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PK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6초

혼파초지에서 메탄발효폐액의 시용이 식생구성 , 수량 및 목초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quid Waste from Methane Fermentation on Botanical Composition , Dry Matter Production and Nutrient Quality of Pasture Mixtures)

  • 김정갑;신재성;임동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3-108
    • /
    • 1987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application rate of liquid waste from methane fermentation (LW) and its effect on botanical composition, dry matter yields and nutrient quality of pasture mixtures. Experimental fields was designed as a randomized block treated with NPK chemical fertilizer (NPK = 28-20-24 kg/lOa), NPK + Water 28 ton, 112 NPK + LW 28 ton, 112 NPK + LW 42 ton, LW 28 ton, LW 42 ton and LW 56 ton/lOa at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eon, 1985.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Vegetation of introduced pastures, both in grasses and legumes, was markedly increased in the plots treated with methane-liquid waste. However, heavy application of liquid waste tended to increase of native weeds such as Polygronum spp., Rumex spp. and Lactuca spp. 2. Crude protein contents was increased in the plants applied with liquid waste, but NFE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chemical fertilizer applied. The concentrations of crude fat and crude fibre were, however less affected by the fertilizer resource. Among cell-wall constituents, cellulose content was decreased as the liquid waste application rate increased, while hemicellulose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3. Productivity of the pasture was increased as the liquid waste application rate increased. The highest dry matter yields was obtained in the plot treated with LW 42 ton/lOa by 71 1 kg/lOa, which shows about 71% increments compared with those of chemical fertilizer treated. Net energy yields, both in starch value and NEL, were also markedly increased under liquid waste application. As a results, the optimum application rate of methane-liquid waste was found to be 42 ton in 10 a.

  • PDF

Effects of Lime Applications on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Rice Yields in Long-term Fertilization Experiment

  • Kim, Myung-Sook;Park, Seong-Jin;Lee, Chang-Hoon;Yun, Sun-Gang;Ko, Byong-Gu;Kim, Yoo-Ha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33-239
    • /
    • 2015
  • Monitoring of soil fertility and crop productivity in long-term application of fertilizers is necessary to use fertilizers efficient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continuous application of lime for rice cultivation from 1969 to 2014. The treatments were no lime treatments (N, NPK, NPKC, and NPKS) and lime treatments (N+L, NPK+L, NPKC+L, and NPKS+L). The application of lime in addition to N, NPK, and NPKC tended to increase pH, exchangeable Ca, and available $SiO_2$. The input of mean annual $1,170Mg\;ha^{-1}yr^{-1}$ of lime increased pH $0.0042yr^{-1}$, $0.0062yr^{-1}$, $0.0127yr^{-1}$, and $0.0041yr^{-1}$ in lime treatments (N+L, NPK+L, NPKS+L, and NPKC+L) compared with no treatments (N, NPK, NPKS, and NPKC), respectively. The mean annual Ca field balance varied from 169 to $561kg\;ha^{-1}yr^{-1}$in no treatments, from 871 to $1,263kg\;ha^{-1}yr^{-1}$ in lime treatments, indicating that Ca was accumulated in the soils. The mean annual Ca field balance in silicate fertilizer treatments (NPKS, NPKS+L)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because silicate fertilizer included Ca component. Grain yield of ric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o lime treatments and lime treatments. Thus the application of lime led to changes in soil chemical properties but had no impact on the production of rice.

화학비료 및 희비 장기시용에 따른 벼 뿌리 분포 특성 (Spatial Distribution of Rice Root under Long-term Chemical and Manure Fertilization in Paddy)

  • 전원태;박창영;조영손;박기도;윤을수;강위금;박성태;최진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84-489
    • /
    • 2003
  • 무기질 비료 및 퇴비를 36년간 장기 시용한 논 토양에서 벼 뿌리의 분포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무비, 퇴비단용, 삼요소, 삼요소+퇴비, 삼요소+규산구의 벼 뿌리 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은 평택통에 화삼벼를 주당 3본씩 손이앙 하였으며 삼요소구의 시비량은 N-$\textrm{P}_2\textrm{O}_5$-$\textrm{K}_2\textrm{O}$ kg $\textrm{ha}^{-1}$=150-100-100를 시용하였고 규산은 ha당 500kg, 퇴비는 ha당 10,000kg를 시용하였다. 근계특성 분포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상부의 건물중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뿌리 건물중은 삼요소구에 비하여 삼요소+퇴비에서 많았으며, 총근장은 무비에서 컸다. 뿌리 건물중은 삼요소+퇴비구에서 높았다 토심별 근장밀도(cm $\textrm{cm}^{-3}$)는 무비구의 주간하 0-5cm에서 가장 높았고 토심이 깊어질수록 적어지는 경향이었고 주하와 주간하의 차이는 심토로 갈수록 적어지는 경향이었으나 퇴비단용구는 토심 15-20cm의 주간하에서 주하와 차이가 컸다. 토심별 근중밀도(mg $\textrm{cm}^{-3}$)는 삼요소+회비구에서 가장 높았다. 비근장은 삼요소+규산구에서 가장 낮았다. 뿌리깊이 지수는 퇴비단용구가 높았으며 근장으로 계산한 지수가 근중으로 계산한 지수보다 높았다.

가축분 퇴비와 어분 액비 시용이 유기농 오이 생육 및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Assessment of Soil Properties and Growth of Organically Cultivated Cucumber (Cucumis sativus L.) with Applications of Livestock Manure Compost and Fish Meal Liquid Fertilizer)

  • 안난희;조정래;이상민;남홍식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3호
    • /
    • pp.23-31
    • /
    • 2018
  • 유기농 오이의 안정생산을 위한 양분관리 방법으로 가축분 퇴비와 어분액비 시용이 오이 생육과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은 가축분 퇴비 100% (LC100), 가축분 퇴비 50% + 어분액비 50% (LC50 + LF50), 가축분 퇴비 50% (LC50), 화학비료 (NPK), 그리고 무비 (NF) 등 5처리로 하여 처리구별 토양 화학성, 토양미생물 군집 변화, 그리고 오이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토양화학성의 경우에는LC50 + LF50 처리는 LC100 처리와는 EC 함량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으며 화학비료 처리와는 pH를 제외하고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냈다. 토양 미생물 군집의 경우에는 미생물 밀도는 처리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며 Microbial biomass C 함량은 NF, NPK 처리에 비해 가축분 퇴비, 액비와 같은 유기물 시용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각 처리에 의한 오이 생육을 비교한 결과, 오이 초장과 생체중은 LC100, LC50 + LF50, 그리고 NPK 처리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으나 NF와 LC50 처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오이 수량은 NPK 처리가 7,397 kg/10a으로 가장 많았지만 LC50 + LF50, 그리고 LC100 처리와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유기농 오이 재배에서 가축분 퇴비와 어분액비 시용으로 양분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물 관리와 유기물 시용이 다른 논에서 벼 식물체를 통한 메탄 배출의 계절변화 (Seasonal Change of Rice-mediated Methane Emission from a Rice Paddy under Different Water Management and Organic Amendments)

  • 신용광;이양수;안종웅;고문환;엄기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9
    • /
    • 2003
  • 물관리와 유기물 시용이 다른 논에서 메탄 배출을 측정하였다. 벼 식물체를 통해 배출되는 메탄을 측정하기 위하여 벼를 심은 chamber와 심지 않은 chamber를 반복으로 포장에 설치하였다. 기체시료는 벼 재배기간중 주 1회 채취하였다. 상시담수에서는 벼를 심은 NPK구, NPK(+P),는 $0.174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심지 않은 NPK구, NPK(-P),는 $0.046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벼를 심은 볏짚퇴비 시응구, RSC(+P), 는 $0.214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심지 않은 볏짚퇴비 시용구, RSC(-P),는 $0.076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볏짚을 2월에 시용하고 벼를 심은 시험구, RS2(+P), 는 $0.328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볏짚을 2월에 시용하고 벼를 심지 않은 시험구, RS2(-P),는 $0.1g\;CH_4\;m^{-2}\;d^{-1}$의 배출을보였다. 볏짚을 5월에 시용하고 벼를 심은 시험구, RS5(+P). 는 $0.414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볏짚을 2월에 시용하고 벼를 심지 않은 시험구, RS5(-P),는 $0.187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간단관개에서는 NPK(+P)는 $0.115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NPK(-P)는 $0.041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RSC(+P)는 $0.137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RSC(-P)는 $0.06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RS2(+P) 는 $0.204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RS2(-P)는 $0.09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RS2(+P)는 $0.273g\;CH_4\;m^{-2}\;d^{-1}$의 배출을 보였으나 RS5(-P)는 $0.13g\;CH_4\;m^{-2}\;d^{-1}$의 배출을 보였다. 상시담수 처리에서 벼 식물체를 통한 메탄 수송은 NPK구, RSC구 (볏짚퇴비를 5월에 시용한 구), RS2구(볏짚을 2월에 시응한 구)와 RS5구 (볏짚을 5월에 시용한 구)에서 각기 73.6 %, 64.5%, 69.5%, 54.8%였었고 평균 65.6%였었다. 간단관개처리에서 벼 식물체를 통한 메탄 수송은 NPK구, RSC구, RS2구와 RS5구에서 각각 64.3, 59.2, 55.9, 52.4였다.

규산질비료의 매년연용이 벼수량, 양분흡수 특성 및 토양화학성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Rice Yield, Nutrients' Use Efficiency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s Affected by Annul Application of Slag Silicate Fertilizer)

  • 김창배;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280-289
    • /
    • 2002
  • 논토양에 3요소 및 규산질비료 $1,500kg\;ha^{-1}$, $2,500kg\;ha^{-1}$를 26년간(1975~2000)매년 연용시 벼 수량 변화, 식물체 부위별 양분흡수량과 수량반응과의 관계분석 그리고 26년차 시험후 토양 화학성 변화에 대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6년차 벼 수량은 NPK 대조구에 비해 NPK+규산질비료 $1,500kg\;ha^{-1}$ 연용구 15%, NPK+규산질비료 $2,500kg\;ha^{-1}$ 연용구는 8%의 증수효과가 있었고, 26년간 5개년 평균수량도 규산 $1,500kg\;ha^{-1}$ 연용구가 $2,500kg\;ha^{-1}$ 연용구에 비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더욱 효과적이었다. 2. 규산질비료 $1,500kg\;ha^{-1}$ 연용구는 $2,500kg\;ha^{-1}$ 연용구에 비해 수확기 식물체의 질소, 칼리, 석회 및 고토의 흡수량이 많았고, 양분 이용율과 흡수양분효율도 높았다. 3. 수확기 벼 식물체 부위별 양분흡수량과 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곡질 중 양분흡수량 중에서는 질소, 고토가 볏짚 중에서는 칼리, 석회, 고토 등 양이온 흡수량이, 뿌리 중에서는 칼리와 규산의 흡수량이 벼 수량과 고도의 정의상관이 인정되었다. 4. 특히 26년차 시험 후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NPK+규산질비료 $1,500kg\;ha^{-1}$ 연용구가 유기물 CEC, 유효인산의 함량이 타처리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 되었다.

고랭지 당근재배지의 토양검정에 의한 NPK 시비기준량 (Recommendations of NPK Fertilizers based on Soil Testing and Yied Response for Carrot in Highland)

  • 이계준;이정태;장용선;황선웅;박철수;주진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467-471
    • /
    • 2009
  • 고랭지농업 환경에 적합한 당근재배지의 토양검정 시비기준을 설정하고자 표고 850m의 사양질 밭토양에서 N, P 및 K 비료의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고랭지 당근에 대한 안정 수량을 생산하기 위한 NP-K의 적정 시비배율은 현행 평난지 토양검정 기준량 대비 각각 0.75-0.50-0.50배이었다. 산출된 적정 시비배율을 현행 시비추천식에 적용하여 고랭지 여름작물인 당근에 알맞은 시비추천식으로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도출한 시비추천 방법에 의한 고랭지 당근의 NPK 시비량과 당근의 재배면적을 적용하여 산출한 화학비료의 총 절감량은 질소-인산-칼리의 경우 8.1-5.0-9.9톤으로 총합계는 23.0톤이었다. 이는 현행 평난비 시비량의 25~50%를 절감할 수 있는 양으로 고랭지에 본 연구결과의 시비추천식을 적용하면 고랭지 당근의 생산성도 유지하면서 고랭지 농업환경 오염을 경감할 수 있다.

고온 호기성 산화 시스템의 슬러지로부터 펠렛 비료의 생산과 Chinese cabbage의 생육 및 토양 특성에 대한 영향 (Production of Pellet Fertilizer from the Sludge of Thermophilic Aerobic Oxidation System End Its Effects on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and Soil Properties)

  • 이원일;;이명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1-110
    • /
    • 2004
  • 고온호기성발효장치(TAO system)로 발효 처리한 양돈분뇨고형물을 톱밥과 왕겨로 혼합한 뒤 성형건조장치를 이용하여 펠렛 비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 비료(TAO-PF)의 비료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배추를 이용하여 포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수확 후 생육량 및 토양의 생물, 이화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생육실험은 펠렛 비료(TAO-PF)를 포함하여 시판 상토(Bed soil), 발효고형물(TAO-S), 화학비료(NPK), 무비료(대조구)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제조된 발효펠렛(TAO-PF)의 상온저장성은 미생물의 증식경향으로 보아 수분 함량이 $18\%,\;25\%$ 처리구보다는 $12\%$ 처리구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배추를 이용한 각 처리구에서의 생육실험결과, 토양세균의 변화는 TAO-PF 처리구가 NPK, 무비료구 보다 처리기간중 증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방선균의 증가와 사상균의 감소현상은 NPK, 무비료 처리 에 비해 TAO-S, TAO-PF 처리구에서 현저하여 발효고형물의 토양시비가 토양생물상 변화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생육실험을 통해 배추의 구고, 구폭, 엽수 등으로 보아 TAO-S, TAO-PF 처리구는 각각 화학비료, 시판상토 처리구를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신개지(新開地)에 있어서의 대두증수(大豆增收) 요인분석(要因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Analysis of Factors for Soybean Yield Increase in Newly Reclaimed Soil)

  • 조재영;맹도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1호
    • /
    • pp.31-41
    • /
    • 1974
  • 신개지(新開地)에 있어서의 재배조건(栽培條件) 및 토양성질(土壤性質)의 변화(變化)가 대두수량(大豆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저 광교품종(光敎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재식밀도(栽植密度), 퇴비사용(堆肥施用), 석회(石灰)와 근류(根瘤) 균접종(菌接種) 및 요소용(要素施用)등의 4 요인(要因)을 4 반복(反復)의 $2^4$요인시험(要因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밀식(密植), 퇴비(堆肥), 3 요소(要素)의 시용(施用)으로 무처리구(無處理區) 보다 각각 1.7, 1.4, 2.1 배(倍)의 수량증가(收臺增加)를 표시(表示)하였고 또 밀식(密植)${\times}$퇴비(堆肥), 밀식(密植)${\times}$3요소(要素), 퇴비(堆肥)${\times}$3요소(要素), 밀식(密植)${\times}$퇴비(堆肥)${\times}$석회근류균(石灰根瘤菌)${\times}$3요소(要素)의 상호결합(相互結合)에 있어서는 각각 2.0, 3.0, 2.6, 5.4배(倍)의 수량증대(收量增大)를 보였다. 그러나 석회(石灰)와 근류균(根瘤菌)의 시용(施用)의 경우(境遇)에는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수량(收量)이 많을 경우(境遇)에 100 입중(粒重)도 큰 경향(傾向)이 인정(認定)되었다. (3) 전(全) 시험군(試驗區)의 pH는 대두재배(大豆栽培)에 의해서 중성화(中性化)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4) 퇴비(堆肥) 및 3 요소(要素)의 시용(施用)에 있어서는 토양(土壤)중의 부식(腐植), 전질소(全窒素), 유효인산의 함량(含量)이 증대(增大)되었다. (5) 자일수량(子實收量)의 처리구별(處理區別) 변동양상(變動樣相)은 토양(土壞)중의 유효인산(有效燐酸)의 함량(含量)과 밀접(密接)한 병행적(竝行的) 관계(關係)를 유지(維持)하면서 변동(變動)하였다.

  • PDF

장기간 시비조건에 (施肥條件)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 변화(變化)에 관한 (硏究) (Response of Weed Population to Long-term Fertilizer Application)

  • 구연충;오윤진;이종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0-56
    • /
    • 1983
  • 본(本) 시험(試驗)은 1982년도(年度)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따른 논 잡초분포(雜草分布) 상태(狀態)를 알기 위하여 15년간(年間) 동일(同一)한 포장(圃場)에서 동일(同一)한 시비방법(施肥方法)으로 재배(栽培)하여온 작물시험장(作物試驗場) 영년시비시험포장(永年施肥試驗圃場)에서 실시(實施)하였다. 처리내용(處理內容)은 무비구(無肥區), 무질소구(無窒素區), 무인산구(無燐酸區), 무가리구(無加里區), 3요소구(要素區), 3요소(要素)+퇴비구(堆肥區), 3 요소(要素)+생고구(生藁區), 3 요소(要素)+석회구(石灰區)의 8처리(處理)를 두고 진흥(振興)을 공시(供試)하여 각(各) 처리(處理)의 방임조건하(放任條件下)에서 잡초(雜草)의 발생상태(發生狀態)를 조사(調査)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l. 독새폴 발생(發生)은 토양인산함량(土壤燐酸含量)이 낮은 무비구(無肥區), 무인산구(無燐酸區)에서 발생되지 않았으며 3요소(要素)+석회구(石灰區)에서도 발생(發生)이 적었다. 2. 토양심도별(土壤深度別) 잡초발생본수(雜草發生本數)를 보면 5~10cm 토심(土深)에서 가장 많았으며, 처리별(處理別)로는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많은 3 요소(要素)+퇴비(堆肥), 3 요소(要素)+생고구(生藁區)에서 많았다. 3. 초종별(草種別) 우점도(優占度)는 물달개비는 3 요소(要素)+퇴비(堆肥), 무가리구(無加里區)에서, 올챙이고랭이는 3 요소(要素)+생고구(生藁區)에서, 올방개 및 가래는 3 요소(要素)+:석회(石灰) 및 무비구(無肥區)에서 높은 우점도(優占度)를 보였다. 4. 토양(土壤) pH별(別)로 보면 물달개비 및 올챙이 고랭이는 pH 6.0 이하에서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였으며, 올방개 및 가래는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적고 pH가 6~7에서 양호(良好)하였다. 5. 수도(水稻)에 대(對)한 제초제(除草劑) 'Perfluidone의 약해(藥害)는 무비구(無肥區) > 무인산구(無燐酸區) > 3 요소(要素)+석회구(石灰區)의 순(順)으로 심(甚)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