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sel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1초

충무연안의 Vibrio parahaemolyticus와 V. alginolyticus의 분포 (DISTRIBU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 ALGINOLYTICUS IN THE COAST OF CHUNG-MU)

  • 이원재;안철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33-237
    • /
    • 1976
  • 충무연안의 한실포에서 인평포에 이르는 굴${\cdot}$홍합 양식장(Fig.1)을 중심으로 1975년 7월부터 1976년 9월까지 매월, 해수, 이토, 굴 및 담치에서 V.parahaemolyticus와 V. alginolyticus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수, 이토, 굴 및 담치, 420개 시료에서 parahaemolyticus 51균주와 V. alginolyticus 160 균주를 분리하였다. 2. 월별분리율은 7월-9월에 가장 높았다. 3. 시료별 parahaemolyticus의 분리율은 이토$(28\%)$, 해수$(24\%)$, 담치$(5\%)$ 및 굴$(4.2\%)$의 순이였다. 4. 조사지점별 분리율은 station 1 과 5가 다른 조사지점에 비해 가장 높았다. 5. 분리된 211 균주의 형태적 생리적 생화학적성상은 전형적인 parahaemolyticus 및 V. alginolyticus와 및 일치하였다.

  • PDF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Macrofouling Communities on Ocean-going Ships in the Far East Sea Basin

  • Moshchenko, Alexander V.;Zvyagintsev, Alexander Y.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63-75
    • /
    • 2001
  •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fouling found on the hulls of 28 ships traveling through 6 main shipping routes (SR)in the Far East Sea Basin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amples obtained during 1976-1990 expeditions of the Institute of Marine Biology were used for the analyses. These samples were taken from the ships anchored in the harbor by SCUBA diving and in dry-docks of the Vladivostok ship-repairing yard. Similar composition of the fouling communities occurred on the ships travelling the same SR. In five cases, fouling was dominated by different Cirripedia communities. And, in one case, a community of the mussel Mytilus trossulus was found. In most cases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es showed extremely low level of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animals and algal species in fouling communities. Each ocean-going ship had an original structure of the fouling. Spatially disconnected animal associations of tropical and boreal origin may simultaneously coexist at the same ship. This paper testified to the originality of the zone of anthropogenic substrata as a benthos concentrator in the pelagic regions of the world ocean. The fouling from different zones showed that each zone possesses peculiar features and regularities of the composi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organisms dwelling here.

  • PDF

Antifouling effects of the periostracum on algal spore settlement in the mussel Mytilus edulis

  • Kang, Ji-Young;Bangoura, Issa;Cho, Ji-Young;Joo, Jin;Choi, Yoo Seong;Hwang, Dong Soo;Hong, Yong-K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7.1-7.6
    • /
    • 2016
  • In nature, marine mussels (Mytilus edulis) suffer less fouling colonization on the newly formed sides of their shells. Using settlement assays with algal spores of Porphyra suborbiculata, we determined that spore attachment and germination on the periostracum decreased to 36.8 and 3.3 %,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spore settlement was considerably diminished by periostracum dichloromethane extracts containing 19 % oleamide, a major antifouling compound.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the surface revealed a regular ripple structure with approximately $1.4{\mu}m$ between ripples. Based on these results, mussel periostraca or their associated biomimetic materials may become environmentally friendly, antifouling agents for preventing the settlement of soft foulants.

영산강 하구의 진주담치에 기생하는 Pseudomyicola spinosus(요각류)의 세대해석 (Analysis of the Generations of Pseudomyicola spinosus (Copepoda, Poecilostomatoida) from the Blue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is in the Yongsan River Estuary)

  • 최상덕;서해립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1-107
    • /
    • 1991
  • 영산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진주담치에 기생하는 요각류, Pseudomyicola spinosus 의 계절 변동을 조사했다. 본 종은 일년에 4세대를 영위하며 여름에 나타난 세대의 개 체수가 가장 많았다. 성비는 9월을 제외하고 6∼10월은 수컷이 1월을 제외한 11∼5월 은 암컷성체가 각각 우세하게 나타났다. 포란성체는 2월을 제외하고 연중 발견되었다. 포란성체가 많이 나타난 1개월 후에는 copeodid가 많이 출현하였다. copeodid는 1∼3 기는 전체의 약 4%에 불과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copeodid 3기에 본격적인 감염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홍합, Mytilus coruscus의 성 성숙과 생식주기 (Sexual Maturation and Gametogenic Cycle of the Hard Shelled Mussel, Mytilus coruscus (Bivalvia: Mytilidae))

  • 위종환;장영진;이승주;허영백;이정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45-251
    • /
    • 2003
  • 2000년 1월부터 12월까지 남해안 한산만 해역에서 채집한 홍합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에 관하여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홍합은 자웅이체이며, 생식소는 암 수 모두 다수의 배우자형성소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생식소지수(GI)는 2월(3.40)에 가장 높았으며, 8월(1.18)에 가장 낮았다. 비만도(CI)는 생식소지수(GI)와 유사하게 변화하였다. 홍합의 주 산란기는 2∼3월이며, 생식주기는 휴지기(8∼11월), 분열증식기(11∼12월), 성장기(12∼1월), 성숙기(1∼2월), 부분방출기(2∼4월), 완전방출 및 퇴화흡수기(4∼7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성비(암:수)는 1:0.96으로 조사되었다.

Unusual Mitochondrial DNA Polymorphism of the Blue Mussel (Mytilus edulis) Species Complex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Iksoo Kim;Byung-Yoon Min;Myung-Hee Yoon;Myong-Suk Yoo;Doh-Hoon Kim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1호
    • /
    • pp.79-87
    • /
    • 1999
  • Mitochondrial DNA (mtDNA) from 54 specimens of the blue mussel (Mytilus edulis) species complex sampl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as assayed for polymorphism with a portion of the COIII gene (336 bp). Fifteen haplotypes were found. PAUP, one-step networks, and PHYLIP analyses revealed the presence of two clearly differentiated mitochondrial clades (termed clades B and E), separated by 3.6% of minimum sequence divergenc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pecies appears to be consistent with category II of the phylogeographic pattern sensu (Avise et al., 1987): the presence of two discontinuous and distinct mtDNA genotypes in the same geographic region. This unusual mitochondrial polymorphism was explained by the presence of the Mediterranean species, M. galloprovincialis, possessing mtDNA of both M. galloprovincialis and M. edulis.

  • PDF

국내 담수산 조개의 섭식활동이 호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f Filtering Abilities of Korean Freshwater Bivalves and Their Filtering Effects on Water Quality)

  • 김호섭;최광현;박정환;신재기;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35권2호통권98호
    • /
    • pp.92-102
    • /
    • 2002
  • 본 연구는 담수산 조개 종간의 여과능력과 실험적으로 조성된 인공연못에서 조개의 여과섭식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실내 실험과 인공연못에서의 섭식실험 모두에서 조개에 의한 엽록소, 총인, 부유물질과 같은 입자성 물질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600개체의 조개가 투입된 처리구에서, 엽록소 농도와 순 1차 생산력은 $87.3{\pm}4.5\;{\mu}g/L$$106.3{\pm}8.8\;{\mu}gC\;L^{-1}\;hr^{-1}$에서 대조구와 거의 동일한 수준인 $25.0{\pm}0.5\;{\mu}g/L$$15.6{\pm}13.3\;{\mu}gC\;L^{-1}\;hr^{-1}$까지 감소하였다(P<0.05, n = 6, ANOVA). 엽록소 농도의 감소와 동시에, 투명도는 0.48m에서 1.2m까지 향상되었고, 부유물질과총인 농도는 각각 $22.0{\pm}1.0\;mg/L$에서 $7.5{\pm}0.5\;mg/L$, $133{\pm}0.8\;{\mu}g/L$에서 $7.5{\pm}0.0\;{\mu}g/L$까지 감소하였다 (P<<0.001,$r^2$>0.71,n = 11).비록 처리구에서 SRP농도의 약간의 감소와 무기질소($NH_3-N$, $NO_2-N$)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하더라도, 대조구의 농도와 비교할 때 유의적인차이는 없었다.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여과율과 섭식과정 중에 feces와 pseudofeces와 같은 형태로의 영양염 배출율을 고려할 때, Corbicula leana가 가장 효과적인 여과섭식자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Corbicula가 입자성물질을 조절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조류가 대량 발생하는 호소의 수질관리를 위해 생물학적 수질조절자로서 적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참재첩을 이용한 부영양호의 수질개선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 the Application of Filter-feeding Bivalve (Corbicula leana Prime) in a Eutrophic Lake)

  • 김호섭;박정환;공동수;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37권3호통권108호
    • /
    • pp.332-34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여과섭식성 이매패류인 참재첩(Corbicula leana)의 섭식에 따른 수체내 영양염 및 입자성 물질의 변화를 mesocosm (width ${\times}$ length ${\times}$ depth: 3 m ${\times}$ 3 m ${\times}$ 0.5 m)에서 분석함으로써 수질개선기법으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짧은 기간 동안의 mesocosm실험은 패류의 교체를 통한 연속적인 두 단계로 수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패류 투입 이후 8일 동안이며 패류의 교체 이후의 진행된 8일 동안의 실험은 두 번째 단계로 구분된다. 이러한 연속적인 실험을 통해 조개의 섭식에 따른 수질변화를 좀더 명확하게 비교할 수 있었다. 재첩 투입 직후 높은 패사율을 보였으나 처리구의 교체가 있던 8일의 재첩의 패사율은 4 ind $day^{-1}$ 이하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엽록소 a 농도는 투입 직후의 수체 내 농도와 비교해 패류의 교체전과 후에 각각 71%, 88% 감소하였고 부유물질은 70%, 77% 감소하였으며, 여과율은 평균 0.46과 0.61 mL AFDW $mg^{-1}$ $hr^{-1}$이였다. 폐사율이 높았던 시기에 수중 내 암모니아성 질소와 용존총인이 증가하였다. 폐사율과 암모니아 농도는 양의 상관성을 보인 반면에 (r = 0.95, P<0.001), 용존총인의 농도는 폐사율과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r = 0.94, P<0.001). 패류의 폐사율이 낮았던 교체 이후에도 암모니아의 농도는 증가하였고 실험 초기 대조구와 비교해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P= 0.042, ANOVA). 반면에, 용존 총인은 비록 농도가 증가하였으나 초기 대조구와 비교해 큰 차이는 없었다(P= 0.509, ANOVA). 이러한 결과들은 만약 패류가 투입 초기에 새로운 서식지에 성공적으로 정착한다면 부영양 호수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남세균 제어를 위한 동물플랑크톤(Daphnia magna)과 패류(Unio douglasiae)의 단독 및 혼합적용 (Combined Effects of Filter-feeding Bivalve and Zooplankton on the Growth Inhibition of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 김난영;박명환;황수옥;김백호;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8권2호
    • /
    • pp.108-114
    • /
    • 2015
  • 유해조류의 생물학적 제어를 위하여 여과능이 입증된 패류와 동물플랑크톤을 혼합적용하고, 현장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험수는 매년 남조 Microcystis aeruginosa가 대발생하는 일감호 (서울)의 현장수, sediment, 배지를 대형 수조에 일정량 넣고 인위적으로 조류대발생을 일으켜 유지하고 있는 실험수를 이용하였다. 실험은 동물플랑크톤만 처리한 Z군 (40 individuals $L^{-1}$), 패류만 처리한 M군 (2 individuals $L^{-1}$), 동물플랑크톤과 패류를 모두 첨가한 ZM군 (Z, M군의 밀도를 합한 것)으로 설계하였다. 수심별 조류제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층, 중층에서 각각 일정량의 실험수를 꺼내 엽록소량의 경시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중층의 모든 처리구에서 Chl-a의 감소를 보였으며 24시간째 Z군은 63.2%의 제어율을 보인 반면, M군과 ZM군은 각각 79.8%, 90.8%의 제어율을 나타내 뚜렷한 억제효과를 보였다. 표층의 경우, Z군과 ZM군은 각각 51.9%, 63.4% 등으로 50% 이상의 억제효과를 보인 반면, M군의 경우 대조군의 27.4%로서 가장 낮은 제어율을 보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두 생물제재의 혼합이 수층에 상관없이 그 효과는 입증되었으나 남조 M. aeruginosa의 부유성을 감안한다면, 패류의 적용수심이 조류제어에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생물제재의 혼합적용이 보다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조류의 생리적 특성과 생물제재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패류 건제품의 저장 중 지질산화 (Lipid Oxidation in Dried Shellfish during the Storage)

  • 조호성;조태용;이강호;이남걸;주동식;김경업;이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94-598
    • /
    • 1998
  • 패류 건제품의 지질산화는 주로 단백질과의 상호반응에 의해 변색, 산패취 등을 일으키며 또한 산화로 인해 hydroperoxide나 불포화 aldehyde 등과 같은 독성물질을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건제품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지질과 단백질의 반응에 의한 품질저하는 상품가치의 저하는 물론 영양가 손실 등을 야기한다. 본 실험에서는 이들 패류 건제품의 저장온도 ($4{\pm}2^{\circ}C$$25{\pm}2^{\circ}C$)에 따른 지질산화 경향을 지질산화생성물과 단백질 등의 amino 화합물과의 반응정도를 조사하였다. 산가의 변화는 홍합이나 바지락 모두 $25^{\circ}C$에서 저장한 것이 $4^{\circ}C$에서 저장한 것보다 높았으며 또한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바지락이 홍합보다 다소 높았다. 그러나 생성된 유리지방산은 저장 60일까지 증가한 후 거의 변화가 없었다. 과산화물가는 $25^{\circ}C$ 저장구의 경우 홍합 및 바지락이 각각 저장 60일과 3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나, $4^{\circ}C$ 저장구에서는 120일간의 저장기간 중 과산화물이 분해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축적되었다. TBA가와 카르보닐가는 홍합의 경우 $4^{\circ}C$ 저장구가 저장 30일경에만 $25^{\circ}C$ 저장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을 뿐 그 이후는$25^{\circ}C$ 저장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바지락도 $4^{\circ}C$ 저장구가 $25^{\circ}C$ 저장구보다 다소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아미노질소의 함량은 두 제품모두 저장 6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25^{\circ}C$ 저장시료가 $4^{\circ}C$ 저장시료보다 감소폭이 컸다. 형광강도는 $25^{\circ}C$ 저장시료가 $4^{\circ}C$ 저장시료보다 그리고 바지락이 홍합보다 높았으며, 저장 60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