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P-fertilization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26초

논과 밭 지하수의 영양물질 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Nutrient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under Paddy and Upland Fields)

  • 장훈;김진수;김영현;송철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6호
    • /
    • pp.67-74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ncentrations of nutrients such as total nitrogen (TN), nitrate nitrogen ($NO_3$-N) total phosphorous (TP), and phosphate phosphorous ($PO_4$-P) in groundwater under paddy and upland fields, and surface water recharging from a rural mixed land-use watershed. Chinese cabbage and hot pepper were cultivated on the upland field plot. The TN concentrations in upland groundwater showed double peaks (4.7, 4.3 mg/L, respectively) in April 2009 shortly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indicating that TN concentrations are greatly influenced by fertilization. However, the TN concentrations in paddy groundwater were always lower than 2.0 mg/L irrespective of fertilization. Whereas the mean concentrations of TN and $NO_3$-N in upland groundwater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surface water, the mean concentrations of TP and $PO_4$-P in upland groundwat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surface water. On the other hand, the mean concentrations of TN, $NO_3$-N, TP and $PO_4$-P in paddy groudwater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ose in surface water. The TN concentrations in upland groundwater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in surface water during early April to early December due to the effect of fertilization, but vice versa in the other periods. In contrast, the TP concentrations in upland groundwater were always lower than those in surface water due to the sorption of inorganic phosphorous by soil. Moreover, the TN and TP concentrations in paddy groundwater were always lower than those in surface water, and therefore paddy groundwater may dilute nutrient concentrations in surface water when paddy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mix.

Effects of Fertilizer on Growth, Carbon and Nitrogen Responses of Foliage in a Red Pine Stand

  • Kim, Choonsig;Ju, Nam-Gyu;Lee, Hye-Yeon;Lee, Kwang-So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7
    • /
    • 2013
  • This study was to examine growth, carbon and nitrogen responses in foliage following forest fertilization in a red pine stand. Two types of fertilizer (N:P:K=113:150:37 kg $ha^{-1}$; P:K=150:37 kg $ha^{-1}$) were applied on late April 2011. Growth, carbon and nitrogen responses of foliage were monitored 3 times (July, September, November) after fertilization. Morphological growth responses (dry mass, leaf area, specific leaf area) with foliage age were not significantly (P > 0.05) affected by fertilizer application, while needle dry mass and leaf area of Jul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urrent-year-old than in one-year-old or two-year-old needles of September or November. Carbon concentration and content in foliage was little affected by fertilizer application compared with sampling month or needle age, while the NPK fertilizer produced high nitrogen concentration and content of foliage. The results indicate that nitrogen concentration and content in foliage may serve as an indicator of the nitrogen status by fertilization in a red pine stand.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Oxalate Content in Rhodesgrass, Guineagrass and Sudangrass

  • Rahman, M.M.;Yamamoto, M.;Niimi, M.;Kawamura, 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214-219
    • /
    • 2008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itrogen (N) level on the dry matter (DM) yield, N concentration and oxalate content of some tropical grasses, namely Rhodesgrass (Chloris gayana), Guineagrass (Panicum maximum) and Sudangrass (Sorghum vulgare). Three levels of N as urea were applied (Standard- 260, $Standard{\times}2$- 540 and$Standard{\times}4$- 1,060 kg N/ha for Rhodesgrass; Standard- 380, $Standard{\times}2$- 770 and $Standard{\times}4$- 1,570 kg N/ha for Guineagrass and Sudangras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nd grasses were harvested twice at approximately two-month intervals. Dry matter yield tended to be higher with increased rate of N fertilizer in all species, while further additional N ($Standard{\times}2$ or $Standard{\times}4$) did not significantly (p>0.05) further increase DM yield, when compared with the Standard level of N fertilizer application. There was also a trend towards higher N concentration in plants as N fertilization increased in all species and i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Rhodesgrass and Sudangrass (p<0.05 or p<0.01, respectively). Further additional N ($Standard{\times}2$ or $Standard{\times}4$) application showed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on oxalate content in plant tissue within species, when compared with the Standard level of N. The Rhodesgrass contained 0.11, 0.13 and 0.15% soluble oxalate and 0.23, 0.25 and 0.27% total oxalate with Standard, $Standard{\times}2$ and $Standard{\times}4$ level of N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Guineagrass contained 0.54, 0.50 and 0.42% soluble oxalate and 1.60, 1.56 and 1.45% total oxalate with Standard, $Standard{\times}2$ and $Standard{\times}4$ level of N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Sudangrass contained 0.06, 0.15 and 0.12% soluble oxalate and 0.22, 0.22 and 0.21% total oxalate with Standard, $Standard{\times}2$ and $Standard{\times}4$ level of N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se grasses do not use further addition of N fertilizer ($Standard{\times}2$ or $Standard{\times}4$) to form high content of oxalate salts, when compared with the Standard level of N. In addition, the levels of oxalate present with these grasses are quite low as far as toxicity to animals is concerned.

한국잔디의 녹색기간연장을 위한 생리생태학적 연구(II)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II) on Prolongation of the Green)

  • 김형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1
    • /
    • 1990
  • Korean Lawn. Zoysia japonica Steud. is the type of a perennial warm-season turfgrass keeping green leaf color for 5 months from May to September in natural condition in Korea.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obtain the effects of N-P-K fertilization, regrowth capacity after mowing and chlorophyll contents on prolongation of the green leaf color period in Zoysia japonica Steud turfgrass area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The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in Zoysia japonica Steud, turfgrass areas were affected on regrowth ability after mowing green color of leaf canopies and chlorophyll contents, respectively(P<.05) 2.A experimental plots which applied 51 g/m$^2$/10 weeks of N$_3$P$_1$K$_1$fertilizer, there were high significant effects on prolongation of the green leaf color period and the plots of phosphorus and potassium had additive effects. 3.Prolongation of the green leaf color period to the last of October was obviously possible by slow degrees in proportation to increment of the fertilizer. However, it is interpreted that more prolongation of the green period is impossible with N-P-K fertilization and irrigation treatments. unless the intermediate turfgrasses between $C_3$ and $C_4$plants must be found and bred.

  • PDF

시설재배지 토양 검정에 의한 배추의 적정 시비량 (Optimum Fertilization Based on Soil Testing for Chinese Cabbage Cultivation in Plastic Film Houses)

  • 홍순달;강보구;김재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6-24
    • /
    • 1998
  • 시설재배 토양의 염류집적 방지를 위한 적정 시비량 추천방안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6년도에 영동군, 보은군, 청원군, 및 청주시의 시설재배지로부터 염류농도가 다양한 20개 토양을 채취하여 폿트 시험으로 무비구와 시비구로 구분하며 배추의 생산성과 비료효과를 조사하였다. 무비구의 배추 건물중 및 질소, 인산, 칼륨 흡수량을 비옥도 요인으로 그리고 이들 조사자료에 대한 시비구와 무비구의 차이 값을 비료 전체효과 및 비료 질소, 인산, 칼륨효과로 고려하였다. 비옥도 및 비료효과 요인들은 화학적 검정 방법들과 회귀관계를 분석하여 시설재배 토양의 적정 시비량 추천을 위한 검정법의 선발과 검정 기준을 추정하였다. 토양의 전기전도도가 9.3및 15.2 ds/m인 두 토양들은 염류장해에 의하여 배추 묘의 활착이 불가능하였다. 무기태질소($NO_3-N$, $NH_4-N$), 전기전도도 및 양이온 치환용량은 비옥도 및 비료효과의 두 요인들과 유의성 있는 상관을 갖는 검정법으로 선발 되었다. 배추의 생산력 및 비료효과에 대한 화학성들의 가중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표준 편회귀 계수를 분석 한 결과 무기태질소 함량의 편회귀 계수 절대치는 756~1871으로서 0.07~4.11 범위를 보인 다른 검정법들에 비하여 월등히 큰 값으로 절대적인 기여도를 보이며 가장 양호한 검정법으로 확인 되었다. 무비구 배추의 생산력 및 비료효과의 두 요인들과 무기태 질소 함량의 분산형 도표를 이용하여 Cate-Nelson split방법으로 평가 한 결과 최대의 생산력 및 비료효과 0가 되는 검정 기준값은 모든 평가 요인들에 대하여 $NH_4-N+NO_3-N$ 함량으로 220 mg/kg의 동일한 수준으로 추청 되었다. 이러한 검정기준은 시설재배 토양의 배추재배를 위한 시비의 한계기준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설재배 토양의 배추재배에 대한 적정 시비량은 무기태 질소 함량 220 mg/kg 을 시비 한계기준으로 정하고 기준값 이하는 비료효과와의 회귀관계로부터 추정이 가능하였다. 또한 시설재배 토양의 검정법으로 많이 활용되는 전기전도도와 배추 생산력과의 관계에서 검정기준간은 2.8 ds/m로 추정 되었다.

  • PDF

질소(窒素)와 인(燐) 시비(施肥)가 Open-Top Chamber 내(內)에서 오존에 노출(露出)시킨 소나무(Pinus densiflora) 묘목(苗木)의 생장(生長), 탄수화물(炭水化物) 농도(濃度)와 광합성(光合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ertilization on the Growth, Carbohydrate Contents and photosynthesi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Exposed to Ozone in an Open-Top Chamber)

  • 박재형;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306-313
    • /
    • 2001
  • 본 연구는 질소와 인의 영양상태에 따라서 오존에 노출시킨 조경수목의 생리적 반응과 오존에 대한 저항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년생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 묘목을 인공토양(버미큘라이트와 펄라이트)을 담은 플라스틱 화분에 심고, 6월초부터 변형된 Hoagland 용액을 이용하여 질소와 인을 조절하여 양묘하고, 7월 3일부터 8월 31일까지 open-top chamber(직경 2.5m, 높이 2.0m)내에서 8주간 1일 7시간씩(0.12ppm에서는 3시간씩) 오존농도를 자연상태에 유사하게 조절하여 노출시켰다. 오존대조구는 활성탄을 사용하여 오존농도를 0.02ppm 이하로 유지하였다. 8주 후에 부위별 생장량, 탄수화물 함량, 엽록소 함량, 순광합성속도를 측정하였다. 오존에 노출시킨 어떤 묘목에서도 가시적 피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오존대조구에서 질소와 인의 각각 혹은 동시 시비로 총건중량이 22%에서 95%까지 증가하여 시비효과를 확인하였다. 오존처리구에서도 시비효과는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오존처리는 오존대조구와 비교하여 건중량을 감소시키지 않았으나, S/R(Shoot/Root)용을 14.5% 증가시켰다. 잎의 설탕함량은 오존처리로 평균 23%가 증가한 반면에, 뿌리의 설탕함량은 질소와 인의 시비와 관계없이 오존처리로 평균 20% 감소하였다. 잎의 전분함량은 시비 혹은 오존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뿌리의 전분함량은 오존처리로 41% 감소하여, 뿌리로 탄수화물의 이동이 감소함으로써 뿌리의 발달이 상대적으로 위축되었음을 입증하였다. 잎의 엽록소 함량은 질소시비에 의하여 70% 증가하였으나, 오존에 의해서 감소하지 않았다. 순광합성속도는 오존대조구에서 질소의 단독시비로 80% 증가하였으며, 인의 경우는 질소가 함께 시비될 때에만 광합성을 증가시켰다. 오존처리구의 순광합성속도는 오존대조구보다 평균 11.7% 적었는데, 특히 질소와 인이 동시에 시비되었을 때 오존대조구보다 22.3% 적었다. 반면 질소와 인이 시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존에 의해서 순광합성속도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위와 같은 질소와 인과 오존 간의 상호작용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된다. 소나무 유묘는 단기간의 0.12ppm 오존 노출에서 가시적 피해를 입지 않았으며, 오존에 의하여 지상부의 생장이 감소하지 않지만 S/R 율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오존처리로 뿌리에서는 전분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했을 뿐만 아니라, 순광합성속도도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므로, 장기적으로 관찰하면 생장량이 감소하리라고 판단한다. 질소와 인의 시비에 의한 생장촉진효과는 오존으로 인하여 감소할 가능성이 있으나, 소나무에 시비하면 광합성을 촉진하고 탄수화물의 재분배를 통해서 오존피해를 복구하기 위한 에너지를 저축함으로써 저항성을 증진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ertilization Efficiency of Livestock Manure Composts as Compared to Chemical Fertilizers for Paddy Rice Cultivation

  • Kang, Chang-Sung;Roh, An-S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86-92
    • /
    • 2012
  • To promote the practical use of livestock manure compost (LC) for paddy rice cultivation, the fertilization efficiency of nutrients in LCs was investigated compared to that of chemical fertilizer.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rice field in Hwaseong, Korea, with 6 treatments by each of 3 kinds of tested LCs, cattle manure compost (CaC), swine manure compost (SwC) and chicken manure compost (ChC). The treatments consisted of 3 application levels of LCs and 3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s having the same application levels with LCs. $NH_4$-N content in soil became higher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urea application rate, while it became lower in LC plots than in urea plots, and statisticall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LC plots.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hosphate fertilization rate and the increment of soil available phosphate content after experiment resulting y = 0.1788x - 6.169 ($R^2=0.9425$) when applied fused superphosphate fertilizer, and y = 0.0662x - 2.689 ($R^2=0.9315$) when applied LC at the equivalent rates to phosphate input (x: phosphate application rate, kg $ha^{-1}$, y: increment in soil available phosphate content, mg $kg^{-1}$). And from these two equations, the correlation on the phosphate application rate between fused superphosphate fertilizer and LC could be obtained as y = 2.7056x - 52.492 (x: $P_2O_5$ application rate of fused superphosphate, kg $ha^{-1}$, y: $P_2O_5$ application rate of LC, kg $ha^{-1}$).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s, nutrients uptake by rice, and rice yield showed higher levels in N 100% and N 150% application plots of chemical fertilizers, while every LC plots exhibited lower value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Relative nitrogen fertilization efficiencies of LCs compared to urea was 12.3% for CaC, 8.8 for SwC and 24.6 for ChC, respectively.

Orchargrass - Red Clover 단순혼파초지의 시비수준이 목초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P-K Levels on the Herbage Yield and Quality of Orchargrass - Red Clover Mixtures)

  • 이형석;이인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07-315
    • /
    • 1994
  • 본 연구는 휴경지 및 완경사지를 잡약적인 방법으로 초지를 조성하여 단기간(3~6년)에 걸쳐 목초생산성을 증진하는데 자적을 두고 orchardgrass(OG)-red clover(RC) 단순혼파초지의 관리 및 이용체계를 확립하고자 1991년에서 1993년까지 3년간 N-P-K 시비수준 6처리를 두어 (0-0-0-, 50-100-100, 100-150-150, 200-250-250, 300-250-250kg/ha)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시험포장에서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P-K 시비수준의 높아짐에 따라 처리구에서 OG의 건물수량은 현저히 증가된 반면에 RC의 건물수량은 감소되었다(P<0.01). 3년 평균 - 건물수량은 N-P-K 300-350-350kg/ha 수준에서 13,082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200-250-250kg/ha와 150-200-200kg/ha수준에서 각각 10,664kg과 10,564kg을 얻었으나 두 수준간에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 식생구성비율 N-P-K 시비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OG는 증가되었고 반면에 RC는 감소되었다. 3년차 최종 예취시 식생구성비율은 ha당 N-P-K 시비수준이 0-0-0-일 때 OGdkh RC의 비율이 20%:80%인데 비해 150-200-200kg/ha에서는 60%:40% 이었고 300-350-350kg/ha 수준에서는 84%:16%이었다. 3. CP 함량 및 DMD는 N-P-K 시비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RC의 식생구성비율 감소로 인해 낮아졌으며(P<0.05) 반대로 NDF gkaifd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P<0.01). 4. CP 및 DDM 함량은 N-P-K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3년 평균 CP 및 DDM 함량은 300-350-350kg/ha 수준(1,847 및 9,391kg)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200-250-250kg/ha(1,651 및 7,774kg) 150-200-200kg/ha(1,676 및 7,757kg) 수준이었으나 두 처리간에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OG-RC 단순혼파초지에서의 N-P-K시비수준은 건물수량과 CP DDM 함량으로 보면 300-350-350kg/ha일 때 가장 높았으나 RC의 식생구성비율 수준 및 투입된 비료 가격을 기초로 초지에서의 목초생산비용을 고려할 때 OG-RC 단순혼파초지에서의 N-P-K시비수준은 150-200-200kg/hark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and Stage of Maturity of Mottgrass (Pennisetum purpureum) on its Chemical Composition, Dry Matter Intake, Ruminal Characteristics and Digestibility in Buffalo Bulls

  • Sarwar, M.;Mahr-un-Nisa, Mahr-un-Nis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7호
    • /
    • pp.1035-1039
    • /
    • 1999
  • Four ruminally cannulated buffalo bulls were fed mottgrass diets using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reatments were arranged factorially and consisted of mottgrass fertilized with 0 for Kg nitrogen (N) per acre and harvested at 40 and 60 days of age. Nitrogen fertilization improved the concentrations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in early-cut mottgrass (ECM) but, the acid detergent lignin (ADL) contents were higher in the late-cut mottgrass (LCM). The crude protein (CP) contents of the mottgrass decreased with advancing maturity, but N fertilization increased CP at both maturities. The intake of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CP, NDF and ADF were higher by buffalo bulls fed ECM than those fed LCM. The ruminal pH increased in first 6 hours post feeding in animals fed N fertilized mottgrass and may be due to higher concentration of ruminal ammonia. The digestibilities of DM, OM, CP, NDF and ADF were higher by buffalo bulls fed ECM than those fed LCM. However, the application of N fertilizer did not affect the digestibilities of these nutrients.

토양검정에 의한 시설재배 토마토의 적정 시비량 추천 (Fertilizer Recommendation Based on Soil Testing for Tomato in Plastic Film House)

  • 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0-358
    • /
    • 1998
  • 시설재배 토양의 염류집적 방지를 위한 적정 시비량 추천방안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7년도에 영동군, 보은군, 청원군, 및 청주시의 시설재배지로부터 염류농도가 다양한 18개 토양을 채취하여 폿트 시험으로 무비구와 시비구로 구분하여 토마토의 생산성과 비료효과를 조사하였다. 무비구의 토마토 건물중 및 질소, 인산, 칼륨 흡수량을 비옥도 요인으로 그리고 이들의 시비구와 무비구의 차이 값을 비료 전체효과 및 비료 질소, 인산, 칼륨효과로 고려하였다. 비옥도 및 비료효과 요인들은 토양 화학성들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시설재배지 토마토의 시비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평가방법을 검토하였다. 비옥도 요인들에 대한 무기태 질소($NO_3-N$, $NH_4-N$) 함량의 표준화 편회귀계수는 247~1159의 범위를 보여 다른 화학성들의 0.02~4.02에 비하여 수백배의 높은 가중치를 보였다. 또한 무기태 질소($NO_3-N$, $NH_4-N$) 함량은 전기전도도에 대한 표준화 편회귀계수가 35.2-36.0으로 다른 화학성들의 1.0이하에 비하여 수십배의 높은 가중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무기태 질소함량은 시설재배 토양의 비옥도와 전도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표로 확인되었다. Cate-Nelson split 평가방법에 의한 토마토 최대 생산력과 비료효과 0가 되는 무기태 질소($NO_3-N+NH_4-N$) 함량은 $220mg\;kg^{-1}$으로 배추의 경우와 동일하게 추정되었다. 따라서 시설재배지 토양의 무기태 질소($NO_3-N$, $NH_4-N$) 함량이 $220mg\;kg^{-1}$ 이상인 토양은 무비 재배로 추천하고, 기준치 이하인 토양은 비료효과와 무기태질소 함량의 회귀식을 이용하여 시비기준의 추천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