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2 non-small cell lung cancer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초

비소세포성폐암에서 방사선치료단독요법과 항암제 병합요법과의 치료결과 비교 (Therapeutic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i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 김주리;서현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03-309
    • /
    • 1993
  • Between November 1983 and December 1992, 121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or combined with chemotherapy in Inje University, Seoul Paik Hospital. Of these,97 patients were evaluable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Group 1 (n=62)was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and group 2 (n=35) combined with chemotherapy. There were 7 patients, 1 patient with stage I and II ,20 patients, 11 patients with stage IIIA,28 patients, 20 patients with stage IIIB, and 6 patients, 3 patients with stage IV, respectively. Ninety percent of patients received more than 5000 cGy of radiaton. Median survival of patients in group 1 was 9 months, group 2 was 15 months. Overall 2 year survival rates of group 1 and 2 were $37\%\;and\;27\%$, respectively. Relapse free survival rates at 2 year were $27\%\;and\;15\%$, respectively. Overall survival rates at 5 year for group 1 and 2 were $15\%\;and\;11\%$, and relapse free survival rates were $16\%\;and\;6\%,$ respectively. Median survival of complete and partial responders was 47 months in group 1,18 months in group 2, and those of stable or progression was 6 months,11 months,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locoregional relapse and distant metastas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1 and 2. The majority of relapse developed within 2 years. Although 2 cases of severe esophagitis and myelosuppression were noted in group 2, the treatment related toxicity was relatively acceptable. Our analysi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in terms of response rate, survival, and sites of relapse.

  • PDF

좌상엽에 발생한 비소세포형 폐암에서 Aortic Node의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Aortic Node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of the Left Upper Lobe)

  • 김대준;김길동;이기종;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1호
    • /
    • pp.846-851
    • /
    • 2003
  • 배경: 좌상엽에 발생한 비소세포형 폐암에서 aortic node전이 양상에 따른 생존율을 분석하여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좌상엽에 발생한 비소세포형 폐암으로 페엽절제술 이상의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항암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와 수술 사망 환자를 제외한 15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결과: 종격동임파절 전이 중 aortic node로의 전이는 52.7%였으며, 단일 부위(single station) 전이 중 aortic node로만 전이된 경우는 64.3%였다. N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N0 65.0%, Nl 30.4%, N2 17.9%였으며, Nl 병기와 N2 병기 간에는 생존율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p=0.06). N2 병기 중 aortic node에만 전이된 경우 5년 생존율 35.6%로 다른 종격동임파절에 전이된 경우(5년 생존율 4.6%)보다 생존율이 높았으며 (p=0.01), Nl 병기와 비교 시 비슷한 생존율을 보였다(p=0.97). Aortic node를 Nl 임파절로 재분류하였을 때 N 병기별 5년 생존율은 N0 65.0%, Nl 11.2%, N2 4.6%로 Nl 병기와 N2 병기 간에 뚜렷한 생존율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0). 다변량 분석 시 aortic node에만 전이된 경우(hazard ratio 2.799, p=0.009), 남자(hazard ratio 6.892, p=0.011)가 술 후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있는 인자였다. 결론: 좌상엽 종양에서 aortic node에만 전이된 경우 외과적 절제 시 Nl 병기와 비슷한 생존율을 가지며, 따라서 치료 방침의 결정 시 이를 Nl 임파절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노령환자 폐암의 임상적 특징 (Characteristics of Lung Cancer in the Elderly)

  • 정경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5호
    • /
    • pp.660-668
    • /
    • 1999
  • 연구배경: 폐암의 발생은 접점 증가추세로 65세 이상환자가 전체 폐암의 50% 정도를 차지하지만, 잦은 만성 질환의 동반, 각종 장기의 기능저하로 수술, 방사선치료나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적극적 치료를 감당하지 못할 것을 우려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어 노령 폐암환자의 임상적 특성의 분석을 통하여 향후 이들에 대한 대책수립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4년 9월부터 1998년 8월사이에 서울특별시립 보라매 병원에 입원하여 폐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207명을 대상으로, 65세이상의 I군과 65세미만의 II군으로 분류하여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60대에서 36.2%로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였고, 65세 이상의 남자환자가 전체환자의 42%였다. I군에서 호흡곤란을 주소로 하는 환자가 유의하게 많았으나, 이외의 증상이나 병기, 조직학적 분류상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ECOG기준 활동도 3, 4인 환자가 II군의 12.9%에 비해 I군에서는 35.2%로 많았다. 소세포폐암의 치료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비소세포폐암 환자는 II군의 35%에 비해 I군 환자의 74%가 보존적 치료만을 받았고, 수술이나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I군에서 14%에 불과하였다. 두 군간에 생존을 비교하면 I군의 중앙생존기간이 10개월로 II군의 17.4개월에 비해 떨어지지만, 보존적 치료외에 어떠한 치료라도 받았던 환자에서는 두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활동도, 병기, 조직학적 아형만이 다변량분석시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였고 연령은 생존과 무관한 인자였다. 결 론: 폐암은 노령환자의 질환이라고 할만큼 65세 이상에서 호발하며, 환자의 연령에 의해서 예후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노령환자라 하더라도 폐암에 대한 적극적 진단 및 치료가 필하다고 하겠다.

  • PDF

비소세포성 폐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 전하정;이명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13-117
    • /
    • 2001
  • 목적 :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생존율 및 국소제어율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재료 및 방법 : 1987년 5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근치적 수술후 외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N1 및 N2 병기의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9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 나이의 분포는 32세부터 78세이었다. TNM 병기에 따른 환자분포는 35명이 제 2 병기, 57명이 제 3 병기이었다. N1 병기의 환자는 49명이었고 N2 병기의 환자는 43명 이었다. 56명은 $T1\~2$ 병기의 종양에 속하였고 36명은 $T3\~4$ 병기의 종양에 속하였다. 총 방사선 조사량은 40 내지 60 Gy이었으며 대부분의 환자는 50 Gy 또는 50.4 Gy의 방사선을 조사 받았다. 추적기간은 9개월 내지 7년이었으며 중앙값은 26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에서 3년 및 5년 생존율은 $46\%$$38\%$이었다. 3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44\%$$36\%$이었다. 제2 병기 환자와 제3 병기의 환자에서 5년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50\%\;vs\;28\%)$. N1 병기 및 N2 병기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각각 $52\%$$20\%$이었다. $Tl\~2$ 병기 및 $T3\~4$ 병기 환자에서는 각각 $40\%$$34\%$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국소 재발율은 $13\%$이었고, N1 병기 및 N2 병기 환자에서의 국소 재발율은 각각 $8\%$$18\%$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국소 제어율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생존율을 향상시키지는 못하였다. 원격 전이를 예방하여 궁극적으로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전신요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Gemcitabine Plus Paclitaxel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Baykara, Meltem;Coskun, Ugur;Berk, Veli;Ozkan, Metin;Kaplan, Muhammet Ali;Benekli, Mustafa;Karaca, Halit;Inanc, Mevlude;Isikdogan, Abdurrahman;Sevinc, Alper;Elkiran, Emin Tamer;Demirci, Umut;Buyukberber, Suleym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0호
    • /
    • pp.5119-5124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determine response rates,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overall survival (OS) and toxicity of gemcitabine and paclitaxel combinations with advanced or metastatic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NSCLC) who have progressive disease after platinum-based first-line chemotherapy.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file records of patients treated with gemcitabine plus paclitaxel in advanced or metastatic NSCLC cases in a second-line setting. The chemotherapy schedule was as follows: gemcitabine $1500mg/m^2$ and paclitaxel 150 mg/m2 administered every two weeks. Results: Forty-eight patients (45 male, 3 female) were evaluated; stage IIIB/IV 6/42; PS0, 8.3%, PS1, 72.9%, PS2, 18.8%; median age, 56 years old (range 38-76). Six (12.5%) patients showed a partial response (PR), 13 (27.1%) stable disease (SD), and 27 (56.3%) progressive disease (PD). The median OS was 6.63 months (95% CI 4.0-9.2); the median PFS was 2.7 months (95% CI 1.8-3.6). Grade 3 and 4 hematologic toxicities, including neutropenia (n=4, 8.4%), and anemia (n=3, 6.3%) were encountered, but no grade 3 or 4 thrombocytopenia. One patient developed febrile neutropenia. There were no interruption for reasons of toxicity and no exitus related to therapy.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two-weekly gemcitabine plus paclitaxel was an effective and well-tolerated second-line chemotherapy regimen for advanced or metastatic NSCLC patients previously treated with platinum-containing chemotherapy. Although the most common and dose limiting toxicities were neutropenia and neuropathy, this regimen was tolerated well by the patients.

재발성 비소세포폐암에서 Pemetrexed 치료 효과와 Thymidylate Synthase 발현의 관계 (Efficacy of Pemetrexed in Relapsed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Thymidylate Synthase Expression)

  • 박철규;김규식;오인재;;최유덕;권용수;김유일;임성철;김영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3호
    • /
    • pp.191-198
    • /
    • 2009
  • Background: Pemetrexed, a multi-targeted antifolate has been used as a second line treatment against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We aimed to clarify the efficacy and survival according to line of treatment, histologic type, and expression of thymidylate synthase (TS). Methods: Ninety-eight patients were treated with pemetrexed as a second line treatment (n=43) or as an additional course of treatment (n=55). TS expression was studied with immunohistochemistry and graded as 0 to 3 based on the extent of expression. Results: The response rate (RR) in 98 subjects was 10.2% and the disease control rate (DCR=PR+SD) was 30.6%. RR and DCR were 12.7% and 32.7% in non-squamous cell carcinoma (NSQC) compared to 7.0% and 27.9% in squamous cell carcinoma (SQC)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R and DCR were observed between a second line group (4.7%, 20.9%) and a further line group (14.5%, 38.2%). A similar trend was observed in the 88 response evaluable subjects. TS was expressed in 28.6% (grade 1), 24.5% (grade 2) and 7.1% (grade 3), respectively, and it was not expressed in 39.8% of subjects. TS express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QC (72.1%) compared to NSQC (50.9%, p=0.033). However, the efficacy of pemetrexe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extent of TS expression. Conclusion: Pemetrexed showed efficacy, not only in a second-line setting, but also in further lines of treatment for NSCLC. The efficacy of pemetrexed tended to be higher in patients with NSQC compared to SQC. TS express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QC compared to NSQC.

Paired analysis of tumor mutation burden calculated by targeted deep sequencing panel and whole exome sequencing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Park, Sehhoon;Lee, Chung;Ku, Bo Mi;Kim, Minjae;Park, Woong-Yang;Kim, Nayoung K.D.;Ahn, Myung-Ju
    • BMB Reports
    • /
    • 제54권7호
    • /
    • pp.386-391
    • /
    • 2021
  • Owing to rapid advancements in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genomic alteration is now considered an essential predictive biomarkers that impact the treatment decision in many cases of cancer. Among the various predictive biomarkers, tumor mutation burden (TMB) was identified by NGS and was considered to be useful in predicting a clinical response in cancer cases treated by immunotherapy. In this study, we directly compared the lab-developed-test (LDT) results by target sequencing panel, K-MASTER panel v3.0 and whole-exome sequencing (WES) to evaluate the concordance of TMB. As an initial step, the reference materials (n = 3) with known TMB status were used as an exploratory test. To validate and evaluate TMB, we used one hundred samples that were acquired from surgically resected tissue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patients. The TMB of each sample was tested by using both LDT and WES methods, which extracted the DNA from sample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impact of capture region, which might lead to different values of TMB; the evaluation of capture region was based on the size of NGS and target sequencing panels. In this pilot study, TMB was evaluated by LDT and WES by using duplicated reference samples; the results of TMB showed high concordance rate (R2 = 0.887). This was also reflected in clinical samples (n = 100), which showed R2 of 0.71.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ding sequence ratio (3.49%) and the ratio of mutations (4.8%) indicated that the LDT panel identified a relatively higher number of mutations. It was feasible to calculate TMB with LDT panel, which can be useful in clinical practice. Furthermore, a customized approach must be developed for calculating TMB, which differs according to cancer types and specific clinical settings.

완전 절제된 비소세포폐암 병기 IB (pT2N0) 환자에서 수술 후 UFT의 효과 (Impact of Postoperative Oral Administration of UFT for Completely Resected pT2N0 Non-Small Cell Lung Cancer)

  • 이진구;박인규;김대준;김길동;조상호;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6호
    • /
    • pp.428-434
    • /
    • 2007
  • 배경: 최근의 연구들에서 완전 절제된 병기 IB (pT2N0)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 항암요법으로 UFT의 효과에 대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완전 절제된 병기 IB 비소세포폐암에서 보조 항암요법으로 UFT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완전 절제된 병기 IB 비소세포페암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수술 후 2년간 3g의 UFT 사용군(UFT군)과 수술만 시행한 군(비교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환자는 사망 또는 관찰 완료시점(2006년 12월 31일)까지 추적하였다. 결과: 2002년 6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모두 64명의 환자가 포함되었고 UFT 사용군이 35명, 비교군이 29명이었다 모든 환자의 추적 기간의 중앙값은 32.8개월이었으며 모든 환자에 있어서 관찰종료시점까지 추적이 가능하였다. UFT군에서 UFT 투여된 기간의 중앙값은 98주(범위: $2{\sim}129$주)였다. 약물의 순응도는 6개월에 88.2%, 12개월에 87.5%, 18개월에 80.6%, 24개월에 66.7%였다. 추적중 비교군에서 7명(24.1%), UFT군에서 6명(17.1%)의 환자가 재발하였다(p=0.489). 3년 무병생존율은 비교군에서 71.3%, UFT군에서 82.0%였다(p=0.331). 비소세포폐암 중 선암만을 대상으로 비교 시 3년 무병생존율이 비교군에서 45.0%, UFT군에서 75.2%였고(p=0.121) 비-선암을 대상을 했을 때 3년 무병생존율이 비교군에서 88.1%, UFT군에서 88.9%였다(p=0.964). 결론: 병기 IB 비소세포폐암에서 수술 후 경구 UFT의 보조항암요법은 안전하게 장기간 투여할 수 있었고 비록 통계학적인 의의를 얻지는 못했으나 완전 절제된 IB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수술 후 UFT보조항암요법은 생존율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선암 환자에 있어서 생존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선향적 무작위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Gefitinib-민감성 또는 내성 비소세포폐암 세포에서 Licochalcone C에 의한 자가포식 유도 (Licochalcone C Induces Autophagy in Gefitinib-sensitive or-resistant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오하나;윤구;채정일;심정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05-1313
    • /
    • 2019
  • 감초(Glycyrrhiza inflata)의 뿌리에서 분리된 Licochalcone (LC)은 항염증 및 항종양과 같은 많은 약리학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LCC는 구강암과 방광암에서 연구되었지만 폐암에서의 연구는 밝혀진 바 없다. 또한, 암에서 LCC에 의해 유도된 autophagy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gefitinib-민감성 또는 내성을 갖는 폐암 세포에 대한 LCC의 효과 및 작용 메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MTT 분석 데이터는 LCC가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인 HCC827 (gefitinib-민감성) 및 HCC827GR (gefitinib-내성)에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흥미롭게도, Annexin V/7-aminoactinomycin D 이중 염색 및 세포주기 분석에서 가장 높은 농도의 LCC 처리는 apoptosis를 유도하는 비율이 약 10%였다. LCC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 세포주기 G2/M 관련 단백질인 cyclin B1 및 cdc2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G2/M 정지를 야기하였다. LCC의 처리는 autophagy marker 단백질인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LC3) 및 autophagy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autophagy-related gene (Atg)5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autophagy를 유도하였다. 또한, LCC는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ROS 억제제인 N-acetyl-L-cysteine (NAC)에 의해 세포생존율이 부분적으로 회복되었다. Western blotting 분석에서, NAC과 LCC의 동시처리에 의해 cdc2의 발현이 증가하고 LC3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LCC가 비소세포폐암에서 ROS-의존적 G2/M 정지 및 autophagy를 유도함으로써 항종양 효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LCC 치료는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잠재적 치료제로서 유용할 수 있다.

Definitive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for clinical stage T4N0-1 non-small cell lung cancer

  • Kim, Yeon Joo;Song, Si Yeol;Jeong, Seong-Yun;Kim, Sang We;Lee, Jung-Shin;Kim, Su Ssan;Choi, Wonsik;Choi, Eun Kyung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284-293
    • /
    • 2015
  • Purpose: To determine failure patterns and survival outcomes of T4N0-1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treated with definitive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Ninety-five patients with T4N0-1 NSCLC who received definitive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from May 2003 to October 2014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tandard radiotherapy scheme was 66 Gy in 30 fractions. The main concurrent chemotherapy regimen was $50mg/m^2$ weekly paclitaxel combined with $20mg/m^2$ cisplatin or AUC 2 carboplatin. The primary outcome was overall survival (OS). Secondary outcomes were failure patterns and toxicities. Results: The median age was 64 years (range, 34 to 90 years). Eighty-eight percent of patients (n = 84) had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of 0-1, and 42% (n = 40) experienced pretreatment weight loss. Sixty percent of patients (n = 57) had no metastatic regional lymph nodes. The median radiation dose was EQD2 67.1 Gy (range, 56.9 to 83.3 Gy). Seventy-one patients (75%)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of these, 13 were also administered neoadjuvant chemotherapy. At a median follow-up of 21 months (range, 1 to 102 months), 3-year OS was 44%. The 3-year cumulative incidences of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recurrence were 48.8% and 36.3%, respectively. Pretreatment weight loss and combined chemotherapy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OS. Acute esophagitis over grade 3 occurred in three patients and grade 3 chronic esophagitis occurred in one patient. There was no grade 3-4 radiation pneumonitis. Conclusion: Definitive radiotherapy for T4N0-1 NSCLC results in favorable survival with acceptable toxicity rates. Local recurrence is the major recurrence pattern.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and radio-sensitizing agents would be needed to improve local tumor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