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DECIDUOUS FOREST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2초

곰솔 조림으로 인한 동해안 사구의 환경변화 - 양양군 오산해변을 사례로 -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Planting Pine Trees on the Coastal Dune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 Case Study of Osan Beach in Yangyang-gun -)

  • 최광희;공학양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1-31
    • /
    • 2020
  • Planting pine trees on the coastal dunes has been carried out along the East coast as well as West coast of South Korea. Although the artificial forestation has been regarded as a good policy that help to protect the coastal area from natural disasters, but its real effect to the landscapes is still unknown. In this study, we have installed a monitoring site with an automated weather station to study requirements for dune formation and its environmental changes in Osan beach, Yangyang-Gun, Gangwon Province. We analyzed the meteorological data collected from 2010 to 2019 and vegetational changes in the study area. As a result, the wind speed is decreased by around 30% and the pine-covered area is increased by around 300m2 after planting Japanese Black Pine in 2015. At present, it seems that the eolian transport of sand particle is minimal, because the dominant winds are the westerly winds which is not landward but seaward, and because the surface roughness length is about 0.5m which is similar to that in the deciduous forest.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식생분포 및 녹지자연도 사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Assessment of Green Naturalit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오구균;김영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68
    • /
    • 2009
  • 변산반도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식생분포 실태를 파악하고 현존식생도 조사방법 및 작도 기준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거 국립공원의 식생조사문헌을 검토하고 현존식생 조사 및 작도기준안을 마련하여,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식생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변산반도국립공원의 현존식생은 총 8개 식물군락과 기타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2차림인 자연림은 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림, 굴참나무군락, 침엽수-활엽수혼효림 4개 식생군락으로, 조림지는 리기다소나무림, 곰솔림, 리기테다소나무림, 리기다소나무-곰솔림 4개 수림으로 구분되었다. 변산반도국립공원의 녹지자연도는 7등급 지역이 약 69.1%로 가장 넓었고, 9등급 지역은 0.36%로 매우 희소하였다. 국립공원의 체계적인 식생조사 및 관리를 위해서는 식생조사방법 및 작도 기준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方位에 따른 落葉의 分解率과 土壤 微生物에 관한 硏究 (The Decomposition Rate of Litter and Soil Microorganisms on Slope Directions)

  • Park, Bong Kyu;Mi Rim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1호
    • /
    • pp.31-37
    • /
    • 1985
  • The decomposition rate of litter and the number of soil microorganisms were measured on various slope directions in deciduous oak forest in Mt. Yongam. And the chemical constitutents of litter and soil were analyzed. The decomposition rate by slope directions followed the order east facing slope>south-east facing slope>north-west facing slope>north-east facing slope>north facing slope>south facing slope>south-west facing slope>west facing slope.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analyzed, original concentrations of Ca and carbohydrate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decomposition rate. There was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ungi and decomposition rate by slope directions. However, a little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he number of bacteria and decomposition rate by slope directions. The number of fungi and concentrations of Ca and carbohydrate correlated to each other. And the number of bacteria is related to concentrations of phosphorus.

  • PDF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by Various Forest Humic Substances

  • Ahn, Sye-Hee;Koo, Bon-Wook;Choi, In-Gy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6호
    • /
    • pp.73-82
    • /
    • 2003
  • Various forest humic substances were collected at different climate regions with different forest types, and adsorption of heavy metals such as Cu(II), Zn(II), Cd(II) and Cr(III) were characteristically conducted to obtain optimal adsorption conditions and to evaluate the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by each forest humic substance. The adsorption isotherms for Cu(II), Zn(II), Cd(II) and Cr(III) conformed to Langmuir's equation. In the stirred reactor, the removal efficiencies of Cu(II), Zn(II) and Cd(II) by forest humic substances were more than 90% but that of Cr(III) was less than 60%. The adsorption capacities of heavy metals in the stirred reactor were considerably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forest humic substances. Among humic substances, the one from deciduous forest at subtropical region show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for Cu(I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moval efficiency by each heavy metal depending on reaction temperature ranged from 20 to 50oC except for Cr(III), and the adsorptions of Cu(II), Zn(II) and Cd(II) were occurred rapidly in the incipient stage within 10 min, while Cr(III) needed more reaction time to be adsorbed. The stirred and packed bed column reactors showed similar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by humic substances, but the removal efficiency was considerably higher in the packed bed column reactor than in the stirred reactor. Therefore, in actual operation process, a continuous packed bed column reactor was more economic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Habits of Deutzia paniculata, a Rare and Endemic Woody Species in Korea

  • Park, Jin-Sun;An, Jong-Bin;Yun, Ho-Geun;Yi, Myung-Hoon;Park, Wan-Geun;Shin, Hyun-Tak;Hong, Yong-sik;Lee, Kyeong-Cheol;Shim, Yun-Jin;Sung, Jung-W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3호
    • /
    • pp.206-216
    • /
    • 2021
  • Deutzia paniculata Nakai, a rare and endemic plant, has limited distribution throughout the North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s of South Korea. The D. paniculata community grows mostly on the stony slopes of forests, valley edges, and rock layers at 250-960 m in altitude, where deciduous trees are dominant and high humidity is maintained. Correlation analysis of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found that the Walter's dogwood-mulberry community was correlated with soil acidity (pH). Whilst the queritron community had correlations with distance from the valley, rock rate and slope. The natural habitat of the Palgongsan Mountain in Daegu is known to have high genetic diversity, had eight D. paniculata individuals recorded from 2014 to 2018, and 12 individuals recorded in 2020 (new individuals due to a newly created space within the herbaceous layer caused by grass mowing works), it is therefore unlikely that the community would perish unless there was an artificial disturbance. To conserve the natural habitats of D. paniculata, oppression by Sasa borealis, damage, increase in crown density of the upper layer, overexploitation, and absence of seedlings should be carefully investigated. In addition, response measures should also be established and the impact on seed fullness and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D. paniculata recorded. To restore declined genetic diversity, individuals from high genetic diversity regions, such as Palgongsan Mountain, should be artificially transplanted.

서울 남산공원의 식생변화 (Vegetational Changes of Mt. Nam Park, Seoul)

  • 임양재;양금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3호
    • /
    • pp.589-602
    • /
    • 1998
  • Mt. Nam (265m), a city park of Seoul, was originally covered with a typic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in Central Korea. However, the park forests have been changed the development for various purpose such as the construction of castle wall, road way, broadcasting station, theater, hotel and apartments, in addition, to thoughtless plantation or alien plant introduction. Human population growth from ca. 100 thousands persons less in that time established Seoul as the capital of choseon dynasty in 1394 to ten millions over persons at present, accelerated the vegetational changes of the park. mt. Nam boundary in those days of sunjong (1908) also was much shrinked as much the range of 300 m distance in the northern most to 700 or 800m distance in some places. The actual vegetation of Mt. Nam largely can be classified by floristic composition into two plant communities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four plantations of Pinus rigida, Robinia pseudo-acacia, Populus tomentiglandulosa and other tree species, and on mixed forest with native and alien tree species in secondary succession stage (Yim et al. 1987). The restoration movement of Mt. Nam toward to the natural condition of forest or biodiversity is moving now. However, in the movement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ecological consideration and the undesirable decision of priority in the practice. A warning should be given, especially, on the undesirable plantation of non-native tree species restricting the forest succession, as in the case of southern slope of Mt. Nam. First of all, the most importance in Mt. Nam management is that the restoration for natural forest and biodiversity should be carried on the basis of integrated ecological principles based on the site evaluation.

  • PDF

강원도 중왕산 지역의 지형 특성에 따른 주요 활엽수종의 분포(I) (Distribution of Major Deciduous Tree Species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in Mt. Joongwang, Gangwon Province(I))

  • 엄태원;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1호
    • /
    • pp.91-101
    • /
    • 2006
  • 온대 중북부림에 속하는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일대(1,321 ha)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지형 요인에 따른 주요 활엽수종(거제수나무, 난티나무, 느릅나무, 다릅나무, 들메나무, 물푸레나무, 복장나무, 신갈나무, 음나무, 층층나무, 피나무)의 분포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종과 지형 특성과의 관계에서 해발고에 따라 영향을 받는 수종은 고로쇠나무, 복장나무, 신갈나무이었으며 경사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수종은 느릅나무, 물푸레나무로 나타났다. 지형에 따른 주요 활엽수종의 중요치 변화에서는 고로쇠나무, 거제수나무, 난티나무, 층층나무의 계곡부위 중요치 값이 각각 13.4%, 5.7%, 3.3%로 다른 지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치 값을 나타냈다. 계곡부위에서의 종다양도는 0.98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전체적인 수종 구성을 지형별로 비교한 결과 계곡지역에 출현하는 주요 우점종은 고로쇠나무(24%), 신갈나무(14%)의 순이었고, 능선지역에서는 신갈나무가 38%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사면지역에 출현하는 주요 우점종의 비율은 신갈나무(23%), 고로쇠나무(19%)의 순으로 나타났다. 해발고에 따른 주요 활엽수종의 중요치 변화에서 고로쇠나무는 해발 1,200m(11.5%)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물푸레나무는 해발 800m 부근(6.6%)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신갈나무는 해발고가 증가할수록 중요치 값(7.2%~31.9%)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해발고에 따른 주요 활엽수종의 분포 비율은 해발고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수종은 신갈나무(6%~18%)와 고로쇠나무(6%~11%)였다. 해발고에 따른 종다양도의 변화(700 m : 0.81, 1,300 m : 0.90)는 해발고가 증가하면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개벌에 의한 수확벌채가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learcutting of Timber Harvesting on Stream Water Quality)

  • 박재현
    • 생태와환경
    • /
    • 제35권1호통권97호
    • /
    • pp.45-51
    • /
    • 2002
  • 이 연구는 성숙활엽수림 개벌수확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1993년부터 2001년까지 전남 광양 백운산 지역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남부연습림내 제26임반에서 1993년부터2001년까지 계류수질에 영향하는 토양의 화학성분과 계류수질을 측정 ·분석한 결과, 벌채 후 1년, 2년이 경과되는 동안 전질소, 치환성 이온인 $K^+,\;Na^+,\;Ca^{2+},\;Mg^{2+}$등은 벌채 전보다 양적으로는 감소하였으나, 벌채 8년 후에는 벌채 전으로 점차 회복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양의 화학성분은 변화하지 않았다. 벌채 당해년도와 그 다음 해, 그리고 벌채 5년, 8년 후 벌채지 계류수의 BOD, pH등은 하천수질환경기준 상수원수 1급수이었으며, Cd, Pb, Cu등 중금속과 유기인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계류수의 색도, 탁도, 냄새, 맛, $NH_4\;^+-N,\;NO_3\;^--N$,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등 8개 항목은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하여 벌채지 인근지역 주민들이 음용수로 이용하는 데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계류수에 용존되어 있는 양이온총량, 음이온총량, 이온총량은 비벌채지와 벌채지가 합류하는 유역이, 비벌채지 유역과 벌채지 유역의 계류수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그 값의 차는 크지 않았다.

광릉 천연활엽수림의 낙엽낙지와 낙엽분해에 따른 양분동태 (Nutrient Dynamics in Litterfall and Decomposing Leaf Litter at the Kwangneung Deciduous Broad-Leaved Natural Forest)

  • Choonsig Kim;Jong-Hwan Lim;Joon Hwan Shin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7-93
    • /
    • 2003
  • 산림생태계에서 낙엽낙지의 유입과 유입된 낙엽낙지의 분해는 산림의 주요한 탄소 및 양분의 공급원이다. 본 연구는 온대중부지역에 속하는 경기도 광릉의 천연 활엽수림에 위치한 DK-site를 대상으로 2년 동안 연 낙엽낙지 유입량과 낙엽분해율을 측정하였다. 낙엽낙지량은 원형의 낙엽수집기(수집면적 0.25$m^2$)를 낙엽분해 율은 10${\times}$30 cm 크기의 낙엽분해주머니(메쉬 1.5 mm)를 이용하였다. 광릉 장기생태연구조사구의 연 낙엽낙지량은 5,627 kg/ha/yr로 이중 순수한 엽량은 총 낙엽낙지량의 61%를 차지하였다. 수종별 유입량은 본 조사구의 우점종인 졸참나무 잎이 가장 많은 양을 보였으며 서어나무, 까치박달 순이었다. 낙엽분해율은 서어나무, 까치박달 낙엽이 졸참나무 낙엽에 비해 분해속도가 빨라 2년의 조사기간 동안 까치박달 낙엽 84%, 서어나무 낙엽 77%, 졸참나무 낙엽 48%가 분해되었다. 졸참나무 낙엽의 분해가 느리게 진행된 것은 타수종의 낙엽에 비해 졸참나무 낙엽내 낮은 양분함량 같은 기질의 차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칼륨을 제외한 양분(N, P, Mg)함량은 분해 초기함량에 비해 낙엽분해과정동안 증가하였다. 또한 낙엽분해과정동안 양분(N, P, K, Ca, Mg)의 방출량은 까치박달과 서어나무낙엽이 졸참나무낙엽에 비해 신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광릉장기생태연구 조사구내 우점종의 낙엽분해와 양분의 동태는 동일한 입지에 있어서도 수종간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강원도 중왕산 당단풍나무의 개화, 결실, 종자 낙하량 및 종자활력 (Flowering, Fruiting, Seed Fall and Seed Viability of Acer pseudosieboldianum in Mt. Jungwang, Gangwondo)

  • 김회진;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42-47
    • /
    • 2016
  • 천연활엽수림의 천연갱신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당단풍나무의 개화 결실, 종자낙하, 종자활력을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하였다. 당단풍나무 꽃은 산방화서에 양성화와 웅성화가 달렸으며, 화서 내에서 성형태간 개화시기가 달랐다. 양성화가 먼저 개화하는 개체에서는 암술이 수분되어 자라기 시작한 꽃에서는 수술은 더 이상 성숙하지 않고 소실되었으며, 웅성화가 먼저 개화하는 수술이 발달한 꽃에는 암술은 흔적으로만 존재하였다. 다른 개체에서의 화분이 꿀벌, 애꽃벌류 및 꽃등에류에 의하여 수분이 이루어지는 이형자웅이숙(heterodichogamy)의 성 형태로 자가수분을 회피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었다. 종자 낙하량은 310~234,840 ea/ha의 범위로 평균은 70,780 ea/ha이었다. 종자생산에 있어 연년변동이 심하며, 최대치가 최소치의 760배 가량이었다. 당단풍나무의 연년종자생산은 정규분포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성숙한 종자 중에서 피해 또는 부후종자가 59.3%로 가장 많았고, 건전종자가 23.9%, 미발육 종자 9.2%, 쭉정이종자 7.6% 등으로 나타났다. 건전종자 생산량을 좌우하는 요인은 개화기인 5월 중,하순에 화분매개충의 활동과 어린 자방이 자라는 시기에 흡즙성 해충의 밀도와 활동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사료된다. 당단풍나무의 천연갱신은 종자풍년 이듬해에 발아와 생장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갭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낙엽활엽수의 천연갱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개화결실 특성과 비산 전후 종자 피식 문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