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GHT ARTIFICIAL LIGH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5초

Changes in nocturnal insect communities in forest-dominated landscape relevant to artificial light intensity

  • Lee, Hakbong;Cho, Yong-Chan;Jung, Sang-Woo;Kim, Yoon-Ho;Lee, Seung-Gy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218-227
    • /
    • 2021
  • Background: Artificial light at night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as a major factor adversely affecting global insect diversity. Here, we compared the insect diversity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specifically in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with no artificial light at night), with that of three nearby urban sites with a gradient of artificial light at night (five locations at each site).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artificial night lighting index, mean annual temperature, and field light intensity (lux) at night on the insect community structure. Results: The urban sites generally exhibited higher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as well as clear indicator species compared with the control site.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collected insects markedly differ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hree urban sites. The abundance of herbivorous and omnivorous insects increas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with the increase in light intensity. Species richness of herbivorous and omnivorous insects was likely correlated with the field light intensity at night and artificial night lighting index,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nighttime environment and marked changes in insect community structure and revealed consequent transition of ecosystem services by changes in trophic group composition.

야간 수면 중 약한 인공 빛 노출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im Artificial Light at Night (dALAN) Exposure during Sleep on Human Fatigue)

  • 조아름;조철현;윤호경;문정호;이헌정;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2호
    • /
    • pp.53-60
    • /
    • 2016
  • 목 적 : 야간 빛 노출은 현대 사회에서 만연해 있으나 야간 수면 중 약한 빛 노출(dim artificial light at night, dALAN)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은 잘 인지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 중 약한 빛 노출이 인간의 피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1세에서 29세까지의 건강한 남성 지원자 총 30명을 연구에 모집하였다. 그들은 빛 강도에 따라 두 그룹(Group A : 5 lux와 Group B : 10 lux)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연구 결과 자료는 빛 노출이 없는 밤(Night 1)과 두 가지 다른 약한 빛(5 혹은 10 lux)에 노출된 밤(Night 2) 다음 날 자가 보고된 피로도 척도를 통해 수집하였다. 결 과 : 야간 수면 중 약한 빛 노출은 전반적인 피로도(F = 19.556, p < 0.001)와 안구 불편감(F = 5.671, p = 0.028)의 증가와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팀에서는 야간 수면 중 약한 빛 노출이 인간의 피로도에 일부 측면에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야간 수면 중 약한 빛 노출이 인간의 피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Artificial Light at Night and Cancer: Global Study

  • Al-Naggar, Redhwan A.;Anil, Shir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0호
    • /
    • pp.4661-4664
    • /
    • 2016
  • Background: Artificial light at night (ALAN) has been linked to increased risk of cancers in body sites like the breast and colorectum. However exposure of ALAN as an environmental risk factor and its relation to cancers in humans has never been studied in detail. Objective: To explore the association of ALAN with all forms of cancers in 158 countries. Materials and Methods: An ecological study encompassing global data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June 2015, with age-standardized rates (ASR) of cancers as the outcome measure. ALAN, in the protected areas, as the exposure variable, was measured with reference to the Protected Area Light Pollution Indicator (PALI) and the Protected Area Human Influence Indicator (PAHI). Pearson's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for PALI and PAHI with ASR of cancers for 158 countries, adjusted for country populations, electricity consumption, air pollution, and total area covered by forest. Stratified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ountry income levels. Linear regression was applied to measure the variation in cancers explained by PALI and PAHI. Results: PALI and PAHI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SR of all forms of cancer, and also the four most common cancers (p < 0.05). These positive correlations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AHI with all forms of cancer, lung, breast, and colorectal cancer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Positive associations of PALI and PAHI with cancers varied with income level of the individual countries. Variation in all forms of cancers, and the four most common cancers explained by PALI and PAHI, ranged from 3.3 - 35.5%. Conclusion: Artificial light at night is significantly correlated for all forms of cancer as well as lung, breast, colorectal, and prostate cancers individually. Immediat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limit artificial light at night in the main cities around the world and also inside houses.

모바일 디지털 기기로 인한 빛공해가 수면과 일주기 리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Pollution from Mobile Digital Devices on Sleep and Circadian Rhythms)

  • 이윤정;조철현;이헌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27권1호
    • /
    • pp.1-7
    • /
    • 2020
  • Mobile digital devices are very familiar and useful devices in the daily life of modern people, and are used for various tasks such as communication, reading, writing, and playing media. As the use of mobile digital devices has become more prevalent, user time has also been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eople who use digital devices before sleep is growing. The light pollution associated with these devices i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urban sky glow, glare, light trespass, and clutter. The pattern in which modern people use digital devices corresponds to light pollution caused by light trespass and clutter from light exposure to artificial light at night. The light pollution caused by digital devices can cause melatonin secretion suppression, delayed sleep onset, reduction of sleepiness before bedtime, and periodic rhythm and cognitive function disturbances. In addition, a stud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howed there may be disturbances in the sleep-wake cycle and circadian rhythm, deterioration of sleep quality, and daytime fatigue due to light pollution caused by artificial light at night from mobile digital devices. A multi-faceted research effort is also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healthy use of mobile digital devices based on research evidence and insights with an accurate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mobile digital devices as a form of light pollution.

Landscape Analysis of the Effects of Artificial Lighting around Wetland Habitats on the Giant Water Bug Lethocerus deyrollei in Jeju Island

  • Choi, Ho;Kim, Heung-Tae;Kim, Jae-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2호
    • /
    • pp.83-86
    • /
    • 2009
  • We conducted a landscap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dverse effects of anthropogenic light sources, such as roads and residential buildings, on Lethocerus deyrollei on Jeju Island, Wetlands inhabited by L. deyrollei had fewer anthropogenic structures within a 3 km radius that had the potential to produce artificial light at night than wetlands not inhabited by L. deyrollei, In particular, the presence of artificial lights within a 1 km radius appears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inhabitation by L. deyrollei, Our results suggest that artificial light sources may be critical determinants of L. deyrollei inhabitation patterns in a landscape, and that habitats that have a buffer area of at least 600$\sim$700 m radius free from residential buildings are the most appropriate habitats for L. deyrollei.

광질 조절용 전구를 이용한 야파가 잎들깨의 개화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Light Sources for Night Break on Floral Induction and Growth in Perilla ocymoides L.)

  • 최영환;손병구;강점순;이용재;박현철;김근기;김용철;최인수;이유진;신우정;박영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0-156
    • /
    • 2008
  • 야파의 경비를 절감시키고 실제 농가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광질 조절 전구인 적색등, 청색등 및 삼색등을 구입하여 암기의 중간에 10분 동안 야파한 후 식물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물체당 잎의 수와 엽면적 및 생체중은 적색등과 삼색등으로 야파한 경우에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청색등 야파 및 야간의 완전암하에서 가장 적었다. 초장과 줄기의 직경은 적색등, 청색등 및 삼색등으로 조사하였을 경우에 야간의 완전암보다는 신장생장이 현저히 촉진되었다. 줄기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삼색 등으로 야파하였을 때에 가장 무거웠으며, 적색등 및 청색등의 순으로 생육이 촉진되었다. 적색등과 삼색등을 이용한 야파는 100일 후에까지 전혀 개화하지 않았으며, 야간의 완전암하에서는 약 85%, 청색광 야파는 31% 개화하였다. 야파후 개화에 소요되는 일수는 야간의 완전암하에서는 야파처리 약 60일 후, 청색광야파는 약 80일이었다. 야파 처리 80일 후에 광합성 율은 적색광으로 야파하였을 때에 가장 높았고 다음은 청색광이었으며, 삼색광하에서 가장 낮았다. 광보상점은 삼색등으로 야파한 경우에는 $20\;{\mu}mol\;m^{-2}{\cdot}s^{-1}$이하로서 낮았는데, 적색광과 청색광하에서는 $20\;{\mu}mol\;m^{-2}{\cdot}s^{-1}$ 이상으로서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백색광에 대한 쥐노래미의 반응 (Response of Rock Trout to the White Lights)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2권4호
    • /
    • pp.56-60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light intensity which induced maximum gathering rate and to observe the variation of the gathering rate both in daytime and at night by using rock trout, He.'~agrammos otakii (Jordan et starks). An experimental tank (360L x SOW x 55H cm) was set up in a dark room. An illumination system was attached to the end of one side of the tank to control horizontal light intensity. Six artificial light sources were prepared by combination of two light bulbs (5 W, 150 W) and seven filters. During the experiment water depth was maintained 50 em level in the tank. The tank was marked into six longitudinal sections each being 60 em long to observe the distribution of fish. The fish were acclimatized in dark condition for 50 minutes prior to the main experiment. Upon turning on the light, th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was counted 40 times every 30 seconds. and the gathering rate was obtained from the averag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The light intensity inducing maximum gathering rate was O. 7 lux (0. 5~1. 1 lux) in the daytime and 5. 2/ux (3.2-7.7 lux) at night. The variation of the gathering rate of fish in illumination time was sma II and showed the decreasing trend.

  • PDF

야간위성영상을이용한국립공원탐방성수기와비수기의빛공해특성분석 (Characterizing light pollution in national parks during peak and off-peak tourist seasons using nighttime satellite images)

  • 조우;성찬용;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4-48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탐방 성수기와 비수기에 따른 빛공해 특성 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 21개 국립공원 중 북한산과 무등산국립공원을 제외한 19개 국립공원의 빛공해는 2012년 10월(성수기)과 2013년 1월(비수기)에 촬영된 VIIRS(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센서의 DNB(Day and Night Band) 영상 중 구름과 달빛이 없는 시기에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추정하였고, bootstrapping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각 시기별로 어떠한 사회경제적, 정책적 요인이 국립공원 빛공해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국립공원 빛공해 특성은 탐방 성수기와 비수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탐방 성수기에는 국립공원 내부의 야간 조명보다 공원 인근 조명이 국립공원 내부의 빛공해 수준에 더 큰 영향을 주었고 비수기에는 공원 인근보다 공원 내부에 의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탐방 성수기에 국립공원 인근 야간 조명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 원인은 공원 인근의 숙박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의 야간 조명이 대기 중에서 산란되어 국립공원 내부로 침입하는 스카이글로우현상(sky glow effect)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는 국립공원 빛공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국립공원 내부 뿐 아니라 특별히 탐방 성수기 동안 인근 지역의 야간 조명을 규제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백색광에 대한 까치복의 반응 (Response od Striped Puffer to the White Light)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4권4호
    • /
    • pp.144-149
    • /
    • 1988
  • 광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까치복 Fugu xanthopterus에 광의 세기가 서로 다른 8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자극에 대한 수조내의 구간별분포는 광원쪽구간에 많이 모여 분포곡선은 대체로 L자형이 되었으나, 광의 세기에 따라 그 형태가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주야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2. 수중조도가 높아짐에 따라 광원쪽에서 더 많이 모이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주간보다 야간에 다소 많이 모였다. 3.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수중조도(적정조도)는 298.56 lux(188.44~444.96 lux)로써 주야간에 같았으며, 최대집어율은 주간에 47.30%, 야간에 50.43%로써 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집어율은 증가하거나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했으며 주야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 PDF

백색광에 대한 벵에돔의 반응 (Response of Rudder Fish to the White Lights)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5권2호
    • /
    • pp.37-43
    • /
    • 1989
  • 광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벵에돔 Girella punctata에 광의 세기가 서로 다른 8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자극에 대한 수조내의 구간별분포는 광원의 반대쪽 구간에 많이 모여 분포곡선은 L자형이 되었으나, 광의 세기에 따라 그 형태가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주야간이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2. 수중조도가 높아짐에 따라 광원쪽에 모이는 경향이 주간에는 적었으나 야간에는 더 많았다. 3.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수중조도(적정조도)는 주간에 2.98 lux(1.90~4.40 lux), 야간에 298.56 lux(188.44~444.96 lux), 야간이 더 높았으며, 최대집어율은 주간에 38.73%, 야간에 40.60%로서 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집어율은 증가한 후 감소하거나,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했으며 주야간의 차이도 다소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