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 Score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6초

Development of A Method for The Musical Expression of Cognitive Food Taste

  • Kim, So-Eun;Lim, Seock-Won;Chun, Jae-K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738-742
    • /
    • 2005
  • We developed a musical composition and performing method for the dynamic expression of food taste, to replace the static expression obtained from a numerical sensory score and linguistic method. The musical score was composed using cognitive food sensory data gathered while eating potato chips via a computer equipped with a sound card and a master keyboard, as well as Cakewalk 9.0, Goldwave 5.0, and Windows Media Player. The music score included four lines, one representing sensory data and three reflecting three layers of human consciousness. Different time units were applied by incorporating different repetition cycles for the relevant consciousness layers. The musical scores of individual subjects differed in terms of the score pattern and its sound. The music representing food taste was played by four instruments and showed different sound and acoustic frequency patterns for each individual subject during the consumption of potato chips. The musical expression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individual taste characteristics in the cognition of food.

새터민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음악심리치료 적용 연구 (Music Psychotherapy Program on Acculturative Stress for North Korean Child Defectors)

  • 정현정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6권1호
    • /
    • pp.1-3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수적인 증가와 더불어 문화적응에 따른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새터민 아동들에게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참여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새터민 아동 4명을 대상으로 하여 약 40분씩 총 14회기에 걸쳐 개인 세션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에 기초하여 14회 활동의 사전과 사후에 문화적응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여 점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점수가 사전검사 평균 32.75점에서 사후검사 평균 23점으로 9.75점 감소하였으며, 각 회기별 주제에 대한 대상자들의 언어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언어적 자기표현에 있어서 부정적 사고가 긍정적 자기인식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새터민 아동에게 음악을 통한 일관된 지지감을 제공하며 긍정적 자아 지각을 통해 내적 자원을 강화하도록 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감소에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음악요법이 미숙아의 심박동수와 행동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Heart Rate and Behavioral State of Premature Infants)

  • 추선자;최순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84-88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as auditory stimulus on the heart rate and behavioral state of premature infants. Method: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Forty premature infants who were admitted at NICU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 to July 31, 2003 and analysed using Wilcoxon rank sum test and ANCOVA. Infan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music therapy for 20 minutes daily in 7 days at the average level of 56dB. Results: The first hypothesis that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lower in heart rat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was rejected(F= .05, ρ= .816). The 2nd hypothesis that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lower in behavioral state sc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7.40, ρ= .010). Conclusion: The music therapy in this study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decreasing the heart rate and behavioral state score of premature infants.

  • PDF

비음수 행렬 분해 (NMF)를 이용한 악보 전사 (Music Transcription Using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 박상하;이석진;성굉모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2-110
    • /
    • 2010
  • 악보 전사란, 오디오 파일로부터 음고 (음표의 높낮이)와 리듬 (음표의 길이) 정보를 추출하여 악보를 만드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음원 분리 및 데이터 분류에 자주 사용되는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와 Non-Negative Sparse Coding (NNSC) 방식을 사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주파수와 리듬 성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배음 통합 (subharmonic summation) 방법으로 분류된 주파수들로부터 기본 진동 주파수를 계산하였고, 이로써 악보를 야루는 음표의 높낮이를 정확히 얻을 수 있었다. 제안한 방식으로 악보 전사거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NMF 혹은 NNSC만 사용하여 악보 전사를 하였던 기존의 논문들에 비해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목소리 즉흥을 통한 음대생의 연주불안 감소 연구 (The Effect of Vocal Improvisation in Decreasing Musical Performance Anxie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usic)

  • 송지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6권2호
    • /
    • pp.43-70
    • /
    • 2009
  • 본 연구는 연주불안 감소를 위해 4명의 연주전공 음대생을 선별해 8회기에 걸친 목소리 즉흥 프로그램을 개입한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사전 사후검사와 내용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첫째, 연구 참여 동기와 관련한 상태불안척도 점수는 평균 16.5점으로 유의하게(p < .068) 감소하였고, 둘째, 실제 연주불안 정도를 수치화하는 연주불안척도 점수는 평균 25.5점으로 유의하게(p < .068) 감소하였으며, 셋째, 연구대상자들이 직접 서술한 사후인터뷰질문지의 답과 회기별 언어적 서술을 통해서 연구대상자들이 느낀 음악적경험은 긍정적이었음이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목소리 즉흥 프로그램이 연주불안을 경험하는 음대생들의 연주불안을 감소시키고 더 나아가 불안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게 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목소리 즉흥 프로그램이 음대생의 연주불안을 중재하는 방법으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이와 관련해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음악대학 내 연주자들을 위한 불안 감소 프로그램의 하나로 도입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

  • PDF

Music XML 악보저작환경을 이용한 Human Computer Interface 연구 (The Research of the Human Computer Interface using by Music XML)

  • 김미라;옥지혜;조동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804-2806
    • /
    • 2001
  • 본 논문은 XML의 여러 응용분야 중에서 악보를 XML로 표현하는 기법에 대한 기존의 연구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악보를 XML로 나타내는 방법에는 musicML, scoreML, musicXML, musiXML등이 있다. 이러한 악보를 XML로 나타내는 방법을 응용하여 music XML과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musicXML을 이용하여 입력된 악보를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파일형식으로 Web상에서 연주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music XML 현황연구를 통해 그 동안의 연구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더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 PDF

통합 방식을 이용한 대보표 악보의 XML 스키마 모델 (XML Schema Model of Great Staff Music Score using the Integration Method)

  • 김정희;곽호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02-313
    • /
    • 2003
  • 현재 악보에 대한 DTD(Document Type Definition) 정의는 응용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또한 정의된 DTD를 XML Schema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연구되어온 DTD 정의 구조는 악보 상에 존재하는 음악 정보들이 각각 독려된 형식을 유지하도록 표현하는 데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악보의 기본 구성 요소가 소절(Measure:마디)인 점을 이용하여 소절 단위내 관련된 정보를 일련의 연속 문자열 값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XML Schema를 모델링 하였다 또한 제안된 방법에 의해 표현된 XML 인스턴스에서 음악 정보를 추출하는 메카니즘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연속된 문자열 값들을 가지는 XML Schema 정의가 가능했으며, 제안된 방식을 적용한 인스턴스는 기존 방식의 인스턴스들 보다 검색식(XPATH) 표현의 단순화 및 검색 단계를 줄여 그 효율성이 기대된다. 또한 사람에 의한 직접 표현 능력이 가능하며, 인스턴스 크기가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확장 마크업 언어(XML)를 이용한 정간보 악보 표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tation of Jeongganbo Score u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이용주;최근우;박태진;강경옥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6-45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구조와 기호를 가지는 국악 악보인 정간보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디지털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정간보의 구조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 정간보기보에 활용되는 기호를 분류하고, 기호의 사용 형태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다양한 정간보의 구조와 기호를 포함하는 정간보 악보 기술 방법을 DTD(Document Type Definition) 로 정의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정간보로 기보된 악보를 제안한 DTD에 따라 XML로 기술하였고, 정간보 악보가 기록된 XML을 해석하고 이를 정간보 형태로 나타내어주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XML로 기술된 정간보 악보가 적절하게 해석되고 정간보 악보 형태로 보여주는 것이 가능함을 보였다.

인쇄된 악보의 음표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nted Music Note Recognition)

  • 이창현;권호열;이상희;김백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427-430
    • /
    • 1992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lgorithm for the musical note recognition. Firstly, a given bit-mapped music score image is converted to a set of individual note pattern images via vertical projection. Then, the pitch of a note is determinal by comparison in the note-head position with the reference five-lines. Also, the length of a note is found via leader clustering with a set of normalized note patterns. Finally, a datafile to play the music is obtained using the pitch and length of musical notes. Experimental results with a simple musical score image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s performed well.

  • PDF

산후 우울감을 보이는 산모에서 나타나는 전두엽 뇌파 비대칭에 대한 음악의 영향 (The Effects of Music on the Frontal EEG Asymmetry of the Mothers with Postpartum Blues)

  • 임성진;신철진
    • 생물정신의학
    • /
    • 제18권3호
    • /
    • pp.134-140
    • /
    • 2011
  • Objectives Postpartum blues is known to be a major risk factor for postpartum depression and can be associated with the problems of language skills, behaviors or learning skills of their childre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clinicians to evaluate precisely and control postpartum blues. Recent studies have found that music has an effect on depressive mood and the frontal EEG asymmetry of the patients with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usic on the frontal EEG asymmetry of the mothers with postpartum blues. Method Among one hundred and seventy mothers assessed with Korean version of the Edinburg Postnatal Depression Scale (EPDS), nine mothers with postpartum blues (EPDS ${\geq}$ 10) as postpartum blues group and nine non-depressive mothers (EPDS < 10) as non-depressive mother group were included. Ten non-labored, non-depressive women were also included as a normal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evaluated with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X1,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the Depression Adjective Checklist-Korean version (K-DACL) and EEG twice before and after the music sesssion with the length of twenty minutes and thirty two seconds.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for A1 score (log R - log L) which were computed from the alpha powers at F3 and F4.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demographic data among all three groups. The postpartum blues group had higher scores in the STAI-X1, the VAS and the K-DACL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t baseline, and their A1 scores were lower than those of only normal control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A1 score only in the postpartum blues group after the music sess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thers with postpartum blues may have a frontal EEG asymmetry which is possibly associated with their depressive mood, and the music session can affect the frontal asymmetry positively.