섭취 빈도를 보였다. 불규칙성 유형에서는 양호군에 비해 위험군이 다양과 규칙 및 실천요인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다양요인의 세부항목 중 반찬을 골고루 섭취하는지, 채소반찬의 섭취 가짓수, 김치섭취에서, 규칙요인 중 아침식사와 규칙적인 식사 빈도에서, 실천요인 중 음식 꼭꼭 씹어먹기와 식사 전 손씻기 빈도에서 유의하게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기존의 획일적인 영양교육프로그램이 아닌 각 아이의 기질을 바탕으로 한 맞춤형 영양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삼기음(三氣飮)이 흰쥐의 Monosodium Iodoacetate 유발 골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mgi-eum(Sānqì-yǐn) Treatment on the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s in Rats)

  • 이경무;정수현;김순중;서일복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31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mgi-eum($S{\bar{a}}nq{\grave{i}}-y{\check{i}}n$) on the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s in rats. Methods : Osteoarthritis was induced by injection of monosodium iodoacetate intraarticularly in both knee joints. Arthritic rats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treated group. Control group were taken distilled water for 20days. Treated group were taken extracts of Samgi-eum($S{\bar{a}}nq{\grave{i}}-y{\check{i}}n$) by orally for the same duration. Normal group were injected normal saline and taken distilled water. Body weights were measured at 0, 5th, 10th, 15th, 20th day after injection.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gross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n the articular cartilages of the knee joints were performed. Proteoglycan contents of articular cartilages were analyzed by safranine O staining method. The contents of $TNF-{\alpha}$, $IL-1{\beta}$ and IL-6 in synovial fluids were analyzed by ELISA method. Results : 1. Body weights of the 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at 20days after injection. 2. Grossly, the severity of osteoarthritis in the treated group were alleviated compared with control. 3. Histopathologically, degenerative and necrotic lesion of articular cartilages in the treated group were alleviat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and histopathological scores of 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4. PG contents in articular cartilages of the 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5. $TNF-{\alpha}$ contents in synovial fluids of the 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Conclusions : According to above results, Samgi-eum($S{\bar{a}}nq{\grave{i}}-y{\check{i}}n$) has anti-arthritic effects on the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s in rats. And it is related with reduced secretion of $TNF-{\alpha}$ from osteoarthritic chondrocytes and synovial membranes.

Child health promotion program in South Korea in collaboration with U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Improvement in dietary and nutrition knowledge of young children

  • Lim, Hyunjung;Kim, JiEun;Wang, Youfa;Min, Jungwon;Carvajal, Nubia A.;Lloyd, Charles W.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5호
    • /
    • pp.555-562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Childhood obesity has become a global epidemic. Development of effective and sustainable programs to promote healthy behaviors from a young age is important.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an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to promote healthy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among young children in South Korea by adaptation of the U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Mission X (MX) Program. SUBJECTS/METHODS: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4 weeks of fitness and 2 weeks of nutrition education. A sample of 104 subjects completed pre- and post- surveys on the Children's Nutrition Acknowledgement Test (NAT). Parents were asked for their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two 24-hour dietary records, the Nutrition Quotient (NQ) at baseline and a 6-week follow-up. Child weight status was assessed using Korean body mass index (BMI) percentiles. RESULTS: At baseline, 16.4% (boy: 15.4%; girl: 19.2%) of subjects were overweight or obese (based on $BMI{\geq}85%tile$). Fat consump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normal BMI children ($48.6{\pm}16.8g$ at baseline to $41.9{\pm}18.1g$ after intervention, P < 0.05); total NQ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66.4 to 67.9 (P < 0.05); total NAT score significantly improved in normal BMI children (74.3 at baseline to 81.9 after the program), children being underweight (from 71.0 to 77.0), and overweight children (77.1 at baseline vs. 88.2 after intervention, P < 0.001). CONCLUSIONS: The 6-week South Korean NASA MX project is feasible and shows favorable changes in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al knowledge among young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