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HAE

검색결과 670건 처리시간 0.027초

유자즙 첨가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Yuza Juice)

  • 신정혜;최덕주;권오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8-205
    • /
    • 2008
  • The influence of the yuza juice addition on quality of the doenjang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ir chemical properties. The 80 days pre-fermented(PFD) and non-fermented(NFD) doenjangs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mixed with yuza juice designed at different ratio (0, 1, 3, 5% (w/w)), These doenjangs were fermented for 60 days and then analyzed chemical properties,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in yuza juice added groups than control group. But Ash, crude lipid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higher in control than yuza juice added groups. The pH and formol-N were higher in yuza juice added NFD groups however, acidity was reversed. Among the free sugars, glucose contents was the highest. And, free sugars contents were higher in yuza juice added PFD groups than control group. Five kinds organic acids were detected, and succinic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The organic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proportion to adding volume of yuza juice, in all groups.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were higher in yuza juice added PFD groups and among these, 1% yuza juice added PFD group(3970.0 mg%) was the highest. Hunter L value was lower by yuza juice added volume and higher in PFD groups. Hunter a and b values were non-significantly difference in PFD and NFD, respectively.

Effect of the suction plate shape on metering performance of a vacuum metering device for garlic seeds

  • Kim, Deok-Keun;Choi, Yeong-Soo;Yang, Seung-Hwa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4호
    • /
    • pp.829-844
    • /
    • 2020
  • A vacuum metering device for garlic seeds was developed, and its metering performance was tested according to the design factors. Three design factors were as follows: suction surface diameter (Edge), suction surface curvature (Type), and guide height (Guide). The suction surface curvature represent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grooved suction plate and the bottom of suction plate. The metering rate and multiple metering rate were analyzed as the metering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device with two varieties of garlic seeds: Namhae (warm region-adapted garlic) and Uiseong (cold region-adapted garlic). The best metering performance for the Namhae seeds were found with the following conditions: An Edge, Guide and Type of 40, 4, and 35 mm,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Uiseong seeds, the best conditions were as follows: An Edge, Guide and Type of 35, 4, and 30 mm, respectively. The guide height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design factor on the metering performance of the metering rate and multiple rate for both Namhae seeds and Uiseong seeds.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ea of the suction surface and the curvature of the suction surface had some effects on the multiple rate for the Uiseong seeds. It was concluded that the guide height should be 4 mm or higher so that more than 90% of the metering rate could be achieved for the tested garlic seeds with the developed metering device.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섬애약쑥 에탄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thanol Extract from Artemisia Argyi H. Using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 강재란;강민정;최명효;변희욱;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3-3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 조건(음건, 숙성, 덖음)과 추출 용매 중 에탄올의 혼합비율(30, 50, 70, 90%)에 따른 섬애약쑥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전처리 조건 및 추출용매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은 음건쑥추출물에 비해 숙성쑥과 덖음쑥 추출물이 더 높았고, 에탄올 농도에 따른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색도는 L, a, b값 모두 음건쑥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열처리 시간이 가장 길었던 숙성쑥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덖음쑥, 숙성쑥, 건조쑥 순으로 높고 에탄올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 또한 증가하였다. 총 페놀, jaceosidin, eupatilin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덖음쑥, 숙성쑥, 건조쑥 순으로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50%와 70% 에탄올 추출물이 30%와 95%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덖음쑥 추출물이 음건쑥과 숙성쑥 추출물에 비해 높았는데,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덖음쑥 70% 에탄올 추출물이 77.71%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으며,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덖음쑥 30%, 50% 및 70% 에탄올 추출물이 96%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섬애약쑥은 음건한 것을 덖음 처리를 한 후 50%~70% 에탄올로 추출할 때 유효성분의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열처리 숙성 중 반시 미숙과의 이화학적 특성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 of immature fla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during heat treatment aging)

  • 심혜진;강재란;강민정;최명효;서화진;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01-309
    • /
    • 2016
  • 미숙과의 가공법 제안 및 기능성 규명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반시 미숙과를 7 step으로 나누어 열처리 숙성하면서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반시 미숙과는 숙성됨에 따라 수분함량과 pH는 점차 감소하고,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갈변이 유도되면서 step 3까지 적색도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황색도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반시의 탄력성, 씹힘성과 점착성의 경우에는 step 2~3에서 변화한 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숙성 중 반시 미숙과의 fructose의 함량은 감소한데 반해 glucose 함량은 미량 증가하였다. 페놀성 화합물은 gallic acid와 homogentisic acid, 2종이 검출되었는데 이들 화합물은 step 2까지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step 3부터 숙성단계가 지남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와 상반되게 탄닌 함량은 step 1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step 2에서 급감하였다. 숙성 단계별 반시 미숙과 물 추출물의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FRAP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숙성이 진행될수록 오히려 낮아졌다.

우리나라 벼논에서 벼멸구선충(Agamermis unka)의 분포 (Distribution of Agamermis unka (Nematoda: Mermithidae), a Mermithid Parasite of Brown Planthopper (Nilapawata lugens) in Korean Rice Paddies)

  • 이동운;조성래;추호렬;김형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9-136
    • /
    • 2002
  • 벼멸구선충(Agamermis unka)은 우리나라에서 벼멸구와 흰등멸구의 중요한 천적이다. 따라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그리고 2001년 우리나라의 논에서 벼멸구선충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고성과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남해, 통영의 예찰포에서 월동 벼멸구선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지역과 연도별로 차이가 있었다. 2001년 5개도 30개 시.군 예찰포를 대상으로 벼멸구선충의 월동 밀도를 조사한 결과, 전남의 장흥과 해남, 경남의 남해, 진주, 산청, 사천, 고성, 통영, 의령, 창원, 김해 지 역에서만 분포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경남 남해지 역 이 1,045마리/㎥로 밀도가 가장 높았고, 진주의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고성 예찰포에서는 각각 947마리와 395마리/㎥가 발견되어 다른 지역의 예찰포보다 높았다. 벼멸구선충의 밀도는 무방제구가 살균제처리나 살충제처리구에 비하여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경남 지역 19개 시군의 예찰포에서 벼 수확 후의 벼멸구선충 밀도를 2001년 가을에 조사한 결과는 고성, 진주, 남해, 사천 지역에서만 분포가 확인되었는데, 밀도는 남해지역이 692마리/㎥로 가장 높았다.

양성장에 따른 피조개, Anadara broughtonii의 성장 (Growth Comparison of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between the Two Culturing Areas)

  • 유성규;장영진;강경호;김영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7
    • /
    • 1990
  • 피조개의 성장 및 적정 양식장의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거제군 사곡리 앞바다에서 천연채묘한 치패를 사용하여 가덕도 및 남해의 피조개 양성장에서 성장비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개시시의 각장 1.38$\pm$0.32cm와 전중 3.39$\pm$0.30g의 피조개 치패를 17개월간 양성한 결과, 각각의 성장은 가덕도 6.41$\pm$0.30cm, 67.58$\pm$9.63g, 남해 7.20$\pm$0.30cm, 97.33$\pm$11.45g으로 자라나, 남해가 가덕도에 비하여 피조개의 성장이 좋았다. 두 양성장의 피조개 비만도는 가덕도에서 8$\~$9월, 남해에서는 3$\~$5월에 최대치를 보였다. 실험기간중 수온 및 비중은 가덕도에서 $4.9\~27.1^{\circ}C$, 1.0147$\~$1.0259, 남해에서는 $4.5\~26.3^{\circ}C$, 1.0191$\~$1.0263으로, 특히 비중에 있어서 가덕도가 남해에 비하여 낮았다. 입도분석에 의한 저질의 왜도는 남해에서 positive skewness를 나타낸 반면, 가덕도에서는 negative skewness를 보여 가덕도 앞바다의 조류는 남해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장간의 성장비교 및 환경 분석에 의한 남해 미조리 지선어장이 가덕도 장항 지선어장에 비하여 조건이 좋은 양성장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흑마늘 농축액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제조와 품질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with Black Garlic Extracts)

  • 신정혜;김경민;강민정;양승미;성낙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7-313
    • /
    • 2010
  • 흑마늘 농축액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품질특성 평가를 위하여 탈지분유에 0.5~1.5% (w/v) 흑마늘 농축액을 혼합하고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의 혼합균주를 접종하여 $42^{\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흑마늘 농축액 첨가량에 따른 유산균의 생육정도,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흑마늘 농축액이 첨가된 요구르트의 pH는 발효 6시간 이후부터 pH 6.0 이하로 대조군에 비해 더 빨리 산성화 되었으며, 발효 24시간에 적정산도는 흑마늘 농축액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증가율이 더 높아 흑마늘 농축액 1.5% 첨가군의 경우 발효 전에 비해 약 5.7배 증가하여 0.74%였다. 흑마늘 농축액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생균수는 발효 3시간까지는 흑마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생육정도가 감소하였으나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흑마늘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요구르트의 점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고, 색도는 흑마늘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는 감소하였고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는 증가하였다. 흑마늘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전체적인 기호도가 감소하였는데 이상의 모든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요구르트 제조시 흑마늘 농축액의 적정 첨가 농도는 1% 미만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 암반 심층수를 응고제로 한 두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coagulated by deep ground sea-like water)

  • 황초롱;윤환식;강민정;심혜진;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36-642
    • /
    • 2013
  • 해양 암반 심층수의 두부 응고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판 두부 응고제 3종($MgCl_2$, $CaSO_4$ 및 glucono-${\delta}$-lactone)으로 제조한 두부와 농축하여 8 $^{\circ}Brix$로 농도 조절한 해양 암반 심층수를 두유 L당 20, 25 및 30g씩(SW-20, 25, 30)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두부의 제조 수율은 SW-30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순물의 탁도는 해양 암반 심층수를 응고제로 사용한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두부의 수분은 72.72~74.86%, pH는 6.09~7.01이었는데, glucono-${\delta}$-lactone을 응고제로 사용한 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여타 시료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두부의 무기물 함량은 응고제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물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응고제의 주요 무기물이 두부에서도 다량 검출되었으나, 25 mg/kg 미만의 미량 무기질은 응고제의 영향이 적었다. 두부의 명도와 황색도는 해양 암반 심층수로 응고한 실험군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두부의 물성 중 경도는 시판 응고제를 사용한 두부에 비해 해양 암반 심층수를 사용한 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관능평가 결과 두부의 응고제는 질감과 맛에 영향을 미쳤는데, 경도가 낮거나 높을 경우 질감에 대한 기호도도 감소하였으며, 응고제로부터 유래한 쓴맛이나 신맛도 관능적 특성을 크게 저해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해양 암반 심층수는 두부의 이화학적 특성에 있어 시판 응고제로 제조한 두부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관능적 특성은 오히려 우수하여 두부 응고제로 활용 가능성이 충분하였다.

천연소재로부터 분리한 색소분말과 혼합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natural color powders and their mixtures)

  • 강재란;강민정;심혜진;최명효;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0-88
    • /
    • 2016
  • 천연색소 혼합물의 생리활성을 검증하고자 하고자 천연색소 7종에 대하여 ABTS 라디칼 소거활성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콜레스테롤 흡착활성 및 COX-2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활성이 우수하였던 시료 3종(아선약, 오배자, 정향)을 선별하였다. 선정된 3종 시료의 혼합물 4종(아선약+오배자, 아선약+정향, 오배자+정향, 아선약+오배자+정향)에 대해서는 콜레스테롤 흡착활성, COX-2 저해활성, ${\alpha}$-glucosidase 및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천연색소 시료들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 비해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더 우수하였으며, 콜레스테롤 흡착활성은 정향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COX-2 저해활성은 아카시아 분말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여타 시료간에는 유의적인 활성의 차이가 없었다.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아선약과 오배자에서 높았으나, 혼합물들에서는 서로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아선약 분말이 가장 높았고, 아선약이 첨가된 혼합물의 활성이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천연색소의 생리활성은 혼합물로 조성하여 활용할 때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조합되는 물질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활성의 증감 정도는 상이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흑마늘 추출물 첨가 두부의 품질특성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various levels of black garlic extract)

  • 심혜진;황초롱;강민정;김경민;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88-693
    • /
    • 2014
  • 영양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두부의 제조 조건을 확립하고 자 시판 응고제($MgCl_2$)와 해양 암반 심층수를 각각 응고제로 사용하고 흑마늘 추출물을 0, 1, 3, 5, 7%씩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는 해양 암반 심층수를 응고제로 사용하고 흑마늘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두부, 해양 암반 심층수를 응고제로 사용하고 흑마늘 추출물을 1% 첨가한 두부, 시판 응고제를 사용하고 흑마늘 추출물을 1% 첨가한 두부 순으로 높았으며 두부 제조 시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는 색, 향과 맛에 영향을 미쳤으며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두부의 질감이 단단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두부의 제조 수율은 시판 응고제를 사용하고 흑마늘 추출물을 7% 첨가한 두부에서 26.66%로 가장 높았으나 타 실험군들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순물의 탁도는 시판 응고제를 사용한 두부에 비해 해양 암반 심층수를 응고제로 사용한 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두부의 pH는 5.61~6.15의 범위로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에서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두부의 명도는 낮아졌고 녹색도는 높아졌으며 황색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량 증가는 두부의 물성 중 경도, 씹힘성, 검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탄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시판 응고제 보다는 해양 암반 심층수의 사용하고, 1% 정도의 흑마늘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두부의 관능적 특성과 물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