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BR analysi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4초

유두컵 라이너의 물리화학적 특성 조사 (A Study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eat Cup Liners)

  • 이정치;박형련;김명선;이정길;이채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0-107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eat cup liners. The hardness of the liners was $50\~67$, and their fatigue to failure 38-1,185 cycles. The elongation and tensile strength of these liners were about $134 kgf/cm^2\;and\;473\%$, respectively. The infrared spectrum and the gas chromatogram revealed that the liner A was consisted of NR, SBR, and BR, with a composition ratio of 60:20:20 (part per hundred rubber). The raw rubber materials used for liners B to G, on the other hand, were NBR only. However, the liner H was made of silicon rubber. The thermogravimetric analysis showed that the liners tested in this study contained raw rubber material, carbon black, organic compounds and metallic compounds.

산불 지역 인공·자연복원에 따른 Landsat영상 기반 식생지수 비교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based on Landsat Images Variations between Artificial and Natural Restoration Areas after Forest Fire)

  • 노지선;최재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3-57
    • /
    • 2022
  • This study aims to classify forest fire-affected areas, identify forest types by the intensity of forest fire damage using multi-time Landsat-satellite images before and after forest fir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artificial restoration sites and natural restoration sites. The difference in the values of the Normalized Burned Ratio(NBR) before and after forest fire damage not only maximized the identification of forest fire affected and unaffected areas, but also quantified the intensity of forest fire damage. The index was also used to confirm that the higher the intensity of forest fire damage in all forest fire-affected area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coniferous forests, relatively. Monitoring was conducted after forest fires through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an index suitable for the analysis of effects by restoration type and the NDVI values for artificial restoration sites were found to no longer be higher after recovering the average NDVI prior to the forest fire. On the other hand, the natural restoration site witnessed that the average NDVI value gradually became higher than before the forest fires. The study result confirms the natural resilience of forests and these results can serve as a basis for decision-making for future restoration plans for the forest fire affected areas. Further analysis with various conditions is required to improve accuracy and utilization for the policies, in particular, spatial analysis through forest maps as well as review through site checks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forest fires. More precise analysis on the effects of restoration will be available based on a long term monitoring.

지형과 산불피해도와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form and Forest Fire Severity)

  • 이병두;원명수;장광민;이명보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8-67
    • /
    • 2008
  • 지형은 연료의 구성과 기상 및 산불로부터 발생하는 에너지의 흐름에 영향을 미쳐 산불행동에 관여하는 인자이다. 따라서 지형에 따른 산불피해도를 정략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면, 산불위험도 작성 및 진화대원 안전 확보에 있어 기초 자료로 응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삼척(2000년 발생), 청양(2002년 발생), 양양(2005년 발생) 산불을 대상으로 산불피해도를 분석하고 지형을 구분한 다음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두 인자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산불피해도는 산불 전후 Landsat TM 영상에서 추출한 정규탄화지수(Normalized Burn Ratio)의 차이를 이용하였다. 지형은 지형위치지수(Topographic Position Index)를 이용해 Weiss(2001)가 제시한 10개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산지수로, 능선, 산복사면 등의 지형에서 산불피해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곡저구릉, 평탄곡지, 평지 등의 지형은 산불피해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임상별로 세분해 보면 산불피해도는 침엽수림에서 활엽수림에 비해 지형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특허 출원인 간 상호협력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Patent applicants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ICT)

  • 주성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83-93
    • /
    • 2016
  • 본 논문은 우리나라 정보통신 분야의 특허출원인 간 네트워크 특성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특허 데이터를 토대로 정부 공공기관, 대학교, 대기업, 중소기업 등 각 혁신 주체의 네트워크 특성 요인과 특허피인용 횟수 간 관계를 소셜네트워크분석법(Social Network Analysis)과 부정적 이항분포 모델(Negative Binomial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정보통신분야 혁신 네트워크는 밀도 0.009의 좁은세상 네트워크 유형을 보이고 있다. 또한,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은 특허피인용수로 대표되는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에 반해, 구조적공백 지수 중 효율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제약성은 유의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본 네트워크의 혁신 주체 간 연결이 매우 가까워 정보 지식의 확산이 빠르다는 것이고, 이에 반해 정보 지식의 원천이 한정되어 있어 다양하고 창의적인 혁신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이 결과를 토대로 각 혁신 주체의 효율성 및 다양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접촉식 밀봉 링의 변형거동 안정성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Deformation Behavior Stability of Contact Sealing Rings)

  • 김청균;김도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7-5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3가지의 서로 다른 단면형상을 갖는 밀봉 링의 변형거동 안정성을 FEM으로 해석하였다. NBR 소재로 제조한 밀봉 링의 변형거동 안정성을 고찰하기 위해 초기 압축률로 25%를 적용하였다. 작동유체의 압력을 최대 $25kgf/cm^2$까지 올렸을 때 발생한 최대변형률, 최대응력, 최대접촉법선응력을 해석하였다. FEM 결과에 의하면, 밀봉 링의 중심부에 빈 공간을 확보한 중공오링과 중공사각링의 최대 변형률은 기존 오링에 비해 높아졌지만, 최대응력과 최대접촉법선응력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밀봉 링이 장수명의 내구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심부에 빈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렇지만, 접촉식 밀봉 링의 밀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밀봉 링을 하나의 몸체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권도 보호구 치수체계 제안 (A Suggestion of Sizing System for Developing Taekwondo Protectors)

  • 이경화;김혜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397-1406
    • /
    • 2008
  •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aekwondo trunk protector(Hogu) and head protector's sizing systems corresponding the regulations by World Taekwondo Association. These sizing systems were established using 2003-2004 Size Korea anthropometric data.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rrelation, most measurements had high relationship with weight for Hogu and head girth for head protector. Six sizes(47, 54, 59, 64, 70, 76) for Hogu and 4 sizes(52, 54, 56, 60) for head protector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Hogu sizes indicate body weights and head protector sizes express head girth measurements. By the comparison between current Hogu sizes and new sizes, the smaller sizes of new Hogu were bigger than current sizes in bust girth, back fastening length, shoulder length. On the other hand, the bigger sizes of new Hogu were larger than current sizes in bust girth, back fastening length, shoulder length. In addition, new Hogu's lengths were shorter than current Hogu in all sizes. The lengths of Neck to collar bone in new Hogu sizes were longer than current Hogu. In case of the head protector, there were no measurements besides outer circumference of helmet in recognized specifications of WTF. Therefore some referable measurements such as head girth, head length, bitragion arc, sagital arc were suggested in new size specification. When helmet sizes were suggested, the thickness of the NBR foam also were considered.

딥러닝과 Landsat 8 영상을 이용한 캘리포니아 산불 피해지 탐지 (Detection of Wildfire Burned Areas in California Using Deep Learning and Landsat 8 Images)

  • 서영민;윤유정;김서연;강종구;정예민;최소연;임윤교;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1호
    • /
    • pp.1413-1425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대형 산불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극심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식생이 소실되며, 그 강도와 발생 형태에 따라 생태계 변화에 영향을 끼친다. 생태계 변화는 다시 산불 발생을 유발하여 2차 피해를 야기한다. 따라서 산불 피해지에 대한 정확한 탐지 및 면적 산정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효율적인 산불 피해지 모니터링을 위해 산불 발생 후 실시간 지형 및 기상정보는 물론 피해지역의 영상을 대규모로 취득할 수 있는 위성영상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기반 모델부터 고성능 트랜스포머(Transformer) 기반 모델에 이르기까지 딥러닝 알고리즘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산림원격탐사에서 이를 적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적용된 딥러닝 모델은 제한적이며 현업에서의 합리적인 활용을 위한 정량적 성능평가에 대한 보고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델에 따른 성능향상과 데이터 설계에 따른 성능향상을 중점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을 대상으로 CNN 기반 모델의 U-Net, High Resolution Network-Object Contextual Representation (HRNet-OCR)을 활용하여 산불 피해지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기본 파장대역과 함께 식생활력도 및 지표의 수분함량 정도를 고려하고자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normalized burn ratio (NBR)와 같은 산불 관련 분광지수를 산출하여 입력 이미지로 사용하였다. U-Net의 mean intersection over union (mIoU)이 0.831, HRNet-OCR이 0.848을 기록하여 두 모델 모두 우수한 영상분할 성능을 보였다. 또한, 밴드 반사도뿐 아니라 분광지수를 추가한 결과 모든 조합에서 평가지표 값이 상승하여 분광지수를 활용한 입력 데이터 확장이 픽셀 세분화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딥러닝 방법론을 발전시킨다면 우리나라의 산불 피해지에 대한 신속한 파악 및 복구 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ndsat-8 위성영상 분석을 통한 산불피해 심각도 판정 및 영향 인자 도출 - 강릉, 동해 산불을 사례로 - (Determination of Fire Severity and Deduction of Influence Factors Through Landsat-8 Satellite Image Analysis - A Case Study of Gangneung and Donghae Forest Fires -)

  • 이수동;박경식;오충현;조봉교;유병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7-292
    • /
    • 2024
  • 지형적인 이질성이 심한 강원도, 경상북도에 집중되고 있는 대형 산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한 피해 평가를 통한 의사 결정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22년 3월 5일에 강원도 강릉 및 동해에서 발화하여 3월 8일 19시경 진화된 대형 산불을 대상으로, dNBR을 활용한 산불 심각도 산정과 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환경요인으로는 식생 또는 연료 유형을 대표하는 정규식생지수, 수종을 구분한 임상도, 수분함양을 나타내는 정규수분지수, 지형과 관련해서는 DEM 등을 수치화한 후 산불 심각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산불 심각도는 산불 피해 없음(Unbured)이 52.4%로 가장 넓었고, 심각도 낮음 42.9%, 심각도 보통-낮음 4.3%, 심각도 보통-높음 0.4% 순이었다. 환경요인의 경우 dNDVI, dNDWI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경사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식생과 관련해서는 산불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 dNDVI, dNDWI, 경사도 모두에서 침엽수, 활엽수, 기타의 집단간 차이가 p-value < 2.2e-16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침엽수와 활엽수의 차이가 명확하였는데, 강원도 지역에서 우점종인 소나무를 비롯하여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곰솔 등의 산불 심각도가 높아 침엽수가 활엽수에 비해 피해를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고속 철도 차량 횡댐퍼 오일 씰의 형상 단면 최적설계 (Optimum Design of Cross Section Lateral Damper Oil Seals for High Speed Railway Vehicle)

  • 황지환;김철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79-584
    • /
    • 2017
  • 고속 철도 차량 댐퍼의 오일 씰은 열차 운행동안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해한 오염을 막고, 댐퍼 내부에서 오일 누출을 방지하고자 사용되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재질 부품이다. 오일 씰의 주요 고장원인인 누유는 본 댐퍼의 피로 파손을 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본 오일 씰의 누적 손상은 궤도 불규칙과 캔트 등으로 열차 주행동안 반복적인 댐퍼의 상하 운동으로부터 로드와 본 부품 사이에 접촉력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본 오일 씰의 설계는 취약점에서 최대 주변형률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댐퍼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다중 섬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일 씰 단면형상에 대한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오일 씰의 최적단면은 절차 자동화 / 최적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최적설계와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의 통합절차에 따라 얻어진 것이다. 또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의 입력 자료로서, 본 고무의 비선형 물성 값은 말로우식으로 표현하였다. 취약지점인 오일 누유지점에서 최적단면의 오일 씰은 초기 형상과 비교할 때, 이 지점에서 최대 주변형률이 약 24%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서울지역 일부 남자 고등학생의 비만도 수준에 따른 영양표시에 대한 인지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ing among high school boys based on their weight)

  • 어효선;이정숙;민희은;홍희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2호
    • /
    • pp.150-15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nutrition labeling and the effect on eating habits with 300 high school boys in Seou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underweight (UW) group (BMI < $18.5kg/m^2$, n = 42), a normal weight (NW) group ($18.5kg/m^2\;{\leq}\;BMI\;<\;23kg/m^2$, n = 129) and an overweight (OW) group (BMI ${\geq}\;23kg/m^2$, n = 79)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 (BMI). The average age of participants was 17.8 years old and their mean height and weight were 174.9 cm and 66.5 kg. The mean BMI of subjects was $21.7kg/m^2$ which fell within the normal range. Seventy six point four percent of subjects perceived nutrition labeling and they acquired the information pertaining to it through TV and internet. The UW group and the OW group obtained it from their parents, relatives and friends, while NW group acquired it from scho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acquired source of the information on nutrition labeling (p < 0.05). The NW group and the OW group trusted nutrition labeling more than the UW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Forty five point five percent of the UW group and 40.7% the NW group were satisfied with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while only 15.8% of the OW group did it. The OW group checked nutrition labeling more than the UW group and the NW group at the point of food purchase. The primary reason for examining nutrition labeling was 'to check nutrient contents' in the UW group and the NW group, while the OW group examined it to improve health including regulation of body weigh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with regards to the reason for examining nutrition labeling (p < 0.001). The OW group was aware that nutrition labeling affected their eating ha-bits significantly more than the other groups (p < 0.05). Therefore, application-centered education on nutrition labeling and the strong support of the government is needed in order to improve nutrition labeling use and to apply the information from nutrition labeling into student dietar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