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analysis

검색결과 956건 처리시간 0.04초

가사의 감정 분석과 구조 분석을 이용한 노래 간 유사도 측정 (Similarity Evaluation of Popular Music based on Emotion and Structure of Lyrics)

  • 이재환;임혜원;김형주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79-487
    • /
    • 2016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대중화로 음악의 소유 없이 언제든 원하는 듣고 싶은 노래를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넓어진 선택권은 역설적으로 노래를 선택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선택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음악 추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판도라와 Last.fm과 같은 상용 서비스뿐 아니라 음악 정보 검색 분야의 연구자들도 다양한 추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내용 기반 필터링과 협업 필터링 방식이 주류인 기존의 추천 시스템은 음악 감상의 주요 요인인 맥락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을 선택하는 맥락 중 주요한 요인인 감정을 이용한 노래간 유사도 측정 방법을 제안하여 새로운 추천 시스템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한다. 노래의 감정 추출에 가사를 이용하였고 가사에서 노래의 구조도 추출해 노래의 의미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모델이 기존의 추천 시스템에 비해 작은 계산 복잡성으로 기존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보일 수 있음을 보였다.

롱샹 성당에서 음악의 생명성 표현에 관한 연구 - 베르그송의 생명철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Musical Vitality at the Chapel at Ronchamp - Focusing on the Bergsonian Philosophy of Life -)

  • 김영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62-170
    • /
    • 2012
  • This study aims to show the possibility of approaching artistic design through the Bergsonian concept of musical vitality by grasping the expression of his musical vitality at the Chapel at Roncham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Bergson's philosophy of life was first contemplated, and a case stud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vitality of music as temporality at the Chapel at Ronchamp. On this basis, the examples of his musical vitality as metaphysical reality at the Chapel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Bergsonian vitality of music as temporality at the Chapel is expressed as a sense of movement-through the acoustic form, the modulor corresponding to the scale of the music, the opposite composition of musical changes, the fluid space of the music, and the light and shadow of counterpoint-as having been intended by Le Corbusier in the very process of design. Second, the vitality of music as Bergson's metaphysical reality at the Chapel at Ronchamp is expressed in the image and rhythm of music created by intuitive reminiscences. The acoustic form, the form created by the modulor, the opposite form of composition, the fluid space and the light and shadow as the melody and image of music present continuous diversity as vital flow in a uniform direction. The vitality of music as aesthetical reality is imitated by the rhythm of the music deriving from repetitive movements sensed here. Consequentry, the Chapel at Ronchamp can be seen as a vital design that expresses Bergson's notion of musical vitality, indicating that an approach toward artistic design can be realized through his musical vitality.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on artistic design with philosophy and music as its origin.

  • PDF

음악요법이 말기암 환자의 통증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ain and Depress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 서바른;홍해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48-57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pain, depression in terminally-ill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44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F hospital, located in D city from July 1 to July 31 in 2008.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3 experimental group members and 21 control member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not received any additional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ceived music therapy intervention.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by the chi-square test, t-test and ANCOVA with SPSS/WIN 12.0 Program. Results: The 1st hypothesis 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music therapy would have less pai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music therapy", was rejected (F=2.33, p=.14). The 2nd hypothesis i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music therapy would have less depressio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music therapy", was supported (F=11.616, p=.001).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music therapy to terminally patients was an effective method in decreasing depress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usic therapy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terminally ill.

음악요법에 관한 국내 간호학 연구 분석 (The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on Music Therapy in Korea)

  • 홍명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4-304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analyze the trend and issues of nursing research on music therapy. This study was aimed to help direct developing better music therapy programs in the future. Method: We reviewed 57 dissertations and published articles from 1983 to Feb. 2005 that were related to music therapy in nursing. Result: Among the 57 published researches on music therapy, 47 (82.5%) were dissertations and 10 (17.5%) were published articles. Among the 57 researches, 55 (96.5%) were experiential researches and 2 (3.5%) were non-experimental researches. Surgical patients were the most popular subject for researches. The number of subject was a minimum of 7 people and maximum of 143 people. Listening to music 41 (74.5%) was the most popular program for music therapy. Among 55 researches, 33 (60.0%) had a music therapy session of 25-60 minutes and this was the most popular time duration of therapy. Among all the 108 dependent variables, 57 (52.8%) were psychological variables, 40 (37.0%) were physical variables and 11 (10.2%) were social-cognitive variables. Conclusion: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systematic music therapy programs with different nursing interventions, as based on theories and principles while considering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 PDF

중년여성에게 실행한 한방음악치료 전후(前後) 자아존중감 및 분노와 우울증상 개선에 대한 1례(例) (The Case Study of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s Effect on Improving Middle Aged Woman's Self-Esteem Inventory & Anger Expression and Depression)

  • 이승현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5-188
    • /
    • 2014
  • Objectives: The study was implemented to observe how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Korean Medicine Music Therapy) influences on curing the symptoms of anger and depression. Method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an age of 43 female who usually suffers from headache and dizziness, and frequently gets angry at her daughter.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n hour, 1 times a week. In the present study, the whole program consisted of 7 sessions. Other than the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the patient had never been cured by other treatments. Results: 1.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AXI analysis, the patient with anger scale of 36 (before treatment) became to have anger scale of 31 after the treatment, indicating that the therapy had positive effect on curing the anger symptom. 2. Moreover, the analysis result of BDI showed that the patient with depression scale of 17 (before treatment) turned out to be non-depression state, which he had the depression scale of 8. Regarding the results above, it was observed that the treatment cured the depression symptom. 3. Based on the result of SEI analysis, the patient with a SEI score of 139 (higher the SEI score, more the self-esteem one has) became to have score of 142 after the treatment. Conclusions: From the research, it was observed that Korean Medicine Music Therapy has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one's anger or depression control and self-esteem. Clinical trial is need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An exploratory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line music users' willingness to pay

  • Yu-Xuan, Yu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217-225
    • /
    • 2023
  • 온라인 음악 사용자의 지불 의지는 음악 저작권 보호와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의 핵심이다. 본 논문은 탐색적 분석을 통해 온라인 음악 이용자의 지불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고객 인지 가치 이론, 기술 수용 및 사용의 통합 이론, 팬 열광 이론을 기반으로 연구 모델이 구성되었다. 획득한 583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검증하였다. 분석을 통해 지각된 가치, 대인관계 영향, 팬 열광, 개인 결제 인식이 온라인 음악 사용자의 지불 의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는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제적 비용과 편집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온라인 입소문은 인지된 가치가 사용자의 음악에 대한 지불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원 플랫폼은 이를 바탕으로 운영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스펙트럼 분석과 신경망을 이용한 음성/음악 분류 (Speech/Music Discrimination Using Spectrum Analysis and Neural Network)

  • 금지수;임성길;이현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207-21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스펙트럼 분석과 신경망을 이용한 효과적인 음성/음악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스펙트럴 피크 트랙에서 지속성 특징 파라미터인 MSDF(Maximum Spectral Duration Feature)를 추출하고 기존의 특징 파라미터인 MFSC(Mel Frequency Spectral Coefficients)와 결합하여 음성/음악 분류기의 특징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신경망을 음성/음악 분류기로 사용하였으며,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학습 패턴 선별과 양, 신경망 구성에 따른 다양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음성/음악 분류 결과 기존의 방법에 비해 성능 향상과 학습 패턴의 선별과 모델 구성에 따른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MSDF와 MFSC를 특징 파라미터로 사용하고 50초 이상의 학습 패턴을 사용할 때 음성에 대해서는 94.97%, 음악에 대해서는 92.38%의 분류율을 얻었으며, MFSC만 사용할 때보다 음성은 1.25%, 음악은 1.69%의 향상된 성능을 얻었다.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 평가문항의 구인타당화 (The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cale for Screening the Qualified Teachers for the Gifted in Music)

  • 원영실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237-259
    • /
    • 2015
  • 이 연구는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가 지녀야 할 자격 조건을 수렴하고, 수렴된 조건을 바탕으로 평가문항을 제작한 후, 그 문항에 대한 구인타당화를 도모함으로써 음악(국악)영재의 선발 및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궁극적으로는 예술영재교육의 내실화 및 체계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 평가문항의 문항분석을 위하여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추정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최종 41문항을 수렴하였고,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영재 담당교사가 지녀야 할 심리학적 구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가문항에 대한 내적일관성 신뢰도 추정 결과 높은 신뢰도 수준(r=.974)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 평가문항이 영재교육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교사 평가도구임을 반영해준다.

피크레벨을 이용한 비트 분석 및 음악 장르구분 (Analysis of Bit and music genre using Peak Level)

  • 김윤호;조재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17-420
    • /
    • 2005
  • 기존의 음악 재생기들은 폴더별 저장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임의로 장르구분을 해서 저장한 경우에 한하여 장르별로 음악을 들을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드럼 등의 타악기 소리에서 검출되는 피크레벨 주파수를 시간별 피크레벨수로 분석하여 빠른 곡과 느린 곡의 구분을 사용자가 직접 해줄 필요 없이 재생기 내에서 버튼 하나로 구분되어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DF

음악 중재 프로그램이 ADHD 아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복합 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Music Mediation Program on Children with ADH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조미란;박혜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497-50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출판된 논문 1,856편 가운데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대조집단이 있는 실험연구 9편을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음악 중재 특성, 연구별 목표 및 평가도구의 네가지 기준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논문이 음악 활동, 목표, 평가도구를 각각 2가지 이상 사용하였으며, 특히 사회성과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논문의 비중이 높았다. 메타분석 결과, 전체는 중간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주의력결핍과 사회성은 효과크기가 낮은 반면, 문제행동은 중간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이는 ADHD 아동을 위한 음악 중재에서 표준화된 평가도구 사용의 중요성을 밝힌 것과, 음악 중재를 개발하는 데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