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CS-Based Competency educatio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4초

패션 기획 분야 국가 직무 능력 표준(NCS)의 개발·보완 현황 고찰 및 도입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Fashion Planning NCS and the Way to Activate the Application of NCS to Fashion Planning Education)

  • 김세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9-80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of fashion planning to compare the fashion planning curriculum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colleges with NCS as well as suggest ways to activate the application of NCS to fashion planning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was employed based on references from the old and new homepages of NCS as well as fashion planning related subjects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college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fashion planning NCS was composed of 10 competency units. Competency units were composed of competency unit elements and performance criteria. The levels of the competency units and the competency unit elements were suggested based on 8 stag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competency units and the level of competency units between the old version and the revised version of fashion planning NCS. Second, considerable fashion planning related subjects seem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function level of recent college graduates. There were also omitted subjects which were required for recent college graduates. Third, the requirements for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s and education systems as well as the cooperation among industry, colleges, universities, and development part of NCS were suggested for the activation of NCS based education and the validation of NCS.

NCS기반 공학교육인증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습성과와 능력단위의 연관 기법 (Association of Program Outcomes and Competency Units for Curriculum Development of NCS Based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 박경환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59-65
    • /
    • 2020
  • This paper introduces the association method for the program outcome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competency unit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his association method can be used to efficiently develop an engineering curriculum that is based on both of the NCS and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The association method consists of an analysis phase, an association phase and a checking phase. We also deals with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dure that uses the proposed association of program outcomes and competency units. Also, we provide the application of this method to the computer engineering program for NCS-based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Thus we can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develop curriculums for the NCS-based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NCS 기반 역량 교육을 적용한 해군부사관과의 리더십 교육방안 연구 - 프로젝트와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 (Studies of Leadership Education for Using NCS-Based Competency Curriculum)

  • 유용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6_1호
    • /
    • pp.33-42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NCS 기반 역량 교육을 적용하여 해군부사관과에 적합한 리더십 교육방안을 고찰하는 것이다. NCS 기반 역량 교육을 적용한 리더십 교육은 지식과 경험을 통한 개별역량 통합적 활용을 키우는 것이다. 이에 따른 해군부사관과의 리더십 교육은 4단계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첫째, 역량 진단. 둘째, 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방향 설정과 프로젝트 구성. 셋째, 프로젝트를 통한 이론과 배경지식의 통합과 프레젠테이션을 통한 문제분석 및 해결방안의 의사소통 경험 제공. 넷째, 역량진단을 통한 학습 결과 제시이다. NCS 기반 역량 교육을 적용한 리더십 교육은 해군부사관과의 학생들이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프레젠테이션으로 발표함으로써 리더십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 방안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역량기반 사서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지표 및 콘텐츠개발 - NCS적용 타당성 분석 및 보완방안 연구 -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s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 이종창;권나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07-2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서직 역량기준을 조사하는 한편, NCS 및 사서직 역량요소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사서직 계속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출한 핵심역량에 대비하여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직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 설문조사, 초점집단면접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도출된 "NCS 역량기반의 사서직 계속교육체계(NCS-CPD)"는 각종 도서관에 근무하는 현장사서에게 필요한 전문 및 기초 핵심역량을 체계화하고 있다. 이 체계는 향후 사서직 계속교육 연구 및 현장에서의 균형있는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NCS를 활용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편 (Redesign of A College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오만덕;이승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651-662
    • /
    • 2014
  • 산업현장 적합형 전문직업인력 양성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전문대학교육이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 체제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NCS기반의 교육과정은 단순히 직무관련 지식과 스킬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적용 수준으로 역량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기존 교육과정과 차별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제작과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대학 사례연구로, 산업현장 및 수요자 요구, NCS 분류체계를 토대로 교육과정을 개편하였다.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절차에 따라 일부 교과목들이 신규 도출되거나 폐지되었으며, 학과 자체적으로 도출한 능력단위들이 교육과정에 추가 반영되었다. 개편된 NCS기반 교육과정을 토대로 전문직업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전문대학교육이 산업현장과 한층 밀착연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job performance competency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 함승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9-88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과 하위 요소를 도출하고 이들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 능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인 지역의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10개교를 선정하여 전문교과 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으로 교과 지도 영역, 생활 지도 영역, 학급 경영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등 5개 영역과 총 34개의 하위 요소가 도출되었다. 둘째, 직무수행능력 영역별 중요도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생활 지도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요구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수행능력의 하위 요소 중에서 NCS 학습모듈의 교수 학습 자료 제작 및 교재 재구성, NCS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노동법과 신자격법 등의 법규 지도 및 취업 지도, 생활 기록부 관리, NCS 관련 교사 연구 활동, NCS 관련 현장 실무 능력 향상 연수, NCS 연계 사업 업무 등의 중요도나 교육적 요구가 높았다. 넷째, NCS 관련 활동 경험의 유무에 따라 교과 지도 영역과 생활 지도 영역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NCS 관련 활동 경험이 있는 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하여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대 분야 자격재설계 종목의 NCS 수준의 타당성 분석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Feasibility of NCS Level of Qualification Redesign Categories in 7 Major Areas)

  • 강석주;우미혜;박영삼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47-53
    • /
    • 2016
  • New occupational qualification system built on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aimed to induce industries, the final appliers of qualification, to play a leading role in designing qualification and to spontaneously apply such qualification standard to employment and promotion so as to reinforce universality of qualification. In this study, we verified the validity of NCS level of qualification categories for 130 occupational fields by redesigning NCS-based new occupational qualification system with a focus on 7 major areas, including mechanical field, which were found to have wide-ranging social ripple effect throughout society and high acceptability in 2014. The results of study on suitability at qualification level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number of competency units for each qualification category, depending on area. New qualification covering 7 major areas included 15.3 competency units for each qualification category, which exceeds the number of competency units(about 10 units) in subdivided NCS. By field, some difference was found with 7.9 competency units for cultural field and 22.6 competency unit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ea. Second, preference above normal level was observed in the criteria, procedure and method for determining qualification redesigning. However, preference below normal level was exhibited in connection with possibility of linkage with overseas qualifications, although preference was above normal level in relation to the suitability of design/qualification level and qualification categories based on lifelong career development path within scope of NCS a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redesign of qualification categories. Second, we compared NCS level and SC(Sector Council level, and the results showed that NCS level was found to be somewhat well-defined. For the qualifications with different definitions, it was deemed difficult to determine superiority between NCS level and SC level. However, majority opinion indicate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follow NCS level because NCS was created through collection of opinions for a prolonged period.

NCS 기반 교육과 학습동기에 따른 학업성과 결정요인분석 (An Analysis of the Academic Achivement of Study Based on NCS-based Education and Learning Motives)

  • 강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53-359
    • /
    • 2018
  • 본 연구는 NCS기반 교육 및 학습동기와 학업성과간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정부의 NCS(국가직무능력표준)와 학습모듈 개발 장려에 따른 NCS 기반 교육의 실효성을 진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을 위해 우선, 실무중심 교육이 주를 이루는 항공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관련내용 척도를 개발하였다. 관련학과 학생들을 표본대상으로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교수역량,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으로 측정된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교육은 학업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영향요인으로 한 학습동기는 학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전자'교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규명과 상대적 중요도 분석 (A Study on Identification and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Microprocessor Course on NCS-based Curriculum)

  • 임종현;안미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14
    • /
    • 2018
  • NCS 기반 교육과정의 전문교과 교사는 더욱 전문화된 교수역량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 '전자' 교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을 규명하고, 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분석결과는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전자' 교과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은 8개의 주요 역량과 22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주요역량 간, 각 하위 역량 간 상대적 중요도 조사에서 각각 '소스코드 작성 역량'과 '타겟 시스템 회로도 활용 소스코드 작성 역량'이 최고 순위이다. 본 연구는 전자 교과의 핵심이 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개선 및 교사역량 강화를 제안하며, 직업교육 체계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역량 요소를 통해 교사 역량 개발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병원행정 전문인력 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for Hospital administrator based on the NCS)

  • 박남수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ort for quality improve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on hospital administrator through the comparison of competence of new employee and need of field experts based on NC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implemented the self-report survey about competency and need on job skills of hospital administrat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it is defined the point that is needed curriculum improvement and the competency gap between hospital and university hospital. This is support to be establish the base for the qualifi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hospital administrators. NCS is useful as standardized tool for identify the gap between need and competency and as suggestion for education improvement of hospital administra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