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G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23초

Correlation between glomerular filtration rate and urinary N acetyl-beta-D glucosaminidase in children with persistent proteinuria in chronic glomerular disease

  • Hong, Jeong-Deok;Lim, In-Se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4호
    • /
    • pp.136-142
    • /
    • 2012
  • Purpose: Urinary excretion of N acetyl-beta-D glucosaminidase (NAG) and ${\beta}_2$-microglobulin (${\beta}_2$-M) was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proximal tubular damage. Based on these urinary materials, we investigated the ability of expecting renal function in chronic glomerular diseas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urinary NAG, and urinary ${\beta}_2$-M. Methods: We evaluated 52 children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t the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3 and August 2009. We investigated the 24-hour urinalysis and hematologic values in all 52 patients. Serum creatinine, creatinine clearance (Ccr), serum cystatin C, urinary ${\beta}_2$-M and urinary NAG were measured. Results: Out of 52 patients, there were 13 children with minimal change in disease, 3 children with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17 children with immunoglobulin A nephropathy, 15 children with Henoch-Sch$\ddot{o}$nlein purpua nephritis, 3 children with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and 1 child with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In these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cr and urinary NAG (r=-0.817; $P$ <0.01), and between the GFR (as determined by Schwartz method) and urinary NAG (r=-0.821; $P$ <0.01).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FR (as determined by Bokencamp method) and urinary NAG (r=-0.858; $P$ <0.01). Conclusion: In our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FR and urinary NAG,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GFR and urinary ${\beta}_2$-M, suggesting that the GFR can be predicted by urinary NAG in patients with chronic glomerular disease.

EGCG, genistein, resveratrol 처리에 의한 ATF3와 NAG-1 유전자 발현변화의 p53 의존성 분석 (Dependency on p53 in Expression Changes of ATF3 and NAG-1 Induced by EGCG, Genistein, and Resveratrol)

  • 김민정;김현지;서유미;이은주;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15-620
    • /
    • 2018
  • EGCG는 녹차의 카테킨 중의 하나로서 항산화, 항염증 그리고 항암 활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EGCG를 처리한 HCT116 세포와 p53-null HCT116 세포에서 oligo DNA microarray 실험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Microarray 실험에서 EGCG를 처리한 HCT116 세포주에서 증가된 유전자 4개(ATF3, CDKN1A, DDIT3, NAG-1)를 선별하여, p53-null HCT116에서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NAG-1을 제외한 3개의 유전자는 p53의 상태와 관계없이 발현이 증가하였고, p53-null HCT116 세포주에서는 EGCG에 의해 NAG-1의 발현이 증가되지 않았다. EGCG의 처리에 의해 ATF3와 NAG-1의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경우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파이토케미칼 genistein과 resveratrol을 처리한 후 ATF3와 NAG-1의 발현을 연구한 결과 genistein은 p53의 상태와 관계없이 ATF3 발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반면, NAG-1 단백질은 p53 존재 하에서만 발현이 증가되었다. 이에 반해 resveratrol은 p53의 상태와는 관계없이 ATF3와 NAG-1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항암 활성을 가진 3 종류의 파이토케미칼이 각각 다른 기전으로 항암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파이토케미칼 EGCG, genistein, resveratrol에 의해 매개되는 항암 활성의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한방이화주 주박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항성장 및 세포사멸 기전 연구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Effects by Lees Extracts of Ehwa Makgeolli Containing Oriental Herbs)

  • 권민정;이승훈;정정욱;손호용;신우창;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1-24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막걸리 중 하나인 한방 이화주의 주박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과 그것의 순차적인 유기용매 분획물을 획득하고, 이들 시료들이 인간 대장암 세포인 HCT116 세포주의 cell viability와 pro-apoptotic 유전자인 ATF-3와 NAG-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처리된 유기용매 시료 가운데 KSD-E3-2 분획물 (hexane 분획물)과 KSD-E3-3 분획물 (ethyl acetate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두 분획물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두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pro-apoptotic 유전자인 NAG-1과 ATF-3의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KSD-E3-3 분획물 0.1 mg/ml의 처리에 의해 NAG-1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또한 apoptosis의 지표인 PARP cleavage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KSD-E3-3 분획물에 의해 유도된 apoptosis는 NAG-1 siRNA transfection에 의해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KSD-E3-3 분획물에 의한 NAG-1 단백질의 발현증가와 apoptosis 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한방이화주 주박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의 암세포 항 성장 활성 및 apoptosis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resin cement primer containing nanoparticles of silver (NAg) and amorphous calcium phosphate (NACP) to human dentin

  • Arjmand, Nushin;Boruziniat, Alireza;Zakeri, Majid;Mohammadipour, Hamideh Sadat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0권3호
    • /
    • pp.177-183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corporating nanoparticles of silver (NAg) and amorphous calcium phosphate (NACP) into a self-etching primer of a resin cement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entin, regarding the proven antibacterial feature of NAg and remineralizing effect of NACP. MATERIALS AND METHODS. Flat, mid-coronal dentin from 20 intact extracted human third molars were prepared for cementation using Panavia F2.0 cement. The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four test groups (n=5)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ement primer composition: cement primer without change (control group), primer with 1% (wt) of NACP, primer with 1% (wt) of physical mixture of NACP+Nag, and primer with 1% (wt) of chemical mixture of NACP+Nag. The resin cement was us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fter storage in distilled water at $37^{\circ}C$ for 24 h, the bonded samples were sectioned longitudinally to produce $1.0{\times}1.0mm$ beams for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ing in a universal testing machine. Failure modes at the dentin-resin interface were observed using a stereomicroscope.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Tukey's post-hoc tests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0.05. RESULTS. The lowest mean microtensile bond strength was obtained for the NACP group. Tukey's test showed that the bond strength of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except for group 4 (chemical mixture of NACP and NAg; P=.67). CONCLUSION. Novel chemical incorporation of NAg-NACP into the self-etching primer of resin cement does not compromise the dentin bond strength.

Chitinolytic Enzyme을 이용한 N-acetyl-$\beta$-D-glucosamine의 최적생산 (Optimal Production of N-acetyl-$\beta$-D-glucosamine Using Chitinolytic Enzyme)

  • 이천우;이은영장상목김광
    • KSBB Journal
    • /
    • 제11권6호
    • /
    • pp.696-703
    • /
    • 1996
  • S. marcescens QM 81466 균주는 chitin 분해 효소(1mg/Lmedium)를 선택적으로 높게 생성시킬 수 있는 균주로서, chitin을 N-acetyl-$\beta$-D-glucosa­m mine(NAG)으로 효소적 가수분해를 할 때 chitinase와 chitobiase의 두 가지 가수분해 효소계를 구 성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 균주의 chitinase/chitobiase 생성을 위한 chitin 입자크기에 대한 최적화와, 회분 발효계에서 이 균주의 세포 밀도 배양에 따른 두 효소 생성의 변화를 조사하여 NAG 생산성의 증대를 시도하였다. 아울러. chitin과 CM­ chitin이 chitinase/chito biase 생성비 와 NAG 생성 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는데, CM-chitin을 colloidal 및 결정성 chitin 대신에 사용했을 때, chitinase 활성을 약 7~10U/mL 증가시켰다. 이 경우에 있어서, chitinase/chitobiase의 비는 9:1로 서 NAG의 생성량이 3.0g/L로서 높게 나타났다.

  • PDF

인간 대장암 세포주에서 sulindac sulfide 처리에 의해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군의 분석 (Analysis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Sulindac Sulfide in Human Colorectal Cells)

  • 신승화;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96-100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NSAID계 약물인 sulindac, sulindac sulfone, 그리고 sulindac sulfide 처리에 의한 암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대장암 세포주인 HCTl16에 각각 10 ${\mu}M$의 NSAID들을 처리하였다. 처리한약물 중 sulindac sulfide에 의한 암세포 생존율이 가장 높게 감소하는 것으로 MTS assay 결과 확인되었다. 또한 sulindac sulfide의 처리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ulindac sulfide의 처리에 따른 이러한 암 세포 사멸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oligo DNA microarray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0 ${\mu}M$의 sulindac sulfide의 처리에 의해 2배 이상 발현이 증가되는 유전자가 23개 확인되었고, 반대로 2배 이상 발현이 감소되는 유전자가 33개 확인되었다. 증가되는 유전자중 3개(NAG-1, DDIT3, PCK2)를 선택하여, RT-PCR과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실험 모두 DNA microarray 실험결과와 동일하게 발현이 증가되었다. 이 중 sulindac, sulindac sulfone, sulindac sulfide에 의 한 NAG-1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RT-PCR과 real-time PCR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sulindac sulfide에 의한 암 억제유전자인 NAG-1의 발현이 가장 많이 발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세포생존율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NAG-1의 높은 발현과 암 세포 생존율의 감소가 관련이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따라서 이들 연구결과는 sulindac sulfide에 의한 화학적 암 예방법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Chrysin과 emodin에 의한 대장암 세포 항 성장 활성 및 세포사멸 (Anti-proliferative Effects and Apoptosis Induced by Chrysin or Emodin in Human Colorectal HCT116 Cells)

  • 류승민;김용현;이은주;정정욱;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929-93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시판하는 천연물 library (Selleckchem, L1400)로부터 암세포 항 성장 활성을 보여주는 천연물을 선별하였다. 즉, 인간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에 50 μM의 각 천연물을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1차 선별과정을 통하여 5종의 천연물(chrysin, diosmetin, emodin, piperlongumine, tanshinone I)을 선별하였다. 5종의 천연물에 의한 NAG-1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chrysin과 emodin에 의해서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chrysin과 emodin은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을 감소시켰으며, chrysin과 emodin은 항암 단백질인 NAG-1의 발현을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게다가, chrysin과 emodin 처리에 의해 증가된 PARP cleavage가 NAG-1 siRNA transfection에 의해서 감소됨을 확인함으로써, chrysin과 emodin에 의한 세포사멸과 NAG-1의 발현 증가가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암세포 항 성장 활성을 보여주는 천연물 선별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해 주며, chrysin과 emodin에 의한 암세포 항 성장 활성 및 세포사멸의 기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전황함량과 순산발생능력의 상관관계를 통한 잠재특이산성토양 기준 설정 (The Potential Acid Sulfate Soils Criteria by the Relation between Total-Sulfur and Net Acid Generation)

  • 문용희;장용선;현병근;손연규;박찬원;송관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04-909
    • /
    • 2012
  • 황철석 (Pyrite, FeS2)을 함유한 잠재특이산성토는 강하류 삼각지 토양, 간척지 등의 해성토뿐만 아니라, 영일만과 같은 융기해성토 지대, 내륙의 선상지하단 유기물이 많은 암흑색 토층이 있을 때에 존재하는 수가 있다. 또한 안산암 지역의 열수작용에 의해 생성되어 암맥을 따라 형성된 황철석이 광산개발이나 도로건설로 절취사면에서 노출되어 산화되면 매우 강한 산성을 띠는 특이산성토층을 형성하여 주변농경지에 피해를 주고 있다. 현재 잠재특이산성토양의 판정은 현장에서는 과산화수소로 반응 시 수증기발생 정도로 판단하거나 실내실험에서는 전황 (Total-S)성분의 함량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이들 방법은 시군농업기술센터 및 현장 진단 시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산발생 능력평가 중 순산 발생능력실험 (Net Acid Generation, NAG pH)은 대상지역의 산성발생 가능성에 대한 예측을 정량적 계산으로 가능하다. 순산발생능력실험을 이용하여 전황함량과 NAG pH와의 상호관계를 통해 특이산성토양 판정을 제안하기 위해 화산기원의 잠재특이산성 토양과 사양질 토양을 일정비율로 혼합된 토양과 특이산성토양인 김해통과 해척통 토양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황의 함량이 0.75% 이상인 시료의 NAG pH가 2.5이며 0.75-0.50%의 중간 특이산성토양은 NAG pH 3.0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전황 함량이 0.5-15% 약한 특이산성 토양은 NAG pH 3.8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순산발생량은 NAG pH를 이용하여 토양 내 황철석을 모두 산화시키고 pH를 측정하여 pH 3.8이하인 토양은 특이산성토양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방향족 유기용제 폭로근로자들의 요중 N-Acetyl-β-Glucosaminidase Activity와 마뇨산농도 (NAG Activity and Urinary Excretion of Hippuric Acid Among Workers Exposed to Aromatic Organic Solvents)

  • 김정철;김광종;이광묵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66-176
    • /
    • 1993
  • In order to investingate the renal dysfunction in workers exposed to aromatic organic solvents, 105 male exposed workers and 109 control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the concentration of aromatic organic solvents in air, worker's urinary NAG activity and urinary hippuric aci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exposure level of aromatic organic solvent mixture caculated by the equation proposed by ACGIH was ranged from 0.27 to 0.54 and toluene concentration was ranged from 18.3ppm to 48.3ppm. 2. NAG activity in the urine of control and exposed group were $36.1{\pm}14.2nmolMU/mg$ creatinine and $52.4{\pm}26.1nmolMU/mg$ creatinine, respectively. Hippuric acid concentration in the urine of control and exposed group were $191.1{\pm}194.2mg/g$ creatinine and $789.3{\pm}784.1mg/g$ creatinine, respectively. 3. Correlation coefficent between the exposure level of aromatic organic solvent mixtu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urinary NAG activity(r=0.542) and urinary hippuric acid(r=0.752). 4.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NAG activity and hippuric acid concentration was 0.357. This study suggested that urinary NAG activity was a good renal function index for aromatic organic solvents exposure and urinary hippuric acid was an index for the biological monitoring of toluene expos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