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ADH-dehydrogenase

Search Result 14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소, 돼지, 가금육류의 신속한 동정을 위한 TaqMan probe를 이용한 real-time PCR 개발 (Development of TaqMan probe-based real-time PCR for rapid identification of beef, pork and poultry meat)

  • 고바라다;김지연;나호명;박성도;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5-222
    • /
    • 2012
  • Species-specific $TaqMan^{(R)}$ probe-based real-time PCR assays were developed for detection of beef, pork, chicken, duck, goose and turkey. The primer and probe sets used in this study were designed to be complementary to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for cattle and pig, mitochondrial NADH dehydrogenase (ND) subunit 3 and ND2 for chicken and duck, 12S rRNA for goose and turkey, respectively. As internal positive control we used conserved region in the ribosomal 18S RNA gene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detection of target DNA by real-time PCR. We confirmed that real-time PCR assays with the primer and probe sets were positive for cattle, pig and chicken intended target animal species with no cross-reactivity with other non-target animal species. Only >50 ng DNA of beef show cross-reactivity in the determination of duck. Using species-specific primer and probe sets, it was possible to detect amounts of 0.1 ng DNA of cattle and pig, 1.0 pg DNA of chicken, duck and turkey, and 0.1 pg DNA of goose for raw samples, respectively. The detection limits were 0.1 ng DNA of cattle, 1.0 ng DNA of pig and 1.0 pg DNA of chicken for DNA mixtures (beef, pork and chicken) extracted from heat-treated ($121^{\circ}C$/5 min) meat samples. In conclus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TaqMan^{(R)}$ probe-based assay developed in this study might be a rapid and specific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meat species in raw or cooked meat products.

Identity of Spirometra theileri from a Leopard (Panthera pardus) and Spotted Hyena (Crocuta crocuta) in Tanzania

  • Eom, Keeseon S.;Park, Hansol;Lee, Dongmin;Choe, Seongjun;Kang, Yeseul;Bia, Mohammed Mebarek;Ndosi, Barakaeli Abdieli;Nath, Tilak Chandra;Eamudomkarn, Chatanun;Keyyu, Julius;Fyumagwa, Robert;Mduma, Simon;Jeon, Hyeong-Kyu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639-645
    • /
    • 2019
  • In the present study, a Spirometra species of Tanzania origin obtained from an African leopard (Panthera pardus) and spotted hyena (Crocuta crocuta) was identified based on molecular analysis of cytochrome c oxidase I (cox1) and NADH dehydrogenase subunit I (nad1) as well as by morphological observations of an adult tapeworm. One strobila and several segments of a Spirometra species were obtained from the intestine of an African male leopard (Panthera pardus) and spotted hyena (Crocuta crocuta) in the Maswa Game Reserve of Tanzania.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 theileri observed comprised 3 uterine loops on one side and 4 on the other side of the mid-line, a uterine pore situated posterior to the vagina and alternating irregularly either to the right or left of the latter, and vesicular seminis that were much smaller than other Spirometra species. Sequence differences in the cox1 and nad1 genes between S. theileri (Tanzania origin) and S. erinaceieuropaei were 10.1% (cox1) and 12.0% (nad1), while those of S. decipiens and S. ranarum were 9.6%, 9.8% (cox1) and 13.0%, 12.6% (nad1), respectively.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Tanzania-origin Spirometra specimens coincided with those of S. theileri, and the molecular data was also consistent with that of S. theileri, thereby demonstrating the distribution of S. theileri in Tanzania. This places the leopard (Panthera pardus) and spotted hyena (Crocuta crocuta) as new definitive hosts of this spirometrid tapeworm.

GRIM-19 Ameliorates Multiple Sclerosis in a Mouse Model of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with Reciprocal Regulation of IFNγ/Th1 and IL-17A/Th17 Cells

  • Jeonghyeon Moon;Seung Hoon Lee;Seon-yeong Lee;Jaeyoon Ryu;Jooyeon Jhun;JeongWon Choi;Gyoung Nyun Kim;Sangho Roh;Sung-Hwan Park;Mi-La Cho
    • IMMUNE NETWORK
    • /
    • 제20권5호
    • /
    • pp.40.1-40.15
    • /
    • 2020
  • The protein encoded by the Gene Associated with Retinoid-Interferon-Induced Mortality-19 (GRIM-19) is located in the mitochondrial inner membrane and is homologous to the NADH dehydrogenase 1-alpha subcomplex subunit 13 of the electron transport chain. Multiple sclerosis (MS) is a demyelinating disease that damages the brain and spinal cord. Although both the cause and mechanism of MS progression remain unclear, it is accepted that an immune disorder is involved. We explored whether GRIM-19 ameliorated MS by increasing the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immune cells; we used a mouse model of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to this end. Six-to-eight-week-old male C57BL/6, IFNγ-knockout (KO), and GRIM-19 transgenic mice were used; EAE was induced in all strains. A GRIM-19 overexpression vector (GRIM19 OVN) was electrophoretically injected intravenously. The levels of Th1 and Th17 cells were measured via flow cytometry, immunofluorescence,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IL-17A and IFNγ expression levels were assessed via ELISA and quantitative PCR. IL-17A expression decreased and IFNγ expression increased in EAE mice that received injections of the GRIM-19 OVN. GRIM19 transgenic mice expressed more IFNγ than did wild-type mice; this inhibited EAE development. However, the effect of GRIM-19 overexpression on the EAE of IFNγ-KO mice did not differ from that of the empty vector. GRIM-19 expression was therapeutic for EAE mice, elevating the IFNγ level. GRIM-19 regulated the Th17/Treg cell balance.

오미자 발효음료의 알코올 분해능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및 α-Glucosidase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α-Glucosidase,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of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everage)

  • 조은경;조혜은;최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55-661
    • /
    • 2010
  • 전통발효식품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거창 농가로부터 구입한 오미자를 발효시켜 오미자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며,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오미자 발효액의 혈전분해능에 대해 분석한 결과, 혈전용 해제로 알려져 있는 plasmin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항고혈압제인 captopril은 93.4%의 ACE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5배 희석한 오미자 발효액(20%)에서는 94.8%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오미자 발효액은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 항고혈압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혈당 강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오미자 발효액의 pancreatin $\alpha$-amylase에 대한 저해 효과를 검토한 결과 오미자 발효액 25%의 농도에서 7.4%의 저해효과가 나타났고 오미자 발효원액인 100%에서는 100%의 높은 $\alpha$-amyl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오미자 발효액의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오미자 발효액의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를 조사한 결과 30%의 농도에서 15.8%, 60%의 농도에서 49%의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ositive control인 Vit. C 0.1%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61~76%, pH 6.0에서는 49%의 소거능을 보인 반면 오미자 발효원액(100%)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72~96%, pH 6.0에서는 68%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오미자 발효액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오미자 발효액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 발효액은 acetaldehyde 분해능은 없는 반면, 알코올 분해능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오미자 발효액의 우수한 기능성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기대된다.

제주재래돼지 집단서 집단특이적 mtDNA Haplotype과 유전적 다양성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pecific Mitochondrial DNA Haplotype Found in the Jeju Native Pig Population)

  • 한상현;조인철;이종언;이성수;강승률;최유림;오윤용;성필남;고서봉;오문유;고문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917-924
    • /
    • 2004
  • 미토콘드리아 ND2 유전자와 세 가지 tRNA (tRNA-M앙, tRNA-Trp, tRNA-Ala)들이 포함}는 mtDNA 절펀의 PCR-RFLP haplotyping 기법으로 제주도에서 사육하는 한국 재래돼지를 포함하는 5개 품종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몇몇 돼지 품종에서 mtDNA 상의 제한절편 길이의 다형성이 관찰되었다. HaeIll-와 Hinf1RFLP에서는 두 가지 제한절편 유형, Tsp509IRFLP에서는 네 가지 유형으로 각각 구분되었다. 발견된 제한절편 유형들을 조협하여 mtDNA haplotype으로 구분했을 때, 모두 네 가지 haplotype들이 발견되었고 집단에 따라 각기 다른빈도를 나타내였다. 하나의 동일한 haplotype mtWB가 한반도 야생멧돼지와 Large White 집단에서 관찰되었다. Duroc과 Landrace 품종들은 여러 모계 선조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두 가지의 haplotype들을 가지고 있었다. 제주도에서 사육되고 있는 한국재래돼지 집단에서는 muD와 mtJN haplonpe들이 관찰되었는데, 이 중 mtJN은 빈도가 높고 집단 특이적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주 돼지 집단의 형성에 적어도 둘 이상의 모계 선조가 참여했으며, 이후 동아시아 언근 돼지 품종들과의 인위적인 교잡아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진의 예상과는 달리 한반도 야생멧돼지가 제주 재래돼지 집단의 모계 선조라는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다. MtDNA haplotype과 돼지 계통간의 관계 에서의 특이성은 돼지 육종에 있어 모계 확인과 계보 구성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K9 유전체 분석을 통해 필수 물질대사 경로의 탐색 (Examination of the Central Metabolic Pathway With Genomics in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K9)

  • 김삼웅;김영진;최효인;이상원;지원재;방우영;김태완;방규호;갈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465-475
    • /
    • 2024
  •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K9은 굼벵이에서 분리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에 기인하여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 활용 가능한 유산균이다. L. plantarum K9 유전체 분석결과로써 박테리아 염색체와 3 plasmid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 plantarum K9의 핵심 대사경로 분석 결과 해당과정, 오탄당대사(pentose phosphate pathway)는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포도당신생합성과 ED pathway의 핵심 효소인 fructose-1,6-bisphosphatase (EC: 3.1.3.11)와 6-phosphogluconate dehydratase (EC: 4.2.1.12) / 2-keto-de- oxy-6-phosphogluconate (KDPG) aldolase (EC: 4.2.1.55)가 각각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포도당신생합성과 ED pathway는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제의된다. 또한, TCA 회로에서 fumarate 및 malate를 형성하는 일부 효소만 존재하는 반면에 나머지 TCA 회로에 연관되는 효소들이 모두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에 TCA 회로는 진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산화적 전자전달계는 NADH dehydrogenase complex I과 cytochrome reductase complex IV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class IIB 타입(bd-type)의 전자전달시스템을 수행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종합적으로, L. plantarum K9은 lactic acid 동형발효를 수행하며, 포도당신생합성 및 오탄당대사가 가능하며, class IIB 타입(bd-type) 산화적 전자전달시스템에 의해 에너지 대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제의된다. 따라서, L. plantarum K9은 다른 유산균주에 비교하여 lactic acid 생성량이 비교적 높아 생리활성도가 우수할 것으로 제의된다. 다른 한편으로, L. plantarum K9은 산화적 전자전달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어 산소에 대한 내성이 높아서 배양 특성이 양호하여 프로바이틱스로써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제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