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ungran Jeotkal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Myungran Jeotkal Fermented by Vegetable-Origin Lactic Acid Bacteria and Salt from Deep Sea Water

  • Lee, Deuk-Sik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7-245
    • /
    • 2016
  •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ow-salt Myungran jeotkal (Alaskan pollock roe) were evaluated after fermentation at $4^{\circ}C$ and $20^{\circ}C$ with or without the addition of deep sea water, salt from deep sea water, and vegetable-origin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fermentum JS, LBF). When fermented at $20^{\circ}C$, the addition of LBF to Myungran jeotkal resulted in a slow increase in lactic acid content, followed by an abrupt increase after five days of fermentation. However, when fermented at $4^{\circ}C$, the lactic acid conten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urther, when Myungran jeotkal fermented at $4^{\circ}C$, the pH decreased as lactic acid production increased. The salinity of Myungran jeotkal fermented at $4^{\circ}C$ and $20^{\circ}C$ was 7% and was not affected by fermentation period. When fermented at $20^{\circ}C$, volatile basic nitrogen and amino nitrogen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duration of fermentation. Further, volatile acid content decreased, however, the content of amino nitrogen increased after 11 days of fermentation with LBF and no salt effects were observed. When fermented at $20^{\circ}C$ for 13 days, preference (sensory evaluation) was the highest in all experimental groups after 9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as the fermentation period increased. The free amino acid content was highest (1,648.8 mg/100 g) in Myungran jeotkal when sun-dried salt and LBF were added, 2.3 times higher than in the control.

명란젓갈 및 부재료의 미생물 오염도 및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유통안정성 향상 (Microbiological Quality of Myungran Jeotkal and Its Ingredients and Improvement of Shelf-stability by Gamma Irradiation)

  • 김빛나;장애라;송현파;김윤지;고병호;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06-611
    • /
    • 2008
  • 명란젓갈은 한국 전통 발효 식품중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명란젓갈의 유통기한 연장방안으로 감마선 조사를 적용하여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 실험을 행하였다. 명란젓갈과 고춧가루, 생강, 마늘, 복합시즈닝 믹스 등의 부재료에 각각 0, 0.5, 1.0, 2.0 및 5.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를 하여 $4^{\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며 관찰하였고, 이들의 수분활성도는 각각 0.89, 0.56, 0.98, 0.99 및 0.07 이었다. 명란젓갈의 초기 호기성 세균, 효모 및 곰팡이, 대장균군의 수는 각각 6.7, 4.3, 3.6 log CFU/g 이였으며, 2 kGy 의 감마선 조사 직후 호기성 세균은 4 log cycle, 효모 및 곰팡이와 대장균군은 3 log cycle의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보였다(P<0.05). 5 kGy 감마선 조사시 효모 및 곰팡이와 대장균군은 검출한계($10^1$ CFU/g) 이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부재료 중 고춧가루에서 5 kGy 감마선 조사 후 일반 호기성 미생물의 경우 5 log cycle 정도 감소하였다. 관능적 품질의 경우 감마선 조사 후에도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명란젓갈의 미생물 제어에 효과적이고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며 유통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전자선 조사 명란젓갈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yungran Jeotgal Treat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 정사무엘;최준호;김빛나;윤혜정;김윤지;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8-203
    • /
    • 2009
  • 명란젓갈을 0.5, 1, 2 및 5 kGy로 전자선 조사 후 2주간 $4^{\circ}C$ 냉장 저장하면서 전자선 조사가 명란젓갈의 미생물학적 변화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장 중 전자선 조사(약 2 kGy)에 의해 명란젓갈에 존재하는 총 호기성 세균, 효모와 곰팡이 그리고 대장균군의 수가 유의적으로 검출한계($10^1CFU/g$) 이하까지 감소함이 확인되었고, 전자선 조사에 의한 미생물의 사멸에 따라 전자선 조사구에서 pH가 유의적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관능적 품질에서 저장 2주째 2와 5 kGy 조사구의 색도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자선 조사는 전통발효식품인 명란젓갈의 저장성 증대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전자선 조사에 의하여 지방의 산패가 촉진되었는데, 전자선 조사가 식품 산업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를 고려해야만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마선 조사가 저염 명란(Theragra chalcogramma) 젓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Fermented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Roe)

  • 남기호;이현진;박노현;김동환;송민규;김종일;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02-309
    • /
    • 2022
  • Low-salt fermented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roe (Myungran Jeotgal, MJ),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was prepar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method and irradiated using gamma rays (0-10.0 kG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GI) on food quality. After irradiation with 2.5 kGy gamma rays,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MJ was reduced by one log compared to that observed in non-irradiated MJ, and no living cells were detected after 7.5 kGy GI. Though up to 2.5 kGy GI had no effect on color quality, over 7.5 kGy GI resulted in significantly poor quality MJ surface color.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increased slightly in irradiated MJ, while those of polyenes and monoenes decreased slightly as the GI dose increased. Exposure of MJ to GI had no effect on the free amino acid and mineral composi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ppropriate GI dose for MJ ranged from 2.5 to 5.0 kGy, which may be recommended for industrial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