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CEP ATP III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초

비만하지 않은 성인 남성에서 대사증후군의 대리 표지자로서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Clinical Usefulness of Gamma Glutamyl Transferase as a Surrogate Marker for Metabolic Syndrome in Non Obese Adult Men)

  • 신경아;김은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46-155
    • /
    • 2020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을 예측하는 대리 표지자로서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gamma glutamyl transferase, GGT)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세 이상의 비만하지 않은 남성 7,155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은 NCEP-ATP III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 Third Adult Treatment Panel) 기준을 적용하였다. GGT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도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으며, GGT의 대사증후군 위험 예측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을 구하였다. 연령과 체질량지수와 무관하게 GGT 1사분위수보다 4사분위수에서 대사증후군 발병위험이 7.09배 높게 나타났다(p<0.001). 대사증후군 진단을 위한 GGT의 곡선아래면적(area under the curve)은 0.715였으며, GGT의 절단값(cut-off value)은 40.0 U/L, 민감도는 65.0%, 특이도 70.2%로 나타났다. 따라서 GGT는 대사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한 유용한 진단 지표로 판단된다.

중년 남성에서 대사증후군과 식이요인과의 관련성 (Dietary Factors and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Men)

  • 나대웅;정은;노은경;정지숙;최천호;박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4호
    • /
    • pp.383-394
    • /
    • 2010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2007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40세~64세 중장년 남성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파악하고 영양소 섭취량 등의 식이 요인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성인 남성 709명 중 설문조사, 건강 검진, 영양 조사의 연관성 가중치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와 설문에 대한 불충분한 응답으로 대사증후군 여부를 평가할 수 없는 348명을 제외한 총 361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정의는 2004년에 개정된 NCEP ATP III을 기준으로 하였고, 복부비만 항목은 아시아-태평양 비만치료지침의 기준을 사용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40-49세 26.0%, 50-59세 30.4%, 60-64세 54.5%로 나타났으며,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중 복부비만과 혈당치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사증군군과 유의한 관련을 보인 변수는 연령, 총흡연량, 외식 횟수였으며 에너지, 나트륨, 리보플라빈,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무기질 섭취량 등의 식이요인은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중년 남성에 있어서는 식이습관 중 외식 횟수가 대사증후군과 유의한 관련이 있어 이를 감소하고 개선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영양소 섭취량은 대사증후군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지만 이 부분에 대한 세밀하고 추가적인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표본코호트기반 고지혈증 약제의 저밀도 콜레스테롤 감소량 및 투약순응도 분석 (Analyzing association between low-density lipoprotein reduction by statin and adherence to medication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NHIS-NSC))

  • 김규진;전치혁;이혜선;김헌성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5호
    • /
    • pp.1027-1041
    • /
    • 2017
  • 고지혈증은 혈액 중에 지방 성분이 필요이상으로 많은 상태를 의미하며, 특히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달라붙어 심근경색증, 뇌경색 등의 다양한 심혈관계의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타틴은 대표적인 고지혈증 처방제로서 처방 받는 환자의 개별적인 특성 및 건강관리형태, 투약순응도 등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진다. 스타틴의 주요 효과는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것인데, 이는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NCEP-ATP III) 가이드라인에서 환자의 조건에 따라 정한 목표 수치에 도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의 감소량과 환자 별 목표 수치 도달여부를 각각 스타틴의 효과로 상정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구축한 표본코호트 DB를 이용하여 건강검진기록의 개별특성 (나이, 성별, 흡연, 운동 및 혈액검사결과)과 처방전 기록으로부터 투약순응도를 통합해서 저밀도 콜레스테롤 감소량 및 목표도달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남성에서 간 효소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Hepatic Enzymes in Metabolically Healthy Obese Men)

  • 신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8-255
    • /
    • 2017
  •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metabolically healthy obese, MHO)은 대사적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으며, 과도한 체지방에도 불구하고 인슐린 감수성을 유지하는 비만의 표현형이다. 이 연구는 20세 이상 70세 이하의 남성을 대상으로 비만과 대사적 이상 유무에 따라 MHNO, MHO와 MAO군으로 분류하여 간 효소의 차이를 알아보고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남성에서 간 효소가 대사적 이상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인지 그 임상적 의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 진단기준으로 대사적 이상을 평가하였으며, 비만 진단기준은 WHO에서 제시하는 아시아인의 기준을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최종 연구 대상자 9,683명 중 대사적으로 건강한 정상체중군(metabolically healthy non obese, MHNO) 2,878명,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군(metabolically healthy obese, MHO) 5,427명, 대사적으로 이상이 있는 비만군(metabolically abnormal obese, MAO) 1,378명 이었다. AST, ALT, GGT는 MAO군보다 MHO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나(각각 p<0.001), MHO군은 MHNO군보다는 간 효소치가 높게 나타났다(각각 p<0.001). 또한 간 효소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허리둘레,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C은 AST, ALT, GGT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남성에서 간 효소가 대사적 이상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인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 노인여성의 비만,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ccording to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Elderly Korean Women)

  • 신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4-311
    • /
    • 2016
  • 이 연구는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비만,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고, 비만 유형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비만 기준은 세계보건기구 아시아 태평양 기준에서 제시한 비만 기준을 따랐으며, 대사증후군은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의 진단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자 591명 중 정상군 272명, 단순비만군 124명, 복부비만군 19명, 비만-복부비만군 176명 이었다. 비만,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유병률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p=0.009), 고중성지방혈증(p=0.025), 복부비만(p<0.001), 대사증후군 진단 유병률(p<0.001)은 집단간 차이를 보였으며, 비만-복부비만군에서의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복부비만 기준에 따른 비만유형과 대사증후군 각각의 위험요인 및 대사증후군 진단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단순비만군에서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의 발생이 1.6배 높았으며(odds ratio, OR: 1.576,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1.006~2.469), 비만-복부비만군에서는 1.9배 높은 양상을 보였다(OR: 1.882, 95% CI: 1.266~2.799). 고중성 지방혈증은 정상군보다 비만-복부비만군에서 1.9배 높았다(OR: 1.904, 95% CI: 1.246~2.910). 또한 정상군보다 복부비만군에서 대사증후군 발생이 6.6배 높았으며(OR: 6.579, 95% CI: 2.233~19.385), 비만-복부비만군의 경우 10.6배 높은 양상을 보였다(OR: 10.638, 95% CI: 6.053~18.697).

Comparative Drug Evaluation of Atorvastatin versus Rosuvastatin in Pharmacotherapy of Korean Patients with Dyslipidemia

  • Park, Seon-Young;Lee, Myung-Koo;Lim, Sung-Ci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1호
    • /
    • pp.54-60
    • /
    • 2008
  • Dyslipidemia is the multiple lipid metabolic disorders which is one of the high risk factors for the atherosclerotic diseases. It increases the morbidity and mortality and therefore, must be treated with antilipidemic agents. HMG-Co A reductase inhibitors (statins), one of many antidyslipidemic agents, have shown to be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the various cholesterol levels. Especially, data from many comparative trials suggest that rosuvastatin is more effective than atorvastatin among many other statin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between rosuvastatin and atorvastatin in the treatment of Korean patients with dyslipidemia. Currently the Korean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based on the Korean health screening data suggests that Korean patients with dyslipidemia should be treated by the target cholesterol levels according to the Adult Treatment Panel III guidelines of the US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ATP III). We reviewed retrospectively all medical histories of the total 392 dyslipidemic patients with atorvastatin or rosuvastatin from June 1st, 2004 to August 31st, 2006 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Center. Patients were classified as total 4 groups by the NCEP-ATP III Guidelines. The numbers of enrolled patients were each 5 mg atorvastatin (n=34), 10 mg atorvastatin (n=148), 5 mg rosuvastatin (n=94) and 10 mg rosuvastatin (n=82). In comparison between groups, rosuvastatin groups in the lowering LDL-C had better efficacies, and the results were each 22% (5 mg atorvastatin), 33.3% (10 mg atorvastatin), 35% (5 mg rosuvastatin) and 41.3% (10 mg rosuvastatin) with the dose relationship (P=0.000). Rosuvastatin groups also have shown to be more significantly reducing Total Cholesterol levels compared to atorvastatin groups with the no dose relationship (P=0.000). In the lowering of non-HDL cholesteroles, rosuvastati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better efficacies than atorvastatin with the dose-relationship (P=0.000). Each medication groups did not demonstrate the differences in the changing of H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P=0.096, 0.309, respectively). In conclusion, rosuvastatin was better efficacious than atrovastatin in reducing LDL-C Total Chol, and Tg. Therefore, rosuvastatin is a good antilipidemic agents for Korean patients with dyslipidemia and it can use to minimize the morbidity and mortality related to the cardiovascular diseases in Korean.

한국성인의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운동부하 검사시 각 단계별 심근부담률의 적정 임계점 (Optimal Cutoff Points of Rate Pressure Product in Each Stage of Treadmill Exercise Test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 신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6-143
    • /
    • 2018
  • 심근부담률은 심근산소소비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지표로 심박수와 수축기 혈압의 곱으로 나타내며, 심근이 받는 부담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한국성인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운동부하 검사시 대사증후군에 따른 심근부담률의 적정 수준을 제시함으로써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낮추기 위한 심근부담률의 목표치를 설정하여 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은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의 Adult Treatment Panel (ATP) III에서 제시한 5가지 진단기준 중 3개 이상 충족하는 경우 대사증후군 진단군(MetS, N=25), 1~2개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를 대사증후군 전단계군(Pre-MetS, N=106), 5개의 진단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이 없는군(Non-MetS, N=65)으로 분류하였다. 운동부하검사는 Bruce 프로토콜에 따라 시행하였다. 심근부담률은(심박수${\times}$수축기 혈압)${\div}1,000$으로 구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사증후군 진단군에서 도달한 일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최대 수축기 혈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사증후군에 따른 운동부하 검사시 심근부담률의 최적 임계점은 운동부하검사 1단계에서는 $12.56mmHg{\times}beats/min{\times}10^{-3}$, 운동부하검사 2단계는 $16.94mmHg{\times}beats/min{\times}10^{-3}$, 운동부하검사 3단계에서는 $21.11mmHg{\times}beats/min{\times}10^{-3}$로 나타났다.

서울시내 일개 복지관에 내원하는 노인의 대사증후군 발생양상과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The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Lifestyle Factors among Older Adults)

  • 최승혜;최스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53-60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elderly. Methods: A total number of 122 elderly over 60 yr were recruited from a community elderly center. Elderly were classified into young old (60-74 yr) and old (75-84 yr).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by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Adult Treatment Panel III (ATP III). Abdominal obesity was determined by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criteria. The nutritional status was measured by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Results: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ld than young old elderly (p<0.05, respectively). Abdominal obesity and hypertension were the most common risk factors. The related factors to metabolic syndrome were high Body mass Index (BMI) and currently not participating in exercise. Abdominal obesity, low HDL cholesterol and hypertension were associated with specific nutrient intakes. Conclusion: A strategy to decrease the metabolic syndrome in the elderly is urgently needed particularly so for the old elderly. A nutritional and exercise program for young old elders may be helpful reducing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later stage.

40, 50대 여성 비만도와 연령 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비교 (Comparison of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Prevalence Forty and Fifty Something Women)

  • 김희승;오정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3-458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etabolic syndrome (MS) risk factor prevalence by obesity and age in middle-aged women. Method: Two hundred and fifty-on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tertiary care hospital in an urban city. MS was defined by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 Treatment Panel III)(ATP III), and obesity was determined by body mass $index(BMI){\geq}25kg/m^2$. Results: The mean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n-obese group. The prevalence of MS, hypertension,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n-obese group. In the forties,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n-obese group. In the fifties, body fat, sy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n-obese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nurse should focus on the obese fifty year old female patients for improvement of the MS risk factors.

타이치 운동이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Tai Chi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 엄애용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2-16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the Tai Chi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Subjects were sixty middle-aged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All of the subjects were met the criteria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n=33) trained the Tai Chi for 12 weeks and the control group (n=27).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cluding blood pressure, waist circumference, glucose, triglyceride (TG),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12-week period. Euro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5-Dimensional Classification (EQ-5D) was used to evaluat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diastolic blood pressure, waist circumference, glucose, and TG; and increase in HDL-C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valuatio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more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Tai Chi exercise may be effective intervention in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caused by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