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F- κB

검색결과 680건 처리시간 0.03초

Hsp90에 의한 NF-κB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IKKγ의 역할 (IKKγ Facilitates the Activation of NF-κB by Hsp90)

  • 이정아;김동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1-248
    • /
    • 2022
  • NF-κB는 염증과 선천성 면역에 중요한 전사인자이며 anti-apoptotic gene을 유도하여 세포의 생존과 발암에도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많은 신호전달분자 및 신호전달회로와 연결되어있다. 한편, Hsp90는 NF-κB의 활성을 조절한다는 보고가 이루어졌으나 그 구체적인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IKK compelx를 구성하는 인자들의 발현 plasmid를 이용하여 NF-κB의 활성조절에서 Hsp90와 IKKγ의 연관성 및 역할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Hsp90는 IκBα의 인산화와 분해를 촉진하여 NF-κB를 활성화시켰고, NIK과 LPS에 의한 NF-κB의 활성화는 Hsp90에 의해 더욱 활성이 증가하였다. IKKγ는 Hsp90에 의해 증가된 IκBα의 인산화와 분해를 더욱 촉진함으로써 Hsp90의 NF-κB 활성화 작용을 상승시켰다. 이러한 Hsp90와 IKKγ에 의한 NF-κB의 활성화 현상은 항상 활성화 된 상태를 유지하는 IKKβ-EE mutant를 이용한 검토에서도 입증되었다. 또한 IKKγ의 deletion mutant를 이용한 검토에서 IKKγ의 N-말단에 위치하는 IKKβ 결합부위와 C-말단에 위치하는 leucine zipper 및 zinc finger 부위는 IKKγ와 Hsp90의 NF-κB에 대한 상호협력적 촉진작용에 필요하지 않았다. 또한 Hsp90에 의해 촉진된 세포내 pro-inflammatory cytokine들의 발현은 IKKγ에 의해 더욱 상승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Hsp90와 IKKγ의 상호작용을 차단한다면 NF-κB의 과다활성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NF-κB 신호경로에서 CLK3의 새로운 음성 조절자로서의 기능 (CLK3 is a Novel Negative Regulator of NF-κB Signaling)

  • 전별은;권찬성;이지은;우예린;김상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833-840
    • /
    • 2022
  • 만성 염증은 종양의 발생 및 진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핵인자 kappa B (NF-κB)는 5개의 전사인자로 구성되며 염증 반응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다양한 암에서 NF-κB의 조절장애가 보고되고 있으며 NF-κB 조절이 암 치료에 있어 핵심 표적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CDC Like Kinase 3 (CLK3)를 NF-κB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새로운 키네이스임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CLK3가 정규 및 비정규 NF-κB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하는 것을 밝혔다. CLK3 과발현 또는 knock-down 세포주를 이용한 루시퍼레이즈 분석 결과, 이 키네이스는 TNFα와 PMA가 유도하는 정규 NF-κB 신호전달경로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CLK3 과발현은 잘 알려진 비정규 NF-κB 신호경로 유도제인 NF-κB-inducing kinase (NIK) 또는 CD40에 의한 NF-κB 활성을 저해하였다. 추가적으로 CLK3의 NF-κB 신호전달 저해기전을 설명하고자 TNFα 처리 후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이 키네이스 영향권 내에 있는 NF-κB 신호경로 분자들을 식별하였다. 그 결과 CLK3가 TAK1, IKKα/α, p65, IκBα 및 ERK1/2-MAPK의 인산화/활성화를 저해하여 TNFα 처리로 유도된 NF-κB 및 MAPK 신호경로를 모두 억제함을 밝혔다. 앞으로의 연구는 CLK3가 정규 및 비정규 NF-κB 경로를 억제하는 기작을 밝히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위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CLK3가 NF-κB 신호전달경로의 새로운 음성 조절자로써 기능함을 제시하였다.

Hsp70와 IKKγ에 의한 NF-κB 활성억제의 상승효과 (Hsp70 and IKKγ Synergistically Suppress the Activation of NF-κB)

  • 김미정;김가혜;김문정;김진익;최혜정;문자영;주우홍;김동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991-998
    • /
    • 2016
  • NF-κB는 anti-apoptotic gene을 유도하는 전사인자로서 대부분의 세포의 생존에 필요하다. 그러나 NF-κB가 많은 종류의 암세포에서 지속적으로 과다 활성화됨이 알려지면서 NF-κB의 활성억제가 암의 예방과 치료에 유효하다는 점이 알려지게 되었다. 한편, Hsp70가 NF-κB의 활성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Hsp70를 이용한 암예방과 치료가 주목받게 되었으나 아직 Hsp70에 의한 NF-κB의 활성조절기전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Hsp70에 의한 NF-κB의 활성조절과정에서 IKK complex의 구성성분인 IKKγ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IKKγ의 wild type과 deletion mutants를 이용하여 Hsp70와 관련된 NF-κB의 활성조절을 연구한 결과 Hsp70는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억제효과는 IKKγ가 과발현되었을 때 더욱 증가하였다. 또한 IKKγ의 N-말단의 IKKβ 결합부위와 C-말단의 Leucine zipper 및 Zinc finger부위는 Hsp70와 연관된 NF-κB억제작용에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sp70와 IKKγ에 의한 NF-κB의 활성억제는 IκBα의 인산화와 분해를 저해함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AW264.7 macrophage세포에서 LPS에 의한 COX-2의 발현유도는 Hsp70와 IKKγ가 동시에 발현 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Hsp70에 의한 NF-κB의 활성억제작용은 IKKγ에 의해 상승됨을 알 수 있었으며, Hsp70와 IKKγ를 적절히 이용하면 NF-κB의 과다활성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F-κB signaling을 통한 Rosa davurica Pall.의 NO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Rosa davurica Pall. on LPS-mediated Nitric Oxide Productionvia NF-κB signaling)

  • 권순표;이선령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0-55
    • /
    • 2023
  • 본 연구는 Rosa davurica Pall. 잎 추출물의 염증 억제 효과 및 그 조절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Rosa davurica Pall. 잎 추출물의 항염 평가는 LPS로 자극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생성되는 NO와 iNO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Rosa davurica Pall. 추출물의 처리는 농도의존적으로 LPS에 의한 NO 생성과 iNOS 단백질의 발현을 유의미하게 억제하였고 500 ㎍/ml의 고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Rosa davurica Pall. 추출물은 LPS에 의해 인산화된 IκB 발현을 억제하였고 LPS에 의해 활성화된 NF-κB의 인산화를 약화시킴으로써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NF-κB signaling 특이 저해제인 PDTC와 Rosa davurica Pall. 추출물의 동시 처리는 각각 처리군에 비해 NO 생성과 iNOS 단백질 발현을 더욱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Rosa davurica Pall. 추출물이 NF-κB signaling 조절에 의해 NO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LPS에 의한 대식세포 염증 반응을 제어하고 있음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정환의 $NF-{\kappa}B$ 활성화 기전을 통한 COX-2 저해 기전 (Inhibition of COX-2 gene expression via $NF-{\kappa}B$ pathway by Ichungwhan)

  • 손명용;정지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0-98
    • /
    • 2004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Ichungwhan for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COX-2) gene expression via suppression of NF-κB (nuclear factor κB) using aged rats. NF-κB is the most important modulator of inflammation and NF-κB regulates the gene expression of several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COX-2. Methods : In the experiment, we investigated the scavenging property of Ichungwhan on reactive species (RS) including nitrogen-derived species (RNS), measured by DCF-DA (2,7-dichlorodihydrofluorexcein diacetate) / DHR 123 (dihydrorhodamine 123) assay.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COX-2, NF-κB, p-ERK and p-p38 were assayed by western blot. Results : We showed that Ichungwhan inhibits RS including RNS and inhibits NF-κB activation by blocking the dissociation of inhibitory IκB-β via suppression of IKK pathway. Also, Ichungwhan inhibits COX-2 gene expression.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chungwhan modulates COX-2 gene expression via suppression of the NF-κB pathway.

  • PDF

The Tumor Suppressor, p53, Negatively Regulates Non-Canonical NF-κB Signaling through miRNA-Induced Silencing of NF-κB-Inducing Kinase

  • Jang, Hanbit;Park, Seulki;Kim, Jaehoon;Kim, Jong Hwan;Kim, Seon-Young;Cho, Sayeon;Park, Sung Goo;Park, Byoung Chul;Kim, Sunhong;Kim, Jeong-H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3권1호
    • /
    • pp.23-33
    • /
    • 2020
  • NF-κB signaling through both canonical and non-canonical pathways plays a central role in immune responses and inflammation. NF-κB-inducing kinase (NIK) stabilization is a key step in activation of the non-canonical pathway and its dysregulation implicated in various hematologic malignancies. The tumor suppressor, p53, is an established cellular gatekeeper of proliferation. Abnormalities of the TP53 gene have been detected in more than half of all human cancers. While the non-canonical NF-κB and p53 pathways have been explored for several decades, no studies to date have documented potential cross-talk between these two cancer-related mechanisms. Here, we demonstrate that p53 negatively regulates NIK in an miRNA-dependent manner. Overexpression of p53 decreased the levels of NIK, leading to inhibition of the non-canonical NF-κB pathway. Conversely, its knockdown led to increased levels of NIK, IKKα phosphorylation, and p100 processing. Additionally, miR-34b induced by nutlin-3 directly targeted the coding sequences (CDS) of NIK. Treatment with anti-miR-34b-5p augmented NIK levels and subsequent non-canonical NF-κB signaling. Our collective findings support a novel cross-talk mechanism between non-canonical NF-κB and p53.

Wnt-C59 inhibits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by reducing the interaction between β-catenin and NF-κB in LPS-stimulated epithelial and macrophage cells

  • Jang, Jaewoong;Song, Jaewon;Sim, Inae;Yoon, Yoosi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5권4호
    • /
    • pp.307-319
    • /
    • 2021
  • Dysregulation of the Wnt pathway causes various diseases including cancer, Parkinson's disease, Alzheimer's disease, schizophrenia, osteoporosis, obesity and chronic kidney diseases. The modulation of dysregulated Wnt pathway is absolutely necessary.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the mechanism of action of Wnt-C59, a Wnt signaling inhibitor,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epithelial cells and macrophage cells. Wnt-C59 showed a dose-dependent anti-inflammatory effect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L6, CCL2, IL1A, IL1B, and TNF in LPS-stimulated cells. The dysregulation of the Wnt/β-catenin pathway in LPS stimulated cells was suppressed by WntC59 treatment. The level of β-catenin, the executor protein of Wnt/β-catenin pathway, was elevated by LPS and suppressed by Wnt-C59. Overexpression of β-catenin rescued the suppressive effect of Wnt-C59 on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and nuclear factor-kappa B (NF-κB) activity. We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β-catenin and NF-κB, measured by co-immunoprecipitation assay, was elevated by LPS and suppressed by Wnt-C59 treatment. Both NF-κB activity for its target DNA binding and the reporter activity of NF-κB-responsive promoter showed identical patterns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β-catenin and NF-κB. Al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Wnt-C59 is mediated by the reduction of the cellular level of β-cateni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β-catenin and NF-κB, which results in the suppressions of the NF-κB activity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NF-κB 활성 조절을 통한 Lactobacillus johnsonii 파쇄액의 항염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actobacillus johnsonii Lysate via Regulation of NF-κB Activity)

  • 차화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5-29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김치유래의 Lactobacillus johnsonii의 anti-inflammation 효능을 확인하였다. Rat 유래 대식세포인 Raw 264.7세포에 Lactobacillus johnsonii 파쇄물을 처리하여 염증유발 marker인 TNFα와 IL1β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250 ㎍/mL 추출물을 처리시 1 ㎍/mL LPS를 처리한 대조군 대비 각각 40.55%와 34.66%의 TNFα와 IL1β의 발현량 감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LPS에 의한 cytokine 발현의 핵심 전사인자인 NF-κB의 전사활성을 확인한결과 1 ㎍/mL LPS를 처리한 대조군 대비 NF-κB의 전사활성은 40.76%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통해 Lactobacillus johnsonii 파쇄물은 LPS에 의한 cytokine의 발현을 방지 및 NF-κB전사활성 조절을 통해 항염 또는 피부진정 기능성 소재로써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지질 다당류에 의한 미세먼지(PM2.5) 유발 염증 반응 증진에 미치는 ROS-NF-κB 신호 전달 경로의 역할 (The Role of ROS-NF-κB Signaling Pathway in Enhancement of Inflammatory Response by Particulate Matter 2.5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 권다혜;김다혜;김민영;황보현;지선영;박세광;정지원;김미영;이혜숙;정재훈;남수완;황혜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10-111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LPS가 처리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염증 반응이 미세먼지(PM2.5)에 의해 더욱 증가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LPS와 미세먼지(PM2.5)가 단독으로 처리되거나 LPS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미세먼지(PM2.5)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서 염증 매개변수와 ROS의 생성 정도 및 염증 조절 유전자들의 발현 수준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세포 독성이 없는 범위에서 LPS가 처리된 세포에서 미세먼지(PM2.5)는 염증성 매개 인자(NO 및 PGE2) 및 cytokine (IL-6 및 IL-1β)의 생성 수준이 각각의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매우 증가되었으며. 이는 이들의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LPS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 미세먼지(PM2.5)가 노출되었을 때, 핵에서 NF-κB의 발현이 더욱 증가하였고, 세포질에서는 NF-κB 뿐만 아니라 IκB-α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LPS와 미세먼지(PM2.5)의 단독 처리에 비하여 동시 처리된 경우 NF-κB 신호계의 활성이 더욱 증가하여 염증성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촉진에 기여하였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LPS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서 미세먼지(PM2.5)에 의해 ROS 생성이 크게 증가되었지만 NF-κB 억제제는 ROS의 생성을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ROS 생성을 인위적으로 억제하였을 경우, 미세먼지(PM2.5)에 의해 증가된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및 생성과 NF-κB의 활성화가 모두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LPS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서 미세먼지(PM2.5)에 의해 유도된 NF-κB 매개 염증반응의 증가는 ROS 생성 의존적 현상임을 시사한다.

Hibiscus syriacus Leaves Upregulate p62/SQSTM1 through TLR4/p38, JNK, and NF-κB/Nrf2 Signaling Pathway in RAW264.7 Cells

  • Seung Woo Im;Gwang Hun Park;Min Yeong Choi;Hae-Yun Kwon;Jin Boo Jeo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1-197
    • /
    • 2023
  • Autophagy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immune system (innate and adaptive immune system) against foreign pathogens. Autophagy of macrophages is used as a major indicator for developing vaccine adjuvants to increase the adaptive immune response. In this study, HSL increased p62/SQSTM1 expression. Inhibition of TLR4, p38, JNK, and NF-κB blocked HSL-mediated increase of p62/SQSTM1. HSL activated p38, JNK, and NF-κB signaling, but HSL-mediated activation of p38, JNK, and NF-κB signaling was reversed by TLR4 inhibition. In addition, HSL increased Nrf2 expression, but HSL-mediated Nrf2 expression did not occur in the inhibition of TLR4, p38, JNK, and NF-κB. Taken together, it is believed that HSL-mediated autophagy may be dependent on activating Nrf2 expression via TLR4-dependent activation of p38, JNK, and NF-κB in macroph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