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therapy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22초

음악요법이 제왕절개 임부의 수술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of Cesarean Section Wemen)

  • 권영숙;김태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66-47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anxiety of cesarean section wemen.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5 cesarean section wemen scheduled for surger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 1999 to January 5, 2000. Two groups consisted of subjects assigned : one the experimental group(33 wemen), and the other the control group(32 wemen). The music therapy was performed 3 times to experimental group just before surgery day, on surgery day. The level of anxiety was measured by State Anxiety Inventory, blood pressure, pulse rate, respiratory rat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of ANCOVA.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ellows : 1) State anxiety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music therapy. 2) Systolic blood pressures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music therapy. 3) Pulse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music therapy. 4) Respiratory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music therapy. According to these results, music therapy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hat relieves anxiety of cesarean section wemen.

  • PDF

한방음악치료(韓方音樂治療)의 기법(機法)에 관한 연구(硏究) - 비허보기음악요법(脾虛補氣音樂療法)을 중심(中心)으로 - (The Study of Invigorating the Spleen by Methodology of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 이승현;김여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5-23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music therapy as one of the 17 kinds of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and investigate the record in the literature. The spleen is an organ that has the function of digestion, absorption, and supply of nutrition. Damp, anxiety, and improper diet can cause deficiency syndrome of the spleen. The symptoms of deficiency of the spleen are poor appetite, abdominal distension, borborygmus, water-grain dysentery, dyspepsia, and lack of strength in limbs. CV12, CV6, S36, B20, B21, and Sp4 are can be used as acupuncture points that are a great help to the patients who suffer from deficiency of the spleen. This study describes the theory of invigorating the spleen music therapy that has a good possibility as a new method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present the acupuncture points that can be used with invigorating the spleen music therapy. The tone of the spleen is Gung(宮) and the sound of the spleen is related to a song. The music therapy of invigorating the spleen includes beating Earth-Gi(地氣) rhythm with Cheonnyeonmanse, stimulating Spleen Meridian and Stomach Meridian with Gayaguem sanjo jungjungmori, and acupuncture with "Le Cygne" of Camille Saint-Saens.

  • PDF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herapy Centered on 54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4)

  • 김은정;최윤선;김원철;김경숙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1호
    • /
    • pp.19-4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부에 의해 지정된 54개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음악치료에 대한 수치 기반의 현황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54개 기관의 코디네이터에게 E-mail로 설문지를 발송하여 총 47개 기관(87%)의 음악치료사와 코디네이터로부터 E-mail과 우편으로 회신을 받았다. 조사기간은 2014년 10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였으며, 음악치료사 대상 설문지는 근무조건/처우, 음악치료 환경, 진행 및 개인역량 등 총 6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코디네이터 대상 설문지는 각 기관의 음악치료 시행 여부 및 코디네이터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음악치료의 현황과 개인정보 등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47개 기관 중 음악치료 시행 기관은 22개 기관(46.8%)이었으며, 음악치료사 28명 가운데, 음악치료를 전공한 음악치료사는 19명(67.9%)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션 준비, 수행, 평가와 관련해 음악치료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갖추어져 있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 음악치료사(M = 3.43, SD = 0.96)와 코디네이터(M = 2.73, SD = 0.77)의 응답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의 음악치료는 현재 시행 기관이 많지 않고 환경이 열악하지만,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결과를 볼 때 향후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에서의 음악치료 현황에 대한 최초의 정량적, 통계적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커뮤니티 음악치료의 구성요소에 대한 고찰 (Review of the Theoretical Components of Community Music Therapy)

  • 강현정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4권2호
    • /
    • pp.91-105
    • /
    • 2017
  • 커뮤니티 음악치료는 현대사회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음악치료의 대상과 영역을 커뮤니티로 확장한 음악치료의 최신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CoMT의 개념 이해를 돕기 위해 CoMT의 구성개념을 커뮤니티, 음악, 건강으로 구분하고, 실행커뮤니티 이론을 토대로 커뮤니티(사람들의 집합체, 상호작용 행위의 장), 음악(행위의 실체이자 대상, 협업적 음악만들기), 건강(행위의 동기이자 목적, 관계 및 사회적 웰빙)의 각 개념을 구체화하였다. 위의 세 요소 간의 연결성을 바탕으로 CoMT의 구성요소를 도식으로 제시하고, 커뮤힐 도식이라 명명하였다. 커뮤힐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Ansdell과 Stige가 커뮤니티 음악치료 논문에서 제시한 두 사례에 해당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CoMT는 타 학문 및 실행 분야와 협업을 하며 사회문화적 맥락에 적응적이고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발달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연구 및 실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oMT의 핵심개념을 도식화하여 제시함으로서 구성요소와 개념 이해를 명료화할 수 있었고, CoMT 관련 후속 연구 및 실행의 기틀을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usic Therapy Education Program

  • Kim, Eun Jung;Lee, Eun Jeong;Lee, Chung-Woo;Choi, Youn Seo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3권1호
    • /
    • pp.17-2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ospice music therapist training program and to evaluate its effects. Methods: The educational program consisted of training on the theory of hospice 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hospice music therapy. The course lasted for 4 weeks, with 8 hours of training per week, and 33 music therapists completed the course.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participants' knowledge and confidence regarding hospice music therapy and readiness for hospice music therapy before and after education were measure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version 18.0 and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The traine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knowledge (P<0.001) and confidence (P<0.001) in all areas of this course, as well as in readiness for hospice music therapy (P<0.001).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lectures was assess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The average score for all lecture areas exceeded 4 (yes),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mostly high. Students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lectures on music therapy theory, followed in order by those on music therapy practice and hospice theory. Conclusion: This hospice music therapist training program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because of its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and the high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with the lectures.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music therapy services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is training course should be regularly offered to cultivate competent music therapists, and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should be standardized and applied in various clinical settings.

협업 필터링 기반의 음악 치료 상담 추천 모델 (Music Therapy Counseling Recommendation Model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 박성현;김재웅;김동현;조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31-36
    • /
    • 2019
  • 전인적인 인격 형성에 근본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음악과 치료가 융합된 분야인 음악치료는 다양하고 복잡한 치료 방법을 가지고 있다. 음악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음악치료사들은 내담자와의 상담에 역전이와 같은 경우의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며,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기에, 음악 치료의 최종 목표 도달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치료를 위하여 방문한 내담자와의 원활한 음악 치료 상담을 위하여 협업 필터링 기반의 음악치료 상담 자료 추천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기존 상담 데이터와 새로운 상담자의 데이터를 유클리디안 거리 알고리즘을 통하여 유사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유사 상담 자료를 추천하는 것으로서, 음악치료사들은 음악 치료가 필요한 상담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담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에 원활한 상담이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청소년 대상 그룹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 Analysis of Group Music Therapy with Adolescents)

  • 황은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9권2호
    • /
    • pp.1-17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그룹 음악치료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27편으로 연구대상, 독립변인, 종속변인 그리고 치료회기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7편으로부터 총 49개의 효과크기가 도출되었다. 그 크기는 -0.14로 약한 정도의 크기이며 연구자 배경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상은 일반청소년, 비행/부적응 청소년, 중독 청소년, 시설거주 청소년 등으로 구분하였는데 일반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크기가 가장 컸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표본수는 31 이상인 경우 효과크기가 가장 컸지만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셋째, 독립변인에 대해서는 수용적, 적극적, 수용적+적극적 방법사이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수용적+적극적 방법을 적용한 경우 효과크기가 가장 컸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인에 따라서는 정서, 사회성, 인지, 행동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행동영역에서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으며 치료횟수는 1~15 이하인 경우 가장 효과크기가 컸다.

등재학술지 내 음악치료 연구 게재 동향 (Music Therapy Research Trends in KCI Journals)

  • 김하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2호
    • /
    • pp.1-2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음악치료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등재(후보)학술지에 게재된 음악치료 연구를 분석하여 연구 동향, 연구 대상, 연구 유형, 연구 분야별 연구 게재의 추이, 구성요소에 대한 차이 등을 확인하였다. 분석된 논문은 2003년부터 2017년 10월까지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음악치료 논문 472편이다. 분석 결과 등재(후보)학술지에 게재되는 음악치료 연구가 2003년을 기점으로 게재수가 증가하고 있고 게재되는 학술지의 분야가 다양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구성에 따른 연구 분야별 비교에서도 이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주로 기술연구와 실험연구 위주의 연구 유형은 점차 역사연구, 철학연구, 개발연구로 다양화 되었고, 연구 대상은 장애군에서 비장애군으로 그 범위가 확장되었다. 또한 융복합 학문이 강조되는 학문적 경향을 반영하여 음악치료 연구 내 대상군 특성이나 환경적 특성이 반영된 다양한 학문분야의 학술지 내 게재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타 분야와의 협력을 통한 다양한 학술적 접근은 음악치료 연구의 융복합적 특성을 보여주며, 이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될 수 있다.

음악치료가 만성정신장애인의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Musical Therapeutic Approch for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 김계원;정광조;최애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3호
    • /
    • pp.43-57
    • /
    • 2011
  • Chronic mental-handicapped people are lacking in non-verbal expression such as eye contact, intonation, voice volume,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 as well as the contents of speech, speak with a monotonous voice, fail to be vivid and clear in voice, and have absence of expression, thereby bringing about difficulty even for social adjustment and about low self-esteem.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iveness for enhanc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by applying music therapy to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The subjects were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who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 at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nd who have over 10 years in the duration of disease. 1he music therapy activity was progressed with totally 14 sessions during 7 weeks with twice a week. This study confirmed t-test that is verification of difference in the mean,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music therapy in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and researched into qualitative ca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core in self-expression scale, the significant improvement was shown after music therapy compared to before music therapy.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verbal self-expression, phonetic self-expression,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which are its sub-spheres. Thus, the conclusion was obtained as saying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enhancing self-ex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score in self-esteem scal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fter music therapy compared to before music therapy. Thus, the conclusion was obtained as saying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enhancing self-esteem.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music therapy showed effectiveness of self-expression ability and self-esteem in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at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thereby having been confirmed to be possibly utilized as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social skill ability and the social adjustment of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음악요법이 혈액투석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 김귀분;이미훈;석소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21-329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usic therpy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Method: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consisted of 36 patients (Experimental group: 18, Control group: 18) who received hemodialysis in three hospitals located in Seoul. The measures were a Music Preference Questionnaire (MPQ), anxiety measurement, and depression measurement.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26, 2004 to April 2, 2005 through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10.0 program. Result: The first hypothesis that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ho received music therapy would have less anxiety tha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ho did not receive music therapy was supported(F=8.05, p=.008). The second hypothesis that patient undergoing hemodialysis who received music therapy would have less depression tha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ho did not receive music therapy was supported(F=11.86, p=.002).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sic therapy may be applied as a method of nursing intervention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life by reducing their anxiety and depression of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